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르-죽음은 삶의 일부일 뿐,,,

4개

 

 

세계인구의 고령화가 시작되면서, 노인의 질병이나 죽음등,

누구나 거쳐야는 과정에 대한 영화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서양보다는 죽음에 대해 성찰하고 고민한 동양에서는

심심치 않게 노인 문제를 다룬 영화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강풀>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추창민>의 <그대를 사랑합니다>나,

얼마 전 암으로 죽음을 담담히 준비하는 아버지의 여정을 그린

본 다큐멘터리 <마미 스나다>의 <엔딩노트>에서도

비슷한 얘기들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흥미로운 것은,

단지, 이런 노인 문제를

일상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동양사상과 달리,

쉽게 받아 들이지 못하는 서양 특유의 혼란과 갈등을

<미카엘 하네케>는 섬세하게 잡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많은 경험이 있는 거장답게

곳곳에 숨어있는 의미있는 복선들을 찾아내는 것도

하나의 재미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영화 감독들은 복선에대해

아무 메시지가 없다고 얘기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지만,

이는 마치 같은 그림을 보고도,

다른 해석을 유도하는

유명한 화가의 놀이 같은 것이다.

 

스토리는 아주 단순하고 신파적이다.

30년 넘게 같이 산 노부부에게 다가

노인성 질병과 죽음을 대하는 배우자와 주변 사람들 얘기다.

사실 스토리는 그다지 새로울 것은 없어 보인다.

심지어, <조르주>가 병든 <안느>를 베개로 눌러 죽이는 것까지

우리에겐 그리 충격적이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미카엘 하네케>의 수수께끼 같은 복선들은

영화적 흥미를 일으키기엔 충분하다.

.

영화는 문을 부수고 들어가는 소방관의 등뒤 시선으로 시작된다.

불안하고 흔들리는 핸드헬드 기법은

이 영화에서 유일하게 유려한 카메라 워킹으로

<미드나잇 인 파리>의 촬영 감독 <다리우스 콘지>의 능력을 볼 수 있다.

<안느>의 단아한 시신을 발견하기까지

철저히 봉쇄되어있던 문과 창문은모두 강압적으로 열려 진다.

이는 침입자라기 보다는,

거부해도 소용없는 죽음 같은 강제적인 의미로 보인다.

이어, 콘서트에 간 두 노 부부의 씬에서도,

보통 무대의 주인공을 잡는 컷보다는,

관객을 롱숏으로 잡고,

불현듯 켜지는 환하게 펴지는 조명에서,

죽음과 질병의 문제가 무대 위에 남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맞부딪혀야 하는

거대한 숙제임을 암시한다.

 

갑자기 물을 틀어놓고, 깜박하는 <안느>,

초점 없는 눈으로 앉아, <조르주>를 놀래키며,

곧 자신의 운명에 저항할 수 없는 초라한 인간을 표현한다.

여기서 물의 역할 역시 감독은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다.

<조르주>의 환상 씬에서도 등장했던,

복도의 흥건히 고였던 공포스런 물은

아무리 봉쇄해고 거부해도 스며드는 죽음의 의미를 두고 있는 듯 하다. 또, <조르주>의 죽음을 암시하는 부분에서도

여지없이 부엌의 물소리는 흐르고 있다.

또, 픽스로 걸려있던 풍경화 속에도

죽음을 뜻하는 물은 흐르고 있는 듯이 보인다.

 

, 다른 한가지 영화의 중요한 의미는 방문객이다.

어떤 평론가는 문을 걸어 잠그고

<안느>의 환자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조르주>의 행동에서,

딸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의 방문을

그 들의 평온한 생활에 침입자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 <조르주>와 <안느>는 방문객을 죽음처럼 거부한다.

그토록 아꼈던 슈베르트 전문 피아니스트 제자에게

베토벤 곡을 부탁하는 그들은,

불편하기 짝이 없는 상황으로

방문객을 끊임없이 내쫓고 있는 것이다.

특히, 느닷없이 집으로 들어온 비둘기에서,

침입자들은 우리 모두가 거부할 수 없는

늙음과 죽음이란 생각을 더 굳히게 된다.

내쫓고, 거부했다가,

나중에는 <조르주>가 비둘기룰 잡아 자유롭게 놓아주기도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인간들이 거부했던 강압적인 죽음을,

초연하게 자신의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

죽음을 관리하는 주체가 자신에게 돌아옴을 뜻하는 것이다.

즉, 죽음조차 살아가는 일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조르주> 역시 맨 처음엔 비둘기를 잡기 힘들었지만,

한 번 잡아보니 쉽다 라는 말을 한다.

 

그러면서도, <미카엘 하네케>의 전용물 사디즘은

사랑을 가장하여 곳곳에 보인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물을 먹지 않는, <안느>의 뺨을 때리고,

갑자기 <안느>를 죽이는 것은,

통속적으로 <너무 사랑해>서라기엔 석연치 않다.

아무리 사랑해도,

어쩔 수 없는 자신의 무능력과 자신의 사랑에 따르지 않는 분노로,

나약한 인간의 폭력성을 보여주는 듯하다.

자신의 사랑의 방식에 따르지 않는

<안느>에 대한 이기심 아니었을까?

이는 새로 온 간병사가 <안느>의 머리를 빗기면서,

<예쁘지 않냐>며 나름대로 사랑을 쏟지만,

<안느>는 이를 힘들어하고, 심지어 폭력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결국, 사람이 사람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은 불가하며,

사랑의 이기심은 마치 죽음과 같이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완전한 사랑을 가장한 이기적인 자기애가

사랑이라고 착각하는지도 모르는 것이다.

이는 팁을 얻기 위해 간병하는 <조르주>를 칭찬하는 방문인이나,

딸 <에바>가 병문안을 와서도

자신의 <경제적 문제>나 <부부 문제> 넋두리를 늘어 놓는 것에도

사랑이라는 것이 얼마나 이기적임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아무르>, 불어로 <사랑해>라는 아주 단순한 의미지만,

<미카엘 하네케>에게

2009년 <하얀 리본>에 이어

2012년 제 65회 칸 영화제에서 두 번째 <황금 종려상>을 안겨준 것은,

<미카엘 하네케> 영화적 성향의 반전으로,

관객을 깜짝 놀라게 했기 때문이다.

이는 이미 관객이 잘 아는 거장만이 지닌 특권이기도 한데,

그의 전작,

<퍼니게임(1997)><피아니스트(2001)>등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일상에 만연하게 내재되어있던

인간의 폭력성과 잔혹성을 표현함으로써

영화계의 사디스트로 불려왔던 감독이다.

이런 <미카엘 하네케> 감독이

과거 불란서 문화원에서 불편한 의자에서 봄직한

잔잔한 정통 프랑스 예술 영화를 만들었다는 것 자체가

유럽 영화계에서는 반갑고 놀라운 일이었을 것이다.

 

더군다나, 아직도 프랑스 영화의 최대 로맨스라는 일컫는

<남과여(1966)>의 남자 주인공 <장 루이 트래티냥>을

주인공으로 앞세움으로써,

이 영화의 따뜻한 성격을 배우와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영악한 기지마저 발휘했다.

또, 어떠한 애드립이나 즉흥연기를 허락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작품을 독단적으로 이끄는 그의 연출 성향이,

세월의 두께를 더한 82세의 <장 루이 트랭티냥>과

85세의 <에마뉘엘 리바>의 담담하고 초연한 연기와 맞물려.

배역 <조르주>와 <안느>를,

격한 감정의 기복 없이 거의 리얼리티에 가깝게 표현해냈다.

이런 앙상블은 조연에까지 영향을 미쳐

<홍상수>감독의 <다른 나라에서>의 출연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딸 에바역의 <이자벨 위페르>는 물론,

연기 경험이 전혀 없을 것 같은 제자 역의

실제 피아니스트 <알렉상드로 타로>까지,

거장다운 연출로 과장되지 않은

진정성 있는 연기로 영화의 질을 높였다,

특히 <에마뉘엘 리바>는

<영국 아카데미> <전미 비평가협회>등

유명 영화제의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며,

올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도 여우 주연상 후보로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칸느 영회제 특성상,

 <황금 종려상>을 탄 작품에서

     연기상을 탈 수 없었던 것에 어느 정도 보상을 받고 있는 것이다.

 

<미카엘 하네케>의 부모의 집을

그대로 재현한 아파트에서만 이뤄지는 이 영화는

어떻게 보면, 제대로 된 음악 하나 없어,

팝콘도 소리 날까 두려워 먹지 못할 만큼

숨죽이며 봐야 하는, 지루하고 답답한 영화일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우리 나라 독립 영화 정도의 제작비일 것 같은,

이 작은 영화에 이토록 매료되는 것은, 바로 진정성이다.

모든 배우들의 덜하지도, 더하지도 않은 연기와,

아무렇지도 않듯, 참으로 얌전한 카메라 워킹,

화려하지 않은 연출력이

마치 논픽션의 감동으로 다가와

다시 돌아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누구나 죽는 것도 알고 있지만,

죽음을 준비하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사랑하는 이에 대한 사랑으로,

죽음의 공포와 슬픔을 극복할 수 있을까?

그 해답을 던져주지는 못하지만,

잊고 있었던 숙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영화임에는 틀림없는 것이다.

 

 

이혁준의 음악, 문화 얘기 http://blog.naver.com/gogotowin

이혁준의 문화 얘기 http://blog.aladdin.co.kr/700044166

이혁준의 광고, 일상 얘기 www.cyworld.com/gogotowin

이혁준의 음악 얘기 http://club.cyworld.com/gotowin

 

이혁준의 소통 http://twtkr.com/gogotowin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48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루팡 2013-02-19 17: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TV에서 대중문화평론하시는 것 봤어요. 영화얘기도 나와서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pc 2013-03-17 1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얼마전 홈피 들어갔다가 안 좋은 일이 있으신 걸 알았어요 그래서 이렇게 영화평론이나 대중문화평론이 뜸한 이유를 알았죠. 피씨방을 하면서 그나마 님의 글을 읽는게 재미였는데, 넘 안타깝네요 그래도 가끔 올려주실꺼죠? 독자들이 있다는 거 있지 마시구요

Woodytone 2015-04-28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뒤늦게 읽고 갑니다. 이런 내용이였군요. 우리 모두의 공통 과제라는 표현에 착잡합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숙제는 미루고만 싶고요.

이혁준 2015-05-01 15:31   좋아요 0 | URL
제가 블로그 운영하는데 미숙한지라.. 이제 겨우 댓글다는 법을 알았네여 졸필이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어차피 해야될 숙제라면 미루지만 말고 준비하는 건 어떨까요?

트리오 2015-12-16 15: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영화 정말 좋다 모두의 공통과제 맞는 말이다

24 2016-01-05 1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정말 죽음인 영화

sad 2016-01-06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혁준님의 글을 읽고 영화를 보면 이해가 더 좋을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아무르 2016-02-23 18: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누구나 알면서 준비하지 않는 죽음에 대해

키친 2016-04-10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곳곳에 복선이 어려웠는데 참고가 됩니다

맥스 2016-10-04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어차피 늙을건데 늙은 사람 영화를 안보는건 잘못된거겠죠? 반성반성

평창 2018-05-23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영화는 봤네요 아직도 기억나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