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수학 파이 - 지겨운 수학 시간에 친구들과 나눠 먹는 달콤한 동시집 높새바람 44
오은영 지음, 홍하나 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심력과 구심력, 블랙홀, 상대성 이론, 운동량 보존의 법칙, 공집합, 대분수, 소수 ....

이름만 보아도 머리가 지끈지끈 하신가요?


위에 적은 과학, 수학 용어들은

초등학교 3학년 아이와 재밌게 읽은 동시집 <맛있는 수학 파이> 제목 중 일부예요.



맛있는 수학 파이, 오은영 지음, 홍하나 그림, 바람의아이들, 높새바람 시리즈



 







두 아이의 엄마가 되고, 아이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는 오은영 작가님.

마음 속 아이의 이야기를 쓰신다는 작가님의 말씀이 인상깊어요.

작가님의 동화책도 만나보고 싶네요.


 







아이가 학교 아침 독서 시간에 <맛있는 수학 파이> 책을 며칠 간 가지고 가더니 끝까지 다 읽었다고 다른 책을 찾던 날,

간단히 독후활동을 해보기로 했어요. (자료출처 : 허니에듀 밴드)


독후활동지 첫 장에

책 앞 표지에 써있는 "지겨운 수학 시간에 친구들과 나눠 먹는 달콤한 동시집"이라는 글과

뒤표지 "시와 수학이 만나면 어떻게 될까? 마음에 사르르 퍼지는 수학 동시"라는 글에 대한

아이의 생각을 적어볼 수 있게 되어 있네요.


(독서 전에 적어보고, 독서 후에는 어떻게 생각이 바뀌었는지 비교하며 적어보아도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글 앞부분에 남겨둡니다.)










"그런데 책에는 과학 내용이 더 많은 것 같은데 왜 제목에는 수학 파이라고만 했을까?"라고 궁금해했던 아이 말처럼

개인적으로는 책 제목이나 소개글이 '수학'에만 치우친 것이 아쉬울 만큼

과학 동시도 가득 담겨있는 동시집 <맛있는 수학 파이>.










동시들은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개념들-물론 그 개념들을 알고 읽으면 더 재미있겠지요?-이 더 많은

3학년 아이가 읽기에도 부담스럽지 않은 내용이에요.

제목만 보고 겁 먹을 필요가 전~혀 없다는 말씀!


'해 없으면 하루도 살 수 없다며 일 년 내내 빙그르르 해 주위를' 도는 지구를

'향미 없으면 못 살 것 같아 하루 내내 뱅뱅뱅뱅 향비 주위를' 도는 아이의 모습으로 그려낸 "공전" 이야기.


일러스트도 어쩜 이렇게 상황별로 딱 떨어지는지, 그림과 시가 정말 찰떡 같아요.









과학이나 수학적 개념들과 시 속에 스르르 녹아 들어

억지로 끼워맞췄다는 느낌 없이 술술 재미있게 읽혀요.










공약수가 뭔지 아직 모르는 아이도

시를 읽고 독후활동지를 풀어내며 막힘없이 진행할 수 있는 걸 보면 역시 시의 힘이 대단합니다.

덕분에 "ooo가 뭐야?"하고 질문을 쏟아내니 수학, 과학 분야로 아이 흥미 유발하는 데에도 일조를 하네요.












"진분수 가족" 시를 만나고는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분수 이야기도 잠깐 나눴어요.

아이는 시를 읽고 우리 가족은 세 조각 피자라

시완이네 가족보다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피자 한 조각이 더 크겠다고 아이다운 생각을 하네요.








 



엄마인 제게 너무나 어려운 숙제, 시 속에 등장합니다.

'너무 가까이서'도 아니고 '너무 멀리 떨어져서'도 아닌 '적당한 높이' 찾기 말입니다.

그 마음 모르는 것도 아니고, 저도 꼭 그러고 싶은데 그 '적당한'이라는게 이렇게 어려운 것일 줄이야...


 







"책에 나왔던 것도 좋고, 책 속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수학 시간에 배웠던 것들 중에

동시로 써보고 싶은 걸 써보는 건 어떨까?"하고 제안을 했더니

아이는 '구'와 '(더하기) +'를 선택해서 뚝딱 동시를 만들어냈어요.









 

생각그물 만들고, 쓰고 싶은 것 정하고, 숙제 하면서 동시를 쓸 때 진행하던 과정은 모두 다 생략하더니

정말 1차원적으로 딱 떠오르는 것들을 후루룩 뚝딱 적고는 어찌나 뿌듯해하던지요.

아이만의 방법으로 쓴 시도 엄마 눈엔 사실 그저 멋집니다.


 







책 마지막에 '작가의 말'도 놓치지 말아야 할, 좋은 글입니다.

수학과 과학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고 하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거랍니다.




 




저는 아이가 책 속 새로운 개념들을 알아갈 때마다 이 시들이 아이에게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거라는 걸 알아요.

그래서 아이가 다시 이 동시들을 만나고 또 만날 수 있도록 노출해주는 역할을 해보기로 다짐했답니다.


"문학에서 수학으로 또는 과학으로 사고를 확장시켜 보는 그런 기회를 주고 싶었"다는 오은영 작가님의 말씀처럼

우리 아이들이 <맛있는 수학 파이>에 수록된 동시를 통해 수학, 과학을 만나보고

나아가 우리의 삶 속에서 수학, 과학 공식들을 자연스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주는 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