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 시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제목이 주는 느낌은 무엇일까. 오후네시. 보통 오후네시라고 하면 나른하고 하루가 기울어져 가는 느낌을 받을지도 모른다. 아마도 인생에서 오후 네시를 상징하며 나른한 노부부의 인생삶을 나타내 주는 아닐까. 의문점이 발생한다. 이 소설은 인간의 내면에 대한 깊은 통찰과 자기 반성을 소재를 담은 것 같다. 책 내용이 가볍지 않고 무겁다.

 

작품의 시작 역시 인생의 말로를 준비하는 은퇴한 노부부의 새로운 삶을 소재로 삼고 있다. 아마도 지금은 그렇다고 치더라도 나 역시 나이가 들면 한 번쯤은 저런 삶도 꿈꿔왔다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래서 더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었다. 그런데 불청객처럼 등장하는 신비스러운 방문자. 오후 네시에 늘 방문한다.

 

에밀과 쥘리어트의 노부부는 정년 퇴직 후 조용한 시골에서 전원생활을 꿈꿔왔고 그들은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작은 마을에서 이웃집에 사는 한 남자가 오후 네시만 되면 나타나는 것이다. 그리고 대화내용도 묵묵무답이거나 단답형으로 대답한다. 주인공은 장문의 대답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지만 결국 실패로 돌아가고 본인의 이름과 아내의 이름까지 말하고 마는 것이다. 결국 자신에 대해서 화를 내게 되고 평화롭고 전원생활을 꿈꾸던 노부부의 삶에도 조금씩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아마 오후 네시에 방문하는 불청객의 의사는 인간 내면의 다각적이고 심도있는 이해와 심리를 묘하게 표출하는 것 처럼 보인다. 작가의 구성방식이 매우 독특하지만 자세히 읽어보고 이해하면 감응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 같다. 아옹다옹 살아온 우리의 인생살이. 역시나 작가는 말한다. 무욕(無慾)보다 더 만족한 삶은 없다고 말이다.

 

이웃집 뚱뚱한 의사가 불청객이라고 표현했지만 그 의사 입장에서는 어찌 보면 새롭게 이사온 노부부가 삐닥선을 타고 있는 불청객으로 비춰졌을지도 모를일이다. 그 만큼 다각적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만드는 작가의 심리가 돋보이는 책인것 같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라는 심오한 생각을 던져주는 숙제를 남기는 책 오후 네시.

 

참으로 새로운 발상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오후 네시. 우리가 사는 세상이 너무 자신의 욕망과 이기적인 생각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 번 쯤 생각해 볼 문제인것 같다. 늘 우리 삶이 그렇듯이 자기자신의 잣대로 욕망의 그릇에 채우려고 드는 우리네 일상은 노년기에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한 번쯤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