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BOOn 5호 - 2014년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 편집부 엮음 /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월간지)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일본에 관심이 많았던 탓일까. BOON5를 신청하고 말았다. 맛배기로 보려다가 눈이 흘러간 그 책이다.

5호에는 특집으로 고시엔 신드롬, 미야베 미유키 작가에 대한 소개가 실려 있다. 일본의 문학을 엿볼수 있는 기회였다. 한신 타이거즈의 수호신 오승환에게도 눈이 간다. 야구는 가리지 않고 보는 탓이라 그럴수도 있지만 일본프로야구에 진출한 한국선수 그 중에서도 오승환의 활약상이 눈부신데 이런 내용도 담았으니 더 없이 좋았다. 가벼운 잡지라고 하기에는 너무 속깊은 이야기를 꾸밈없이 깊이 파헤치는 일본 잡지라고 해야할까.

 

오승환 선수의 한일통산 300세이브 소식을 다루고 있었는데 고시엔역사관에 전시된다고 한다. BOON5호를 보고 있노라면 고시엔 역사관에 가고 싶다는 욕구가 마구 쏟아 오른다. 사진에 담겨진 고시엔 역사관의 모습이 왠지 낯설지 않다. 일본에서 활약하는 오승환 선수도 보고 일본 문화 탐방의 기회도 살려보면 좋을 것 같다.

 

일본에 가보지 않아도 진정한 일본의 문화와 전통, 문학세계를 볼 수 있고 한일과의 관계를 한류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지금은 한일과의 관계가 소원해졌지만 역시 일본은 가깝고도 먼 나라인 것 같다.

그래도 양국민의 관심은 고대사회부터 늘 그래 왔듯이 문화와 음악, 스포츠, 예술 등 다방면에서 교류는 언제나 진행되어 왔다. 이런 BOON5호라는 잡지를 통해서도 잘 알수 있지 않은가.

 

일본의 문화는 한국방송을 통해서도 이미 퍼져 있었다. 그 좋은예로 개그콘서트의 갸류상이 소개되기도 하는데 이런 일본을 풍자한 코메디를 바라보는 일본인의 시선은 어떤가. 일본의 풍속이 오히려 이런 곳에서 쓰인다고 하니 오히려 재미있게 바라보고 있다. 이처럼 평소에 생각했던 일본에 대한 시각을 BOON5호는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했다. 흔히 일본잡지를 '찌라시'라는 속된 말을 많이 쓰지만 여기서는 왠지 그런 느낌과는 좀 다른 심각한 느낌으로 와 닿는다. 결코 가벼운 일본 잡지는 아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