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캠벨, 실리콘밸리의 위대한 코치
에릭 슈미트.조너선 로젠버그.앨런 이글 지음, 김민주.이엽 옮김 / 김영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국적기업이나 실리콘밸리 초거대기업 관리자들(ceo포함)도 결정해야 할 때면

그냥 우리 개인들 처럼 고민하고, 두려워하고 조바심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럴때 내가 한 결정이 잘 한 결정일까?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 조직의 문제가 뭘까? 전근을 가라고 하는데, 왜 이러는 거지?? 앞으로 어떻게 될까...

혁신과 개선을 어떻게 하지 등등.....

모든 문제에 대해 코칭을 통해 해법을 찾아보자는 것

비지니스 세계에서 '공감'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코칭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

언제든지 (도움이 필요한 누구와) 이야기를 나눌 준비가 되어 있고, 힘껏 안아주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새로운 관점과 통찰력을 얻거나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 역할 코칭

여기에 전설적인 코치 캠벨이 있다는 것

구글의 세르게이 브린, 레리 페이지, 에릭슈미트, 조너선 로젠버그, 선다피차이(현 ceo), 스티브 잡스 , 세릴 샌드버그, 존 도어, 밥 아이거 등 거기다가 처음 들어본 이베이, 페북 등 수많은 실리콘 밸리 기업들의 관리자들이 조언을 얻고 상담했던 코치 빌캠벨

그가 2016년 4월 암으로 세상을 떠나자 그의 매뉴얼을 책으로 남겨보고자 싶어했던,

구글의 코칭 받았던 당사자 에릭슈미트, 조너선 로젠버그, 앨런 이글이 모여서 정리해 본다.

빌 캠벨이 생존해있을 당시에는 빌 캠벨 본인이 드러나는 것을 싫어해,

아담 그랜트 교수가 코칭 법 소개할 때도 익명으로 처리할 수 밖에 없었던 것

도대체 어떻게 하길래.......그렇게들 힘을 얻고, 위안을 얻고, 결심에 확신을 가지게 되고, 끊임없이 고마워 할까...

관리받았던 사람들 모두 나의 아버지, 오프라 윈프리, giver 라고 일치하여 말하는 그....

책을 읽으면서 느낀 기시감, 욕을 해도 나를 위해서, 그리고 책망하지 않는 그런 말투를 가진 사람

뭔가 믿음이 가는 사람, 저 사람은 어떤 말을 해도 날 위해서 하는 거 같은 그런 느낌이 있는데......그런 느낌을 주는 사람일까 싶다....

이게 배워서 될까 싶기는 하지만

구글의 조너선 로젠버그가 정리해 본다.

사람이 먼저다

여행보고서로 시작하라(스몰 토크)

일대일 미팅을 구조화하고 미팅을 준비하는데 시간을 투자하라

의사결정을 이끌어 내고 직접 나서야 하는 경우(정해진 1원칙을 따라라! (핵심가치) 의견은 반박대상이지만 원칙은 반박대상이 아니다)

괴팍한 천재 다스리기(돌출난 사람이 만들어내는 이익이 크다면 품어주라!)

적절할 보상을 통한 사랑과 존중 표시

혁신은 미친사람들을 정당히 대우할 때 온다

사람을 떠나보내야 할 때가 오면 관대하게 대해라. 그리고 그들의 성과를 치켜세워라

ceo가 이사회를 관리해야지 이사회가 ceo를 관리하면 안된다

신뢰를 쌓아라(적극적 경청 - 사실만 말하라 - 정답을 가르치려 하지말고 핵심을 짚어주자 - 용기를 주자 - 스스로의 정체성을 온전하게 나타내자)

팀 퍼스트(팀을 먼저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라 - 올바른 팀원을 선발하라(쿼터백만으로 이루어진 팀을 원하지 않는다 p.164 / - 사람들을 작은 팀으로 묶어라 - 팀원을 다양화(여성 등) 하라 - 가장 큰 문제부터 드러내고 해결책을 강구 - 비관적인 생각은 제쳐두라 - 올바르게(헌신과 팀워크)로 이겨야 한다 - 리더는 더많은 헌신과 충성심을 보여야 한다 - 사람들 사이의 팀을 메우라 - 감정을 표시하라(더 잘알고, 가까우면 더 효과적이다)

사랑의 힘(진심으로 대하고, 회사 밖의 생활에도 관심, 개인적인 관심사와 가족관계도 살펴야/ 드럼박수를 통해 성과를 칭찬하라 - 언제나 커뮤니티를 만들어라- 사람들을 도와라 - 창업자를 사랑하라 - 엘리베이터에서 사소한 대화부터 시작!

 

 

 

 

빌켐벨은 미식축구 선수 출신으로 크게 성공하지 못하고,

컬럼비아에서(모교) 코치로도 연민이 많아 크게 성공하지 못하고

30대 후반 서부에서 코치로 비즈니스 세계와 인연을 맺는다.

연민과 공감이 오히려 비지니스 세계에선 성공의 비결이었고,

실리콘 밸리 초장기 기업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줌으로써

초창기 스타트업에서 거대기업이 되는 걸 옆에서 지켜보며 도움(구글과 애플 플러스 알파!!!!)

근데, 신뢰를 쌓아라는 부분에서

코칭을 아무나 하지 않고, 코칭이 통할 사람에게만 코칭을 한다는 법칙이 있는데...

그거슨....

칭을 받을 만한 사람은 겸손, 근면, 꾸준함, 배움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가 있어야 가능함.....

어떻게 생각하면 인과관계가 바뀐 걸 수 도 있는데......ㄷㄷㄷㄷ

(이런 의지 있으면 뭘 해도 성공하지 않을까 싶지만, 나는 코칭을 받을 자격이 있을까 급 생각.......)

그리고 얼마전에 읽었던 <실리콘 밸리의 팀장들>에서도

관리자들이 직원들하고 친밀해져야 일의 성과도 높아진다고...

월요일날 미팅할 때, " 어제 영희는 소풍 잘 갔다왔어? 이런식으로 이름도 기억하고, 활동도 세밀하게 기억하면 서로 신뢰와 믿음을 가지면

일도 관계도 좋아진다고 이구동성으로 강조하는데,

요즘의 개인주의적인 한국적 현실과는 맞지 않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실리콘 밸리는 이게 대세랍니다....

당신과 함께 일한 사람들이나 당신이 도와준 사람중 훌륭한 리더로 성장한 사람이 몇 명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