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실내에 갇혀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더 넓은 공간에 대한 욕구가 커진게 사실이다. 이상적으로는 타운하우스를 구입하거나 전원주택을 짓고 싶었고, 현실적으로는 복층으로 지어진 아파트 탑층에 살고 싶어졌다. 그래서 이 책이 더욱 궁금했다. 미래의 공간에 대한 기대감으로 책장을 넘겼다.

그런데 저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기는 어려웠다. 특히 소셜믹스에 대한 부분은 납득하기 어려웠다. 심리쪽에서는 이 의견을 어떻게 볼지도 궁금했다. 엣지시티는 가고싶지 않을것같다. 좁고 긴 외국의 상업도시 또한 싫다. 그 나라들이야 마차가 다니던 시대에 맞춰서 만든 도로일 뿐이다. 현대에 굳이 외국의 좁은길을 모방해서 만들 이유가 있을까. 그냥 이 책은 작가의 판타지가 많이 반영된거로 생각하기로 했다. 아니면 더 나은 방법을 고민할 시간이 적었거나. 혹은 작가의 취향일지도 모르겠다.

권력에 관한 부분을 읽으면서 가장 포커스를 건축과 공간에 맞출 수 있는건지 의문이 들었다. 시선이 많이 모이는 곳에 권력이 생긴다고 했는데, 문화적인 배경을 이해하는데는 더 넓은 시각으로 보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건축과 공간은 하나의 형식일 뿐이다.

다만 약화되어가는 공동체 의식에 대해서는 좋은 대안을 찾으면 좋겠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는 더 나은 답을 찾아가면 좋겠다. 온라인 강의나 학원 수업을 듣지 않는 아이들이 없을텐데 지식전달자의 역할이 아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

저자가 제시한 발코니처럼 각자의 대안을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5도2촌, 호캉스 등 각자의 이상이 있을 것 같다.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은 언젠가는 또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공간을 꿈꾸고 실천할 것인지는 각자의 몫이다.

일반적으로 천장고가 높으면 창의력은 커지고, 좁은 공간에서는 집중력이 높아진다. 그래서 창의적 생각을 많이 해야 하는 철학자는 하늘을 보며 산책을 하고, 당일치기 시험 공부는 칸막이가 있는 독서실 책상의 집중 조명 불빛 아래에서 하는 것이다. 각 업종마다 회사 출근과 재택근무의 비율, 사무실 내에서는 개인 공간과 공공 공간, 창의적인 공간과 집중력을 높이는 공간의 황금비율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P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