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6 - 구부의 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광개토대왕보다 위대한 왕

고구려의 왕 중에 가장 위대한 왕은 누구인가? 대부분은 뛰어난 정복군주였던 광개토대왕이라 답할 것이다. 한민족이 세웠던 그 어떤 나라들보다 넓었던 영토와 패기를 보여줬던 광개토대왕의 생애는 자주 드라마화 되었고, 그 과정에서 우리들에게 가장 친숙한 이름이 되었다.

하지만 역사를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광개토대왕이 그토록 활개 칠 수 있었던 배경엔 소수림왕이 있었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는 아버지 고국원왕의 전사로 인해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였던 고구려의 기틀을 잡고 고구려가 대제국이 될 수 있도록 기틀을 닦았다.

()족 중심의 역사 패러다임을 깨다

베스트셀러 소설가이자, 독특하고 원대한 역사의식을 보여주는 소설가 김진명은 고구려 6 : 구부의 꿈에서 그 중요성에 비해 조명을 못 받았던 소수림왕의 일대기를 재구성한다. 소설은 고구려가 백제에게 복수를 시작한 수곡성전투 앞뒤에 있었던 시기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법을 제정하고, 교육기관인 태학을 설립한 뒤 불교까지 받아들여 민심을 하나라도 만든 소수림왕 고구부. 그는 5년 동안 국력을 기른 뒤, 신들린 전법과 계략으로 백제군을 패퇴시키고 고국원왕 사후 처음으로 백제에게 승리를 거둔다.

하지만 단순히 그의 꿈은 백제에게 복수하는 것에 있지 않았다. 공자가 역사를 조작하여 통해 만들어놓은 ()’족 중심의 세계관을 깨는 것. 수많은 이민족들이 중원을 차지했지만 결국 자신들의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한족에 동화되던 것에 문제의식을 느낀 것이다.

수곡성, 그리고 이어진 서어산에서의 전투는 앞으로 있을 요하를 두고 싸울 패권 경쟁에 앞서 백제를 든든한 동맹을 만들기 위한 전쟁이었다. 하지만 고구부의 패기를 두려워한 적대 세력의 방해와 몇 번의 불운이 겹치며 그의 큰 그림은 어그러지고야 만다.

고기능 소시오패스 고구부

저자에 의해서 묘사되는 소수림왕은 조선의 정조를 연상시키는 만국의 스승군주의 모습이다. 뛰어난 지식과 새로움의 추구, 그리고 결단력으로 나라를 이끌어 간다. 하지만 스스로를 사람의 마음을 모으는 리더가 아닌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학자로 본다.

책을 읽으면서, 영국드라마 <셜록>에서 셜록이 고기능 소시오패스라고 묘사된 것처럼, 소수림왕도 일반적인 인간관계에 딱히 흥미가 없이 계속 큰 그림만 그린다. 그 과정에서 굳이 다른 사람의 이해와 공감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후 그가 실패를 겪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사람을 위하고 백성들에게 더 좋은 미래를 주고자 하는 따뜻함을 지닌 군주이기도 하다. 그 누구보다도 백성을 위하고 신하들을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고민을 오로지 비구니 한 명에게 밖에 말하지 못하는 것을 보며 애처롭고 불쌍하기도 하다.

그의 애민(愛民) 정신과 큰 그림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장면은 바로, 근초고왕 부여수와의 담판 장면이다. 단순히 국경선이 오고 가는 일 따윈 관심 없다며, 결국 백성들이 법령과 예의라는 허례허식에서 벗어나 행복할 수 있는 삶을 살기 원한다는 그의 마음을 볼 수 있다.

아직 끝나지 않은 소수림왕의 시대

이전까지 고구려 시리즈를 읽어보지 못했기 때문에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어떡하지 걱정이 많았는데, 고등학교 때까지 배운 국사 정도의 지식이 있다면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오히려 이 박진감을 다시 느끼고자 1권부터 찾아서 다시 읽어볼 예정이다.

6권은 소수림왕의 371년부터 384년의 전체 치세 중에 1/3 지점인 376년에 끝이 난다. 역사적으로 백제와의 대결전, 거란의 침략, 소수림왕의 죽음 등 많은 사건들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나올 7권 이후가 더욱 기대가 되는 바다.

p.312 모든 상황을 정리하자 그는 문득 실소를 흘렸다. 완벽한 복안이었고 설계였건만. 무엇 하나 틀어질 일이 없는 그림이라 생각했건만 치명적인 결점이 있었다. 구부와 그들은 같은 곳에 있지 않았다. 너무나 높은 견지에서 그려낸 그림이기에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다는 그 사실 자체가 바로 결점이었다. 고운이 그의 뜻을 알았더라면, 신하들이 그의 뜻을 알았떠라면 기꺼이 제 목숨, 제 자식의 목숨을 내던져 훗날의 고구려를 위해 기쁘게 죽음을 맞이했을 텐데. 백제를 잃을 일 따위 없었을 텐데. 신하들은 물론 고운도 잘못이 없었다. 미워할 필요가 없었다. 구부 스스로의 한계였다.

p.140 "말의 눈가리개란 제가 어떻게 부림당하는지, 제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세상에는 어떤 다른 것이 있는지 아무것도 알 수 없게 만드오. 이끄는 대로 달리는 일, 제 본분으로 지워진 일에 가장 충실하게 될 뿐이오. 나는 그 눈가리개를 벗기고 백성이 제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만들 것이오."
"유학 따위 저들이 얼마든지 간직하도록 두겠소. 그러나 눈가리개를 벗어난 백성이 제 눈으로 똑똑히 세상을 보며 제 손으로 자유롭게 빚어낼 앞으로의 산물, 새로이 태어날 문물은 우리의 것이 되겠지. 자연스러운 수순이오. 내가 굳이 새로운 길을 열어줄 필요조차 없소."

p.139 "공자가 그 모든 일을 시작한 것이다, 한족을 천하의 주인으로 군림케 하고자, 세상의 모든 문물이 모두 주나라에서, 즉 한족에게서 나온 것으로 꾸며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