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망 수업 - 희망은 눈물로 피는 꽃이다
서진규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8월
평점 :

흔히 세상에서 성공한 사람들이라 불리우는 이들은 늘 그렇듯이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환경에서 자라났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세상에는 아직도 불행의 씨앗속에서 첫 스타트를 끊는 이들이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매맞는 여성, 가난하고 불행한 환경속에서 자라고 있는 아이들, 가정불화, 가난으로 공부를 못하는 이들. 작가 서진규는 이런 이들에게 희망전도사로 희망의 메세지를 전해준다.
수많은 편지들과 사연들. 그녀의 직업이 군인에서 학자(박사)로 바뀌다가 다시 강연자로 바뀌다가 지금은 작가겸 강연을 하러 다니고 있다. 물론 그녀에게는 하바드대학 박사라는 수식어도 붙고 미군 소령 전역자라는 수식어도 늘 따라 다닌다. 그래서 그런지 직업이 작가로 바뀐 이후 그녀가 가장 힘든 것은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글을 읽는 것이다. 그녀에게 온 글들을 하나 하나 읽고 있노라면 힘에 부친다. 천 명이 글을 쓰면 천 가지 글의 향기를 내뿜는다고 고백한 서진규 작가. 그녀의 희망수업은 과연 무엇일까.
나는 이 책을 읽기전에 서진규라는 이름 석자를 알지 못했다. 그러나 '희망수업'이라는 신규도서를 정독하고 나서야 비로서 알게 된 그녀의 이름이다. 주로 여성들이 편지를 많이 쓰고 있지만 남성들도 편지를 보내다고 한다. 아무튼 그녀의 인생살이 만으로도 벅찬데 타인의 삶을 속살 그대로 들여다보고 있는 것은 때론 어지럽고 힘든 일이다. 그냥 일상적인 삶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고난과 가시밭길 같은 힘든 역경을 이겨야 하는 사연들이 태반이다. 작가 본인도 밝혔듯이 그녀는 사람들을 편하게 대하고 평화로운 안식처 같은 속사이는 말로 글을 쓰고 강연했다면 이런 편지는 올 수 없다. 그녀는 사람들을 쥐고 흔드는 작가다. 대한민국의 여성으로서 강하고 불굴의 의지를 가진 그녀이기에 가발공장 직공에서 군인으로 결국 하버드 박사라는 꿈을 이룰 수 있었다.
그녀의 책에서 말하듯 스무살이 되면 스스로 돈을 벌고 땀흘려 노동을 해 봐야 인생의 값진 경험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또 강조한다. 그냥 흔히들 책에서 말하는 그런 일상적인 말이 아니라 그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녹아 내린 결단적이고 강력한 메시지로 풀이된다. 읽는 독자가 느끼는 강도는 작가가 말하는 의지와 맨트의 힘에 있음을 다시 한 번 실감했다. 경험없이 이런 힘있는 강연과 눈물비치는 열연을 맛보고 청중들은 호응할 수 없다. 경험을 서로 나누고 공유하며 인생의 값진 경험이 무엇인지 전달하며 살고 있는 그녀는 요즘 변화된 삶을 사는 독자들과 청중들을 보고 있노라면 뿌듯하고 행복하기만 한 것 같다. 희망수업을 통해 사람들이 변하고 바뀔 수 있다면 언제라도 희망의 씨앗을 뿌리고 싶어하는 서진규 작가.
이 책은 현재 행복하고 부유하게 살면서 고생 한 번 해보지 못한 꿀물같은 인생을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도 별 감응이 없을 수도 있다. 서진규 작가가 말했듯이 실패없는 인생에는 감동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이 책에서 감동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조그마한 감동이라도 느꼈다면 실패하고 힘든 과정을 맛본 사람이다. 어떤 독자들은 편지와 사연을 늘어놓은거 아니냐고 핀잔을 줄 수도 있겠지만 책을 읽으며 공감가는 부분이 있어 상당히 남다른 감응을 느꼈다. 내가 자라온 환경과 사촌들이 부유하게 자라온 환경들이 비교되었고 나 역시 졸업과 동시에 취업전선에 부딪히고 힘들게 발버둥쳤던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갔기 때문이다. 부유하게 자란 사촌동생은 서울에서 3류 대학에 갔지만 부모님이 부유해 7년간 시애틀로 유학을 갔다. 나는 서진규 작가가 말하는 '희망수업'이라는 책속에의 메세지를 확실히 알것만 같다. 경험과 이론이 일치하는 프로세스를 거칠 때 인간은 '감응'이라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산출한다. 나는 이 책에서 그런 소리를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번지르르하게 성공이나 희망이라는 잘 꾸며진 포장지로 감싸며 잘난체 제잘거리는 여타 다른 책들과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글을 잘쓰며 기교가 능한 작가의 글도 좋지만 때로는 소박하고 현장감 느껴지는 사연과 실화가 인생에서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음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