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읽는 이야기 의학사 1 - 선사 시대에서 중세까지 ㅣ 아이세움 배움터 20
이언 도슨 외 글, 황상익.김수연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아이들에게 다양한 책을 보여 주어야 하는 것이 부모의 역활이라면 역활일 것 같습니다.
저도 나름대로 여러방면의 책을 보여준다고 했지만 의학에 관한 책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선사시대에 사람들은 병에 걸렸을 때 어떻게 치료를 했는가를 체계적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가장 놀라운 것은 우리가 평상시에 접하고 있는 의학상식이나 의료기술이 발명된지 얼마 안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렇게 짧은 시간안에 의학기술이 발전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또 놀라운 것은 선사시대나 고대 이집트 인들이 사람들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었서는 생각보다 미개했다는 사실입니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대대적으로 내려오는 약초의 효능을 질병치료에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주로 주술사들에게 많이 의존했다고 합니다.
이동생활을 할 때에는 질병의 위협이 적었지만 농경을 시작하면서 인간이 정착생활을 하면서 가축이나 배설물등에 의한 전염병 등에 의해 인간이 질병에 많이 노출되었다고 합니다.
저는 고대 이집트 인들이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등 과학적으로 우수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서 그런지 제 생각보다는 의학 기술은 많이 발전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의사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는 것과 간단한 수술을 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인것 같습니다.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그 유명한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가 등장합니다.
그 이전에는 질병의 원인이 신의 분노나 저주로 받아들였는데 이 때부터 인체의 불균형 때문에 질병에 걸린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리스 시대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의사들이 권유한 것이 운동과, 청결, 식이요법 이었다니... 좀 우습지요? 요즘 이런 이야기는 초등학교 우리 아이도 하니...
로마시대에는 외과의사들이 등장했답니다..
왜냐하면 로마제국이 정복활동을 활발하게 하다보니 부당당한 군인들이 많았기 때문이랍니다.
로마인들은 몸의 청결하기 위해 대중 목용탕과 수로를 만들었는데 하수도 처리가 잘 되지 않아 전염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었다는 역설적인 면도 있었답니다.
중세시대에도 의학기술은 교회를 중심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간단한 치료는 가정에서 많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조금 황당한 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많이 기록되어 있어서 예전 사람들의 생각과 생활상을 읽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