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 절망의 심연에서 불러낸 환희의 선율 클래식 클라우드 17
최은규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래식엔 문외한이지만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이라는 음악가는 어릴 적부터 내게 무척이나 선명하게 다가왔다. 어린 시절 집 한 구석 책장에 꽂혀 있는 위인전 시리즈를 읽었는데 내가 가장 먼저 읽었던 음악가가 다름아닌 베토벤이었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음악에 놀라운 재능을 발휘해 당대 유럽 최고의 음악가였던 베토벤은 음악가에게 가장 중요한 청력을 어느 날부터인가 문득 잃어가기 시작했다. 이런 고난과 역경, 그리고 음악가로선 치명적인 약점을 뚫고 베토벤은 오늘날까지 꾸준히 연주되는 수많은 작품들을 남겼다. 그야말로 '위인'의 표본이라 할 만하다.


어릴 때엔 위인전에 실린 인물들의 삶을 접하면서 그저 대단하다고만 느끼는 것이 전부였지만 그 때보다 나이를 먹은 요즘엔 위인전이란 것이 사실 그리 달갑지만은 않다. 아무리 위인이라 할지라도 어떤 인물의 삶이란 너무도 복잡하고 입체적이기에 한 면만으론 그 사람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판단하기 힘든 이유에서이다. 다른 #클래식클라우드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거장의 삶과 행적을 폭넓게 다루는 이번 #베토벤 역시 이 인물을 다채롭게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다.


베토벤의 흔적을 찾아 떠난 작가 #최은규 의 여정은 그가 태어난 독일 본과 대부분의 음악 활동을 한 오스트리아 빈에 집중되어 있다. 책에서 베토벤이 눈을 감기 전까지 그리워했다던 고향 본의 풍경과 도시를 흐르는 라인강의 묘사가 내가 교환학생으로 독일에 머무르는 시절 본을 여행해 베토벤 생가에 들렀던 때를 떠울리게 했다. 고향을 떠나 당시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였던 빈에서도 베토벤은 예술적 실력과 재능을 발휘해 최고 음악가의 반열에 올랐다. 이는 물론 베토벤이 누구보다 뛰어난 음악가였기 때문이지만, 클래식 음악이 궁정과 귀족 중심에서 점차 대중에게로 확대되는 시점에서 베토벤은 이전의 음악가들과 차별화되는 기법과 표현을 적극 활용했기도 했고, 수많은 귀족들의 후원을 바탕으로 생계 걱정없이 오로지 연주와 작곡에 몰두할 수 있었던 환경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인상적이었던 것은 청력 상실이라는 커다란 난관 앞에서도 끝끝내 좌절하지 않고 다시 일어선 베토벤의 예술을 향한 열정과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순수함이었다. 뛰어난 연주자였던 베토벤은 청력을 잃은 후 작곡 활동에 매진하여 주옥같은 교향곡을 남겼다. <전원>, <영웅>, <운명>, <합창>같은 그의 대표 교향굑들은 당시의 복잡한 정치적,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기도 했지만 인간의 의지와 희망, 그리고 하나됨을 그리는 그 자체로 인간을 향한 거대한 찬사와 다름없다. 


어렵고 낯설게만 느껴졌던 #클래식음악 에 관한 설명도 책에 삽입된 도판과 소개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qr코드 덕분에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내용 전달에도 신경을 많이 쓴 꼼꼼한 편집이 돋보인다. 마지막으로 책의 표지를 장식한 건 베토벤처럼 거의 평생을 빈에서 활동했던 오스트리아의 화가 클림트(Gustav Klimt, 1862~1918)의 대표작 <베토벤 프리즈(Beethoven Frieze)>의 일부이다. 음악과 미술이라는 다른 분야지만 베토벤이 장르와 시대를 초월해 다른 예술가에게 어떤 영감을 불어 넣었는지 그대로 느껴진다. 그림에선 여러 인물들이 같은 표정과 몸짓을 한 채 하나가 되어 '합창'을 하고 있다. 베토벤 탄생 250주년인 올해 베토벤의 음악은 어느 때보다 많이 연주될 것이다. 그가 남긴 작품을 들으며 이 글을 마무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