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품격 - 과학의 의미를 묻는 시민들에게
강양구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책걸상, 정치쇼 등에서 강양구 기자 코너는 애청하고 있다. 들으면서 급변하는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정보와 관점을 배우는데 큰 유익을 얻고 있었는데 마침 책이 나온다고 해서 냉큼 샀다. 책표지는 초큼 부담스러운 면이 없지 않지만 내용은 '역시' 강양구 기자다 싶었다.

기후위기, 생태적 삶 등에 관심이 많은데 생태주의자들 중에 교조적 과학주의자 못지않게 비과학적 사실에 매몰되어 있는 분들을 종종 만난다. 교조적 과학주의와 교조적 생태주의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데 강양구 기자의 글로 많은 도움을 받았다.

황우석 사태에 대한 막전막후의 이야기도 흥미로웠고. 강기자가 왜 굳이 이 내용을 책 전면에 배치했는지도 알 것 같다. 강양구 기자의 관점에서는 오늘 한국사회가 황우석 사태와 오버랩되는 점이 많기에 오늘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황우석 사태를 전면에 배치하면서 한국사회의 현실을 나름대로 고발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강양구 기자를 기자와 지식인 사회의 잠재적 우량주라 생각한다. 강양구 주식이 있다면 사두고 싶다.

책 내용은 구구절절 다 동의가 되는데 한가지 동의되지 않는 점은 수소차에 대한 관점이다. 한국사회가 전기차로 모두 바뀐다면 전력수요를 한국 내에서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소에너지와 전기에너지가 섞여야 한다는게 수소사회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주장인 걸로 알고 있다. 수소자동차에 대한 강양구 기자의 의견은 현대차의 입김에 정부가 휘둘려 가능성이 없는 곳에 너무 많은 투자를 한다는 걸로 읽히는데 개인적으로는 국낸 전력생산의 현실 상 미래 한국사회는 전기차와 수소차가 공존하는 방향으로 가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