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다 성경 : 동물 이야기 - 성경의 비밀을 푸는 동물 이야기 열린다 성경
류모세 지음 / 두란노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린다 성경]<동물 이야기>

 

 

[열린다 성경]동물 이야기편은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들이 성서시대에서는 어떤 의미로 씌었는지를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 이에 성경적인 지식과 문장이 갖는 의미를 잘 설명해 주어 만일 이 책을 읽어 보지 않았으면 잘못 해석할 수도 있었을 것을 보다 잘 알게 해주는 참으로 유익하고 재미있는 책이다.

 

()이 농업과 운송의 목적인 평화를 상징하는 나귀와 대조되는 전쟁의 상징으로서 우월감과 교만을 상징하는 동물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알고 읽으니 하나님이 왜 왕에게 말을 두지 말라고 하셨는지 그 의미가 와 닿는다. 또한 같은 의미로 예수께서 왜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셨는지도 이해가 쉽게 된다.

이스라엘 초기 왕국시대에는 말보다 노새가 더 일반적이고 시장경제 원칙과는 상관없이 가격도 두세 배 비쌌다는 것이  솔로몬이 다윗의 노새를 타고 왕위에 올랐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낙타를 설명하면서 하루살이는 걸러내고 낙타는 삼킨다라는 비유에서 바리새인들이 팥알보다 큰 곤충은 정결을 위해 건

져냈다는 것이 무척 흥미롭다.

()의 의미는 지금과는 많이 다르게 가축이기 보다는 야생개의 의미가 강해서 썩은 고기와 시체를 먹어 치우는 탐욕스런 동물의 이미지로 그려졌다는 것이 흥미롭다. 따라서 이세벨의 시체를 개가 뜯어 먹은 이유를 잘 알게 해 준다.

이스라엘 백성이 왜 하필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었는지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소의 의미를 통해 알 수 있고 더러움의 상징인 돼지와 가난과 궁핍의 상징인 쥐엄 열매를 통해 탕자의 비유의 둘째 아들의 비참함을 알 수 있다.

포도원을 파괴하는 여우를 설명하면서 포도원의 의미와 특이하게도 여우가 성적으로 공격적인 남자를 상징한다는 것이 재미있다. 여우가 오늘날의 늑대 의미인 것이다.

양은 명예, 염소는 수치를 상징하며 성서시대 유대인들에게는 양이 자신에게 속한 가족을 목숨 걸고 지켜내는 가장 명예로운 동물이었다.

노아가 방주에서 까마귀와 비둘기를 날려 보낸 이유를 조류 학자처럼 잘 설명해주고 비둘기가 번제로 어린양을 드리기 힘든 가난한 사람들이 성전을 방문했을 때 번제물로 드렸는데 마리아가 예수를 낳은 후 정결레를 위해 비둘기 두 마리를 드린 것을 보면 가정형편이 무척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엘리야를 먹인 까마귀를 통해 배교하고 방종한 이스라엘을 너무 거칠고 잔인하게 다루지 말고 자비와 친절로 다루도록 가르치기 위함이었다는 해석도 독특하다.

사탄의 상징인 뱀이 점, 예언, 직관적인 인지 등을 나타내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을 볼 때 태초에 뱀에게 놀라운 지혜가 주어졌다는 것을 암시한다. 벰은 다산과 치유를 상징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인생사에서 죽음의 불가피성과 연관된다.

독사 중 하나인 살모사의 새끼는 어미의 배를 가르고 나오는데 이 때문에 독사의 자식은 끔찍한 모친 살해를 떠올린다.

그래서 독사보다 독사의 자식이 더 심한 모욕이 된다. “뱀들아 독사의 새끼들아 너희가 어떻게 지옥의 판결을 피하겠는냐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에서 외식하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에 대한 예수님의 분노를 알 수 있다.

곰이라는 난폭하고 탐욕적인 동물을 설명하면서 엘리사를 대머리라고 놀린 소년들을 저주한 사건을 다루는데 무척 흥미롭다. 유대인들에게 수염과 머리카락을 비롯해 몸에 털이 많은 것이 남성의 특징으로서 생식 능력과 생명력을 상징해 털이 몸에 많다는 것이 하나님이 그 사람을 특별히 사랑하여 은혜를 베푸셨다는 외적인 증거로 여겨졌다. 그 동안 아이들이 철없이 한 행동에 대해 너무 심하지 않았나 라는 의문이 들었는데 하나님이 쓰시는 선지자에 대한 여호와의 응답이 어떠한지 알게 되었다.

예수님 당시에는 제자들이 주로 갈릴리 호수를 무대로 활동한 어부 출신들이 많아 물고기가 흔한 먹거리였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성서시대 대부분의 역사에서 유대인들에게 그리 친숙하지 않다는 것도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