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문학동네 시인선 60
강정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디선가 그런 말을 봤었다. 우리는 사실 살아가고 있는 게 아니라 죽어가고 있는 거라고.

 

그렇다. 우리는 하루하루, 아주 천천히 죽음에 가까워지고 있다.

 

그 죽음이 아득히 멀리 있는지, 아니면 코 앞에 있는지, 걷는 우리는 전혀 알지 못한다.


그저 걸어야 하기에 걸을 뿐. 그러니까 죽음은 날마다 우리와 가까워지는 존재다.



강정 시인은 시인으로서 죽음과 가까이 있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죽음 옆에 앉아 있다고 봐야 맞겠다.


보통의 인간은 죽음과 친구가 될 수 없지만 인간 중에서 '시인'은 다르다. 그는 죽음과 친구가 될 수 있다.


 

 

조카 죽은 다음날 새벽,

제 발로 들어간 물가에 가보았다

일 센티미터 발 앞에 물을 두고 먼 데를 칩떠보았다


물의 손아귀는 죽은 자의 이빨

다 말하지 못한 진심의 차가운 호응


- <물의 자기장> 중 일부




죽음과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죽음을 만지거나 그릴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시인은 언어를 이용해서 죽음을 형상화하기도 하고 그만의 죽음을 재탄생시키기도 한다.


강정 시인의 손을 거친 죽음은 우리가 생각해왔던 죽음과 다른 형태를 띄고 있다.


<호랑이 감정>에서는 비장하고, <가시 인간>에서는 기괴하면서,


또 <겨울빛>에서는 어쩐지 차갑고도 하얀 이미지까지 갖는다.


이 세상에 백 개의 죽음이 있다면, 시인은 백 개의 죽음을 일일이 들여다본다.



그의 손 위에서 죽음은 자란다. 자라서 귀신이 된다. 


죽음이 시인의 친구라면, 귀신은 시인의 또 다른 자신이거나 시인 그 자체이기도 하다.




말을 지워낸 시체의 첫 표정처럼

어딘가 어둑하나 전체로 투명한 웃음이 소녀의 입귀에 걸린다

산 초입에 대롱대롱 휘둘린 바람이 액자를 흔든다

나는 나의 밑그림을 놓친다


용을 잡아 각을 뜬 액자 속에서 바람이 불을 뿜는다

내가 살았던 시간이 노파의 비쩍 마른 몸피 속

늑골 사이 어둠이었음을 나는 아느냐


불구덩이가 된 소년의 몸속에서 소녀가 연방 웃는다

나는 다른 여자가 될 것이다


- <초벌> 중 일부




시인은 사적인 자리에서 본인이 시의 반을 쓰고, 귀신이 나머지 반을 쓴다고 말했던 적이 있다.


과연 그의 시는 시인 본인과 귀신 사이를 넘나들며 묘한 환상성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의 시 속 화자뿐 아니라 다른 등장인물들도 그 세계에서 사람과 환시의 경계를 유랑한다.


<초벌>의 경우 소녀가 그렇고, <돼지우리에서>의 경우 '그'가 그렇다.

 

강정의 시에서는 특히 그러한 인물이 시의 소개를 담당하며 감상의 넓힘을 유도하는 경우가 있는데, 

 

<바다에서 나온 말>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 시에서는 '창가에 서 있'는 누군가가 도입부에 등장하며 시의 분위기를 잡아주고 호기심을 끄는데, 

 

화자는 우선 이 누군가의 환상성에 주목한 뒤 그 누군가의 그림자로 시선을 옮기고,

 

시선은 마침내 화자와 누군가 사이의 '풀들'과 공간에 머물렀다가 이 세계 전체로 옮겨간다.

 

불확실한 캐릭터에서 이미지가 확실한 배경으로, 시선이 확장되면서 세계관도 넓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김진석 문학평론가는 이 시집의 해설에서 강정 시인의 시를 '부드러운 착란'이라고 논했다.

 

'착란'이 부드러울 수 있다니 처음엔 이게 무슨 소리인가 싶지만, 강정 시인의 시를 읽다보면 이 말만큼

 

그의 시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어는 없을 것이라고 확신하게 된다.

 

그의 대부분의 시가 어떤 지점에서 '착란'의 지점을 포착하고 있다는 것은 아무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인데,

 

강정 시인의 '착란'은 그 질감이 거칠거나 까끌하지 않고, 그의 단단한 세계 안에서 부드럽게 흘러넘친다.

 

 

 

도근도근,

가닿은 모든 것이 허방에서 잡히지 않는 물고기와

봄볕의 총천연색 물비늘 속에서

각자의 무지개로 어지럽게 제 뜻을 지운다

도근도근,

은 아마 눈에 오래 낀 이끼에

마음 미끄러지는 소리가 또 아니었을 것인가 싶지만 그저,

도근도근, 논다


- <도근도근> 중 일부




말할 것도 없이, 우리의 사회에는 수많은 종류의 착란이 범람하고 있다.


우리는 그것을 알고 있지만 속수무책으로 그 착란을 방치하거나 오히려 착란을 유도하기까지 한다.


그런 사회에 강정 시인이 시로써 대응하는 방법은 아이러니하게도 또다른 착란, 바로 '부드러운 착란'이다.


'도근도근'(- <도근도근>)하거나 '낮게 흐느끼는 벽'(- <소리의 동굴>)이 있는 착란이다.


지리한 착란에 익숙해진 우리는 강정 시인만의 착란을 마주하고 우리가 겪고 있는 착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부드럽게 흘러들어오는, 조용히 소용돌이치는 착란을 봤을 때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착란을 돌아본다.


그것은 지리한 착란의 사회에 녹아들기를 거부하고 까끌까끌한 길을 혼자 닦으며 걷고 있는 강정 시인이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이자 소소한 안부의 인사이다.


착란을 모르쇠로 거부할 수는 없는 세상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거친 모래알 같은 착란에 익숙해지지도 말라고.


흔들리지 않는 자신만의 세계를 갖고, 그 안에서 유영하는 착란을 새롭게 만들어내라고.


그 말에 고개를 끄덕이는 것이 우리가 독자로서 그의 시를 읽을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