제리 브리지스의 견고함 - 그리스도의 의와 성령의 능력에 대하여
제리 브리지스 & 밥 베빙튼 지음, 오현미 옮김 / 두란노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제리 브리지스의 견고함’을 읽고

 우리가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할 때 하나님은 우리 인생의 책꽂이에 두 개의 북엔드를 놓아 주신다. 하나는 그리스도의 의고, 또 하나는 성령의 능력이다.
성경에서 ‘의롭다’는 말은 기본적으로 순종을 뜻한다. 하나님은 상대 평가를 하지 않으신다. 따라서 우리는 크고 작고에 관계없이 모두 죄인으로 하나님의 저주 아래 있다.
우리는 믿음으로 의롭다 칭함을 받은 우리는 태엽을 감는 시계처럼 날마다 칭의의 태엽을 감아 주어야 한다.
복음의 제 1호 적은 ‘자기 의’다. 이 책에서 말하는 자기 의는 단순한 인가관계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자기 의를 말한다. 첫 번째는 복음을 부분적으로 포용하되 자기의 신앙적 성취에 근거하여 스스로 A급 축복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도덕주의적 신자들이다.
복음의 적 2호는 ‘끈질긴 죄책감’이다. 끈질긴 죄책감은 그리스도인을 무력하게 만든다. 죄책감은 저주이지만, 자기 죄에 대한 건전한 기억은 축복이다. 우리를 십자가로 데려간다.

 이 책에서는 우리가 첫 번째 북엔드를 의지하기 위해서 의지의 대상을 바꾸는 방법으로 첫 번째 우리자신이 길을 잃은 절망적인 죄인임을 인식하고, 두 번째는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충분하다는 것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삶 속에서 ‘기능적 구원’의 존재를 깨닫고 이를 거부하는 것이라고 한다. 
두 번째 북엔드인 성령의 능력이다. 복음의 적3호는 자기 의존적 태도이다. 이런 것들이 왜 잘못된 것인지 의아할 수도 있다. 우리가 아주 잠깐이라도 예수님을 부인한다면 그것은 성령의 능력이 아닌 우리 자신의 능력에 의지하고 있다는 증거다. 자기 의존의 씨가 자라 하나의 신앙 체계로 만개함에 따라, 자기가 행한 일과 절대 하지 않은 일의 목록이 점점 크게 보이기 시작한다. 두 번째 북엔드에 의지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절망적인 연약함을 인식하고, 성령의 놀라운 능력에 힘입어 자기 의존을 거부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기독교의 핵심을 예를 들어 가면서 쉽게 설명하고 있다. 예리하면서도 통찰력이 돋보이는 부분이 있으나 교리적인 내용을 진부하게 써 내려간 면도 보여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