쳇 베이커 -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현대 예술의 거장
제임스 개빈 지음, 김현준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을유문화사에서 모집한 신간 서평단에 선정되어 이 책을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4월 30일, 세계 재즈의 날이다. 4월의 마지막 날에 쳇 베이커(Chesney Henry Baker, 1929~1988)가 남긴 음악을 들으며 이 글을 쓴다. T. S. 엘리엇은 〈황무지〉 첫 행에서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며 운을 뗀다. 엘리엇은 왜 4월을 잔인한 달이라 일축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 노릇이다. 다만 쳇 베이커가 살다 간 인생은 잔인했노라고 말할 순 있겠다.


  그는 미국 오클라호마에서 태어났다. 삶을 마감한 곳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이었다. 5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그는 석연치 않은 죽음을 맞았다. 투숙 중이던 호텔 바깥에서 피칠갑이 된 채 발견됐다. 정확한 사인은 끝내 밝혀지지 못했지만 그는 마약 중독자였다. 정신이 온전치 못한 상태에서 실족사했거나 자살했을 수도 있다. 생의 마지막 순간인 말년만 순탄치 못했던 게 아니다. 쳇 베이커라는 예술가가 살아온 궤적 자체가 마치 악보 속 고음과 저음처럼 너무도 들쑥날쑥했다. 어릴 때부터 사랑보다는 폭력을 더 받았고, 주변에서 인기가 많았던 것도 아니다. 음악에 관한 재능은 확실했지만 그 엄청난 재능을 삼키고도 남을 정도로 마약 중독에 시달렸다.


  사실 베이커 외에도 마약에 찌들어 살았던 예술가는 많다. 꼭 예술가가 아니더라도 히피 세대를 중심으로 한 한탕 문화, 마약 중독, 자유로운 삶 같은 사회 분위기는 당시 미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다. 그런데 쳇 베이커란 인물은 도를 넘은 수준이었다. 대마초부터 헤로인, 코카인, 팔피움, LSD, 코데인, 모르핀까지. 손을 안 대본 약물이 없었다. 본인부터 지독한 마약 중독자였지만 같이 밴드를 했던 음악가들, 결혼과 이혼을 반복했던 아내들 역시 마약에 빠지긴 마찬가지였다. 조국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지 못한 그는 1959년 유럽으로 건너갔다. 그 와중에 마약에 상습적으로 손을 대다가 유럽에서 추방당했다. 공연비를 항상 현금으로 받은 그는 그 돈을 마약 구매에 탕진하거나, 밴드원들에게 줄 돈을 착복하기도 했다. 그렇게1964년 미국으로 억지 귀국한 그는 다시 정처 없이 떠돌이 생활을 이어갔다. 이에 염증을 느끼다가 1975년 다시 유럽으로 건너가 활동했다.


  책의 부제목처럼 그는 조국에서 그리 환영받지 못했다. 마일스 데이비스처럼 음악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이와 너무도 대비되는 사생활, 고점과 저점이 너무도 뚜렷한 앨범 실적과 연주 실황, 지독한 마약 중독에다가 끔찍하기 짝이 없었던 사생활. 쳇 베이커는 예술을 꿈꾸는 이들에게, 아니 그저 사람들에게 반면교사로 남기 좋은 인물이다. 하지만 그의 사생활이 온갖 문제로 점철되었다고 해서 그가 남긴 음악적 성취를 평가절하 하기는 힘들다. 나 역시 이 글을 쓰는 와중에도 쳇 베이커가 분 트럼펫 연주를, 그가 녹음한 보컬을 듣고 있다. 오늘날 힙합처럼 흑인의 전유물이었던 재즈라는 음악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몇 안되는 백인 음악가이기도 하다. 


  죽어서야 고향에 돌아가 사후에 조금씩 조국에서 재평가를 받기 시작했으니, "그대 다시는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리"라고 할 만하다. 문득 작년에 보았던 영화 〈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를 마무리하는 문구가 떠오른다. "Ars longa, vita brevis.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