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가 과학적일 수밖에 없는 12가지 이유 단비어린이 과학 교양
김점선 지음, 한수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 3학년 2학기 때 사회에 세시풍속과 절기를 배운다는 걸 아시나요?

다들  절기를 배운 기억이 있으신가요?? 

세시풍속과 절기가 비슷하게 느껴지기도 하지요^^:: 

 온라인 수업 할 때 선생님이 이부분 마무리하며 테스트하는데..

 대답하는 아이들이 거의 없더라구요

'우리아이만 어려워하는게 아니였어' 이런 부끄러운 안도감이 들기도 했더랬지요;;


 뉴스에서 계절의 흐름을 이야기 할 때 나오는 절기를 들으며

 "경칩이 뭐야?"하고 물었더니..

"그게 뭐예요? 콘칩친구?"

이런 창의적인 답변이 날아 오더라구요

분명 2월에 수업하고 달력만드는 것 까지 내가 옆에서 지켜봤는데 ㅎㅎ::::

뒷목에 손이 절로 가집니다. 


24절기가 과학적일 수 밖에 없는 12가지 이유

요책을 만나고 24절기를 공부 아닌 놀이로 놀면서 알아갔어요.

할머니가 절기에 대해서 모르는 손자에게 절기에 대해 알려주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시작해요,

읽어주기 편한 구어체라 술술 익힙니다. 

기억해야 할것들이 많고 새로운 것들에 지루하거나 흥미가 떨어지도 

할 수 있는 책이지만..

놀이 책으로 강추 합니다.


저는 그림 들어 간 책을 읽어 줄 때 아이에게 

" 엄마가 읽어 줄께 너는 그림만 봐~"

" 엄마가 읽으면서 못 봤을 것 같은 그림이나 신기한게 있으면 

엄마 한테 알려줘~" 

하고 말해줘요. 그럼 초 집중을 하고 보는 모습을 보입니다.

창착동화 같이 재미있지만은 않아요. 

집중력 짧은 아이는 끊어서 읽어줘도 좋아요^^

혹은

" 읽고 나서 엄마한테 퀴즈내봐~ "

정답을 말해도 좋고 

모른다고 말하면 아이들에 따라 틀리지만 

엄마가 틀린게 신나서? ㅋ

어깨춤이 추며

그림책을 펴고 엄마를 가르치려 듭니다.^^

여기에 재미가 붙은 아이는 몇번이고 다시 읽어 달라고 하기도 하지요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기는 하지만 절기가 익숙하거나 쉽게 쓰이는 글자는 아니지요. 

저는 아이들과 생일 날짜에 가까운 절기를 가져와서

oo님하고 상대를 부를는 놀이를 한참했어요. 

4월 1일이 생일인 사람은 절기 중 날짜가 가까운 청명에 님을 더해서 '청명님'

6월 5일이 생일은 사람은 '망종님'

이런 식으로 부르니 익숙해 집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할머니, 할아버니. 이모, 삼촌. 사촌동생들도

입동 할머니, 대한 할아버지, 상강 삼촌, 한로야, 하지야

절기로 가족을 부르는 우리만의 암호가 되기도 하지요


사극 톤으로 이름 부르며 대화해도 재미있어요

" 망종님 진지잡수시지요"

"청명님 편히 주무십시요"

이때 만큼은 집에 존중문화가 활짝 꽃피웁니다.



방 탈출 게임도 아이들이 좋아했어요

엄마가 쪽지에 "입춘" 이라고 적으면 

입춘 뜻을 적어요. (2점)

모르면 책을 찾아 볼 수 도 있어요.(1점)

이긴 사람이 다음 게임 진행을 하기도 하고

아이스크림이나 간식을 사주기도 했답니다.


책에 나온 절기에 관련된 속담에 빈 단어 채우기

절기 마다 즐기는 놀이 중 할 수 있는 놀이도 해요

'몸으로 절기 말해요'는 진짜 강추 입니다^^

 

3학년 수업 들어가기 전에 읽어도 좋고

저희 아이들처럼 배우고 나서 읽어도 좋은 

그림책이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