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이 책은 통혁당 사건으로 20년간 복역 후 출소한, 지금은 '시대의 스승'으로까지 불리는 신영복 선생의 마지막 강의록이다. 생애 마지막 강의. 과연 그 시간에는 어떤 화두를 던지고 어떠한 말들로 풀어나가고 싶을까. 신영복 선생은 이러한 일을 동양 고전으로 해내었다. 쉽게 읽히지 않는 텍스트를 가지고 그 문장과 의미를 세세히 풀고, 거기에 본인의 경험까지 입혀서 입체적인 고전 해석을 해낸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신영복 선생이 우리에게 궁극적으로 던지고 싶었던 말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각기 다른 텍스트를 인용하지만 책 전반에서 일관되게 언급되고 관통하는 주제가 두 가지있다. 첫 번째는 세계인식이고, 두 번째가 인간이해다. 결론적으로 나는 이 "담론" 책은 세계와 인간에 대한 성찰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가 신영복 선생이 청중들에게 마지막으로 당부하고 싶었던 화두였다고 생각한다.
신영복 선생과 그의 저작들을 얘기하면서 그의 20년 간의 복역 생활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사형수일때는 죽음과 가까지 지냈고, 장기수였을 때는 생명은 있지만 희망을 꿈꿀 수 없는 절망의 나날들이었을 거라 추측할 수 있다. 그런 날중에 그는 생각하기를 멈추지 않았던 듯 하다. 장기수가 감옥 안에서 인간에 대해 그리고 관계에 대해, 생명에 대해, 삶에 대해, 세계에 대해 깊이 성찰했다는 자체가 현실성이 없어보인다. 이것이 신영복 선생이 책 첫머리에서 말한 "틀에서 벗어난 유연한 사고"인 것일까.
"담론"을 읽으며 다시 한번 텍스트를 새롭게 읽게 된 부분도 있었다. 노자의 상선약수가 그러한데, 물로 하방연대를 설명하는 방식은 신선했고, 그 뜻을 곱씹는 와중에 나름 감동도 느낄 수 있었기에, 이 부분을 읽으며 "모든 텍스트는 새롭게 읽혀야 한다"는 신영복 선생의 의미를 알 것도 같았다.
역시 녹록치 않은 책이었다. 예전부터 나에게는 신영복 선생에 대해 한 가지 편견이 있었는데 바로 쉬운 말도 어렵게 하는 재주를 가진 사람이라는 것이다. 강의 듣듯이 술술 읽을 수는 있지만, 여기에 담겨 있는 내용은 받아들이기에 결코 만만치가 않다. 일단 단어 하나하나가 관념적인 것들이 굉징히 많다. 신영복 선생이 사용한 그 관념적 단어들은 오랜 시간 고민과 사색의 결과들이다. 듣는 청중과 독자도 그 만큼은 아닐지라도 어느 정도 묵상하며 곱씹으며 읽지 않는 한 이 책의 내용들은 그저 내 눈을 스쳐지나가는, 그 이상의 의미가 없을 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