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궁녀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왕실의 의식주에서 왕손의 양육까지 궁궐의 살림꾼, 궁녀 이야기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넓게 보기 3
박영규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여자 공무원이라는 궁녀!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그 흔적을 찾아보는 것도 흥미롭고 백제 의자왕 삼천 궁녀의 사실관계 이야기속에서 궁녀를 엿볼 수 있어 좋다. 궁궐에 산다고 다 궁녀가 아니고 사극을 통해 익숙한 생각시, 견습나인, 상궁, 비자, 방자, 무수리 등 호칭이 주는 역할을 알 수 있었고 직분에 따라 지밀, 침방, 수방, 세수간, 생과방, 소주방, 세답방 조직으로 나눠서 맡은 역할을 했더랍니다. 직위도 있었데요. 선발에서부터 복장과 머리모양 월급에 이르기까지 세세하게 정보를 알 수 있어요. 무엇보다 1장에서 딱딱한 내용보다는 2장 이후 궁녀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과 왕의어머니가 된 궁녀이야기가 말랑말랑 더 재미가 있네요. 박영규 선생님의 장점이 보이는거 같아요. 이야기속에 빠지게 하는 힘이 있거든요. 연산군에게 비참하게 죽은 최전향과 수근비 얘기, 남인과 서인의 당쟁에 얽힌 홍수의변 이야기, '칠궁'은 처음 알게 되었어요 왕의 생모였던 일곱 후궁들의 신위가 모셔져 있답니다. 제3장에선 의녀이야기가 나오는데 개인적으로 의녀들의 삶이 안되보입니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대장금이야기는 드라마로 우리가 익숙한 인물이죠. 제주의녀 장덕은 충치제거하는 데 뛰어났다고 하네요. 끝나지 않을 거 같았던 역사속 이야기들이 의녀를 끝으로 책장을 덮으니 좀 허전한 감도 있습니다. 그러나 궁녀에 대해 의녀에 대해 넓게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또한 여성으로서 그시대를 열심히 살아간 흔적을 보는 것 같아 우리 자녀들이 꼭 읽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