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의 진화
홍성욱 지음, 박한나 그림 / 김영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험실의 진화


랩.......우리는 과학적 결과만을 보고 그 과실만 따먹지만

그 과정을 궁금해한 적 이 있던가....


물론 과학지망생이나 대학원생은 종종 선배나 기업탐방 등을 통해 연구실을 접할 기회가 있지만

대부분의 우리는 실험실에 대해 무지하다. 과정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누가 과학적 결과가 나오기 까지 그 과정을 일일이 들여다 보겠는가...


그래서, 그 과학적 발견들이 이루어지는 실험실!


그 실험실의 연대기를 홍성욱 박사님이 직접 알려주신다.


중세 연금술에서 시작된 과학적 연구(작업장과는 약간 다름!)

연금술이 단순히 마법을 통해 금,은으로 바꾸려는 허황된 것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연금술에 대한 욕망을 이루기 위해 그 과정속에서 싹튼 실험적 방법론

화학이 거기서 시작된 것이라는....


이 책의 신선한 견해는, 그런 것이다.

지금 우리는 연금술...뭐야! 그릇된 욕망이 빗어낸 허황된 학문이라고 치부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 당시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그러니 연금술도 방법론이나 그 당시의 과학수준으로 보자면

현대 과학의 시금석으로 볼 수 도 있다는 것이지...


연금술로 부터 시작된 실험실

실험실의 진화를 중심으로 실험실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사회학적 해석을 시도해 보는 것


그러한 진화의 동력과 힘의 근원은 무엇인지

또 최근에 새롭게 대두되는 리빙랩까지 살펴봄으로써

칼 세이건이 말한, 과학은 합리적 태도, 생각하는 방식이다라는 결론이 나오기 까지의

실험실의 모습을 고찰해본다.


중간중간 잘못된 방법론(황우석!!!과 파스테르 비교!) 도 살펴본다!

중세 연금술을 다루던 실험실 모습에서 벨연구소, 프랑스 위메르 연구소까지

현대 연구소의 모습도 살펴보고, 심지어 별도의 삽화로 더 큰 이해를 시도한다

방법론에서 대상, 규모, 도덕적 위기와 발견의 기쁨 등

다양한 이야기를 재밌게 풀어냈다.


베이컨에서 시작해서 미친 방식으로 연구한 과학자, 거기다 현재의 테크노 실험실까지....


모름지기 과학교양서를 즐겨 읽는 독자라면

과학적 방법론이 어떤 식으로 발전했는지를 찬찬히 살펴보는 재미가 쏠쏠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