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제 떠나야겠어 한울림 그림책 컬렉션
샤를로트 벨리에르 지음, 이안 드 아스 그림, 라미파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떠나야겠어 서평

 

새학기다. 새로 시작하는 설렘과 두려움이 혼재되어 있다. 당신은 어떤 마음이 먼저 드시나요? 이 책은 떠남의 의미와 자신에게 되묻는 것이 어떻게 중요한지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 생쥐가 빨간 우비를 입고 긴 막대기로 노를 젓고 작은 텐트가 쳐져 있는 나무 뗏목을 타고 가고 있다. 수채화로 잔잔하게 펼쳐져 있는 물결이 눈에 들어온다. 생쥐에게 떠나는 것이 좋은 걸까? 나중에 반전이 놀라웠다. 우리가 무엇을 할까 말까 고민할 때는 하는 것이 좋다고 말을 많이 한다. 하지만 떠나야 할 때는 뭔가 단단한 마음을 먹어야 하지 않을까? 다시 보면서 떠나면서 겁나는 마음들이 호수의 물결과 색채로 다가온다. 강에서 다람쥐를 만나고 자신이 어디서 왔는지, 자신의 꿈이 뭔지 말한다. 여우도 만나면서 자신의 꿈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에게서 인생의 다른 울림이 다가온다. 안다는 것에 대해. 계속 누군가를 만나고 자신이 어디에서 왔는지, 자신의 꿈이 뭔지 반복하면서 자기 정리가 되는 신기한 경험을 한다. 더 놀라운 것은 아낌없이 자기가 가진 것을 나눠 주는 것을 보고 놀라웠다. 떠나면 어떤 것이 필요할지 모르는데 이것을 이렇게 줘 버리다니. 안다는 의미를 어디까지 사용하는지. 남에게 준다는 것은 또 어떤 것인지. 논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물결이 잔잔하다. 강물이 물어본다.“넌 누구니. 혼자. 다시 몰래 읽어 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학기다. 새로 시작하는 설렘과 두려움이 혼재되어 있다. 당신은 어떤 마음이 먼저 드시나요? 이 책은 떠남의 의미와 자신에게 되묻는 것이 어떻게 중요한지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 생쥐가 빨간 우비를 입고 긴 막대기로 노를 젓고 작은 텐트가 쳐져 있는 나무 뗏목을 타고 가고 있다. 수채화로 잔잔하게 펼쳐져 있는 물결이 눈에 들어온다. 생쥐에게 떠나는 것이 좋은 걸까? 나중에 반전이 놀라웠다. 우리가 무엇을 할까 말까 고민할 때는 하는 것이 좋다고 말을 많이 한다. 하지만 떠나야 할 때는 뭔가 단단한 마음을 먹어야 하지 않을까? 다시 보면서 떠나면서 겁나는 마음들이 호수의 물결과 색채로 다가온다. 강에서 다람쥐를 만나고 자신이 어디서 왔는지, 자신의 꿈이 뭔지 말한다. 여우도 만나면서 자신의 꿈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에게서 인생의 다른 울림이 다가온다. 안다는 것에 대해. 계속 누군가를 만나고 자신이 어디에서 왔는지, 자신의 꿈이 뭔지 반복하면서 자기 정리가 되는 신기한 경험을 한다. 더 놀라운 것은 아낌없이 자기가 가진 것을 나눠 주는 것을 보고 놀라웠다. 떠나면 어떤 것이 필요할지 모르는데 이것을 이렇게 줘 버리다니. 안다는 의미를 어디까지 사용하는지. 남에게 준다는 것은 또 어떤 것인지. 논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물결이 잔잔하다. 강물이 물어본다.“넌 누구니. 혼자. 다시 몰래 읽어 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나예요 - 당당하게 세상을 살아가는 주문 스콜라 창작 그림책 55
수전 베르데 지음, 피터 H. 레이놀즈 그림, 김여진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당하게 세상을,

세상을 당당하게,

뭔가 다르게 느껴진다. 당당한 것은 내가 주체인데 세상이 앞에 나오면 뭔가 덜 당당해 보인다.

내가 잘살고 있다가도 다른 상황들이 닥치거나 자기 컨디션이 안 좋아지거나

어떤 결과가 나타나거나 다른 우수한 이들이 쑥 튀어나와

나의 기를 죽인다. 왜 비교되니까. 내가 작아진다. 그 작아진 나를 알아채고

나에게 귀 기울이는 법을 알려준다.

다른 사람이 나를 못 본다. 내가 너무 작거나 너무 커서 그렇다.

이 세상에 똑같은 건 하나도 없다. 달라서

그래서 슬프기도 기쁘기도 하다.

숨을 들이쉬고 말한다. “나는 이 세상에 하나뿐이야숨을 내신다.

숨을 들이쉬고 말한다. “나는 다정해숨을 내신다.

숨을 들이쉬고 말한다. “나는 아름다워숨을 내신다.

숨을 들이쉬고 말한다. “나는 기적이야숨을 내신다.

숨을 들이쉬고 말한다. “나는 소중해숨을 내신다.

숨을 들이쉬고 말한다. “나는 있는 그대로의 내가 좋아숨을 내신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보여줄 때, 에너지가 벅차 오른다. 그래서

참지도 숨지도 않을 거라고 외쳐본다. 속으로

내 몸도, 머리카락도, 피부가 이상해 보여도, 내가 하는 것이 서툴러도.

 

어떤 순간에 당당한 친구들이 있다. 나는 그런 친구들에게 나를 드러내는 법을 배운다. 감사한 일이다. 나를 드러내기에 망설이는 친구에게 내가 본보기가 되어 주겠다고 다짐도 해 본다.

 

내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 사랑, 평화, 어울림, 희망, 존중

세상에 단 하나뿐인 꼭 필요한 존재가 된다. 나를 살피고 내 곁을 지키고

나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도 있다.

남들과 날 비교하지도 않을 거예요. 나는 나예요. 나라서 소중해요.

이 말이 당신에 가 닿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얀 늑대처럼
에릭 바튀 지음, 양진희 옮김 / 우리들의행성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얀 늑대처럼

책을 다 읽고 덮으면 이게 뭐지? 하면서 다시 책을 펼치게 만든다. 찬찬히 그림을 보면서 써진 글과 맞춰 본다.

그림책 색깔이 주로 검정과 빨갛다. 다른 색깔들이 있어도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또 토끼를 분류하는 방법들이 겉모습에 있다. 키가 작고, 수염이 짧고, 털이 하얗지 않은 토끼들은 마을을 떠난다. 아무도 말을 하지 않는다. 오직 하얀 토끼만이 하얀 늑대처럼 생긴 토끼만 말을 한다. 이 모든 것을 하얗고 키 크고 수염이 긴 토끼 한 마리가 결정한다.

그 하얀 늑대처럼 생긴 토끼는 표지에 빨간 해를 바라보면서 다리는 짝 발하고 있다. 손 하나는 허리춤에 하고 뭔가를 응시하면서 눈을 찌푸리고 있다. 그림책 중간에 짐 보따리는 떡 하니 있다. 떠나거나 떼 내려고 하는가 보다. 공존이 없다. 그 하얀 토끼는 자신이 생각한 대로 되어서 행복했을까? 다르다는 것은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가? 다르다는 것은 나의 생존을 위협하는가? 나의 일자리를 차지하고 그로 인해서 나를 힘들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나의 안락함, 풍요로움이 그들로 인해서 줄어들었다고 생각한다. 표면적 상황으로 보면 그럴 수 있다. 먹고 사는 것은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히틀러가 유태인을 그렇게 생각했고 백인들이 흑인을 그렇게 바라봤고, 우리가 동남아시아 사람들을 그렇게 보는 것 같다. 그런데 방법이 꼭 분류하고 퇴출만 있는 것인가? 세금은 들어오니 그것을 다방면의 사람의 의견을 들어서 재배치 방법을 고민하거나 합리적인 시스템을 고민하면 안 되는가? 그리고 나의 욕심을 조금 줄이고 다 같이 질적으로 행복하게 사는 방법을 고민하면 안 될까?

결국 주인공 토끼는 자기가 이상적으로 그린 늑대를 만난다. 그 늑대가 생각하는 방향이 토끼와 다르니 또 잡아 먹힌다.

조금씩 등 떠밀려 떠난 토끼들은 어떤가? 어디 가서 얼마나 고생하면서 지냈을까? 남아 있는 토끼들의 입장도 생각해 본다. 누군가 떠나는 이를 위해 말을 하면 그 불똥이 나에게 오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말을 하지 못했을까? 떠나는 이들은 슬퍼 보이고 마지막으로 숨어있던 토끼는 살아남는다. 그리고 모든 것을 지켜본다. 결국 살아남는 자는 누구인가? 세상은 누가 이끌어 가며 과연 여기서 행복한 자는 누구인가?

역사가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파친코 소설 첫 문장이 떠 오른다. 역사의 흐름 속에 있는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침묵하지 않고 눈을 잘 뜨고 지켜보는 것, 주변의 아픔에 동참하는 것... 그런 것들을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냥 산 책가방 속 그림책
레베카 구거.사이먼 뢰슬리스베르거 지음, 서희준 옮김 / 계수나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산 서평

 

산은 동물들이 생각했던 것과 완전히 달랐어요.

 

모두 조용히 모여 앉아

한참 동안 산 아래를 바라보았어요.

산 아래의 풍경은 정말 작고 평화로워 보였지요.’

 

산은 ... 그냥 산이구나.”

 

일곱 마리의 생쥐가 떠 오른다.

색깔이 다른 눈 먼 생쥐가 연못가에서 아주 이상한 것을

보고 와서 서로 하는 말들..

이 책은 여섯 마리 동물이 본 산의 모습이 멋있다.

일곱 번째 동물 새의 제안으로

다 같이 산꼭대기에 올라가서 확인해 본 후

인정하고 바라보는 사회. 부럽다.

 

산은 그냥 산이다. 그냥 산이다.

대상은 같은데 바라보는 시각의 다양성을

합의하고 그것을 그대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라는 생각이 드는 그림책.

 

코로나 3년과 우크라이나 침공과 전쟁, 새 학기

각자의 자리에서 또 다른 시작을 맞이한다.

산은 그냥 산이고 나는 그냥 나인데

그냥 나를 찾기 위해서 사회와 현실에서 우리는

만나고 부대끼고 웃고 울면서

다시 아이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왔다.

관계 속에서

나를 조용히 바라보고 살펴보는

그리고 그것을 알기 위해 여러 가지를 해 보고

조용히 나의 내면으로 들어가 살펴보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냥 산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