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탈핵 - 대한민국 모든 시민들을 위한 탈핵 교과서, 2014 올해의 환경책 / 『한겨레』가 뽑은 '2013 올해의 책' / 『시사IN』선정 '2013 올해의 책'
김익중 지음 / 한티재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원자력 발전, 줄여서 원전은 현재 한국에서 매우 성행 중이다.

 

정부와 언론들은 이미 노후화되어 폐기해야 하는 원전들도 다시 수명을 연장해서 가동해야 한다고 한다.

 

심지어 이명박 전 대통령은 한국이 세계로 원전을 수출해야 한다고, 일본이나 중국보다 더 원전 수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까지 했다.

 

하지만 원전이 과연 국내와 세계에 계속 설치할 만큼 안전하고 훌륭한 에너지일까?

 

이 책, <한국 탈핵>을 쓴 저자는 결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

 

원전은 전혀 깨끗하지도 안전하지도 않으며, 값이 싸거나 능률적이지도 않다는 것이다.

 

첫째, 원전에서 생기는 방사능 폐기물은 그 독성이 없어지기까지 자연계에서 최소한 200년, 최대는 무려 2만년이나 걸린다. 이런 폐기물을 대체 어떻게 한 정부가 오랫동안 책임지고 관리할 수 있겠는가?

 

둘째, 만에 하나 후쿠시마 같은 대지진이 일어난다면 원전에서 엄청난 유해 방사능이 유출되어 끔찍한 사고가 터진다. 이런 원전은 결코 안전하지도 않다.

 

셋째, 원전의 비용 자체도 결코 싸지 않다. 일단 원전에 필요한 우라늄을 정제하는데만 상당한 양의 석유가 들어간다. 더구나 방사능 폐기물들을 모아 관리하는데만 또 별도의 비용이 지출된다. 그러니 폐기물 처리와 관리 비용까지 합치면 오히려 원전이 수력이나 화력 발전보다 더 비싸다.

 

넷째, 이러한 세 가지 위험성을 감안한다면 원전은 결코 능률적인 에너지가 아니다. 또한 원전 가동을 중지하면 전력을 쓸 수 없다는 인식도 원전 업계가 주장하는 공갈일 뿐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로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들을 모두 정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국민과 기업들의 자발적인 절전으로 인해 전력 수급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위험하고 지저분하며 비능률적인 원전이 계속 존속하고 뻗어나가는 이뉴는 이 원전에 밥줄을 걸고 사는 이른바 원전 마피아들의 힘이 막강하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하지만 이대로 계속 원전을 짓다가는 우리 후손들에게 방사능 폐기물 덩어리로 가득 찬 지구를 물려주게 된다. 과연 그래야 하겠는가? 하는 것이 저자의 우려이다.

 

지금 당장 우리가 편하자고 원전을 계속 가동해야 할까? 아니면 후손들을 위해 우리가 조금 불편하더라도 원전을 꺼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탈핵 - 대한민국 모든 시민들을 위한 탈핵 교과서, 2014 올해의 환경책 / 『한겨레』가 뽑은 '2013 올해의 책' / 『시사IN』선정 '2013 올해의 책'
김익중 지음 / 한티재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2011년 후쿠시마에 이어 다음 원전사고가 일어날 곳은? 바로 한국...! 저자의 경고가 심상치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틀러의 성공시대 2 히틀러의 성공시대 2
김태권 글.그림 / 한겨레출판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 히틀러만큼 유명하면서도 또 왜곡된 이미지를 가진 인물도 별로 없을 것이다. 그가 벌인 짓거리가 워낙 규모가 큰데다, 그 막장성 때문에...

 

 그래서 히틀러를 주제로 삼은 각 대중 예술 작품들을 보면, 히틀러는 마치 천재적인 범죄자로 묘사된다. 나쁜 놈이기는 하지만, 천재라고 말이다...

 

 하지만 정작 히틀러 본인은 전혀 천재라고 불릴만한 재능이나 기량이 없었다. 유대인이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 음모를 꾸민다는 날조된 가짜 문서인 시온의정서를 그대로 믿었는가 하면, 무자비한 폭력과 불법으로 정적들을 살육했고, 민주 질서를 깔아뭉개버린 조폭스러운 인물이었으니까. 게다가 실제 정권을 잡은 이후부터는 낮잠에 빠져 업무도 게을리했다니, 그냥 답이 없을 뿐.

 

 그런 면에서 김태권 작가는 히틀러의 정치 스타일은 정치인이 아닌, 조폭이나 야만인에 가깝다고 혹평했다. 사실 그게 맞는 말이다.

 

 오늘날에도 히틀러와 같은 인물들이 없을까? 있기는 하다. 지지율은 적지만 하는 발언과 공약들이 충공깽일 정도로 황당한 정치인들인데, 이런 인물들이 만약 정권을 잡고, 자신만의 왜곡된 신념으로 밀고 나간다면, 얼마든지 제 2의 히틀러가 탄생하지 않을까?

 

 그러니까 어느 독일 작가의 말대로, 어리석은 자에게 권력을 주지 말지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틀러의 성공시대 2 히틀러의 성공시대 2
김태권 글.그림 / 한겨레출판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틀러는 천재적인 범죄자가 아니라, 사이비 음모론과 극단적인 이기주의 및 권모술수에 빠져 허우적거리던 3류 선동 정치인에 불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유맹사 - 중국 건달의 사회사: 건달에서 황제까지 대우학술총서 신간 - 문학/인문(번역) 501
진보량 지음, 이치수 옮김 / 아카넷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조폭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특히 중국의 조폭 내지 건달들은 때대로 한고조 유방이나 명태조 주원장처럼 아예 정권을 뒤엎고, 새로운 정권을 세울 정도였다. 그만큼 중국이 역동적인 사회였다는 소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