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회 하지 않은 MBC < 내 손안의 책>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닌데,
기분 내키는 대로 영상을 올리다 보니
이상하게도 일본 작품들에게
선뜻 마음이 내키지 않아
이제 남은 영상이라곤 일본 작품들 뿐이다
일단 내 성향은
<No 아베>일 뿐, <No 일본>은 아니라고 자부했지만,
영화관을 가면서
<유니클로> 매장에 있는 빠른 엘리베이터 대신
느린 엘리베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보며
아직도 나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는 느낌이다.
하기야
누군들 자기 자신에 대해
정의를 정확하게 내릴 수 있을까?
<나 이런 사람이야>라고
센 척 자기애를 과시하는 이들도
실상은 자신을 믿을 수 없어
스스로 만든 틀에
발가락을 저미고
손가락을 부러뜨려
남들에게 보여주는 자신을 만드는 것일 지도 모른다.
<어두운 상점의 거리>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파트릭 디아모의
자아 찾기 과정 소설
<네가 길을 잃어버리지 않게>
지식인의 교훈 강박증 없는
그저 동료를 만난 듯한 위로의 책이다
임/ 책을 보면 스탕달의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 한 구절을
인용하면서 시작하는데요,
작가의 어떤 의도가 있었을까요?
첫 페이지를 열어보면
<내가 사건의 실상을 알려줄 수는 없다
그 그림자만 보여줄 수 있을 뿐>이라는
프랑스 문호 <앙리 벨>, 필명 <스탕달>의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의 한 구절을 이용했는데요
이는 곧 이 책의 주제를 한 문장으로 알려주는 것입니다.
스탕달의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 역시 자전적 에세이로
<나는 어떤 사람이었던가,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주제를 갖고
작가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나
희미한 자신의 기억으로 정체성을 찾아가는 작품인데요
패트릭 모디아노의 <네가 길을 잃어버리지 않게>도
다른 그의 작품들처럼 주인공 다라간이
자신의 잃어버린 과거의 기억과 망각에 끊임없이 싸워가며
현재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의미를 찾으려는 과정을
추리소설같은 느낌으로 적어 내려가고 있습니다
굳이 스탕달의 한구절을 인용한 것은
어쩌면, 이 소설도 <어두운 상점의 거리>나
다른 작품처럼 <비슷한 주제야> 라고 미리 고백하면서
스포일러로 스스로 면죄부를 받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임/ 이번 책이 기존의 작품들 가운데
가장 자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그 이유가 있을까요?
모디아노의 작품은
모두 잃어버린 기억의 조각들을 맞추는 작품으로 이루어져있는데요
1,기억상실증 퇴역탐정이 자신의 과거를 추적하는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2,첫사랑을 찾아 헤매는 <지평>
3,각기 다른 세남자의 모습에 비친 각기 다른 모습의 나
<잃어버린 젊음의 카페에서>
4,그리고, 대놓고 자신의 기억을 얘기하는 자전적 소설 <혈통>등
모두 확실과 불확실의 경계에서 기억을 찾으려는 작품들입니다.
분명한 문체인 <혈통>을 제외하고는
모두 몽롱한 필체로 미스테리 추리물 형식을 하고 있는데요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네가 길을 잃어버리지 않게>는
그 기억이 어린 시절까지 다다르고 있습니다
이는 2014년 노벨 문학상 수상 연설문에도
<모디아노>가 어린 시절부터
제 부모의 지인들에 위탁되어
이곳 저곳 떠돌며 다닌 것을 고백하며
혼란스런 기억을 찾아 헤매며
본인 정신 세계의 근간을 찾으려 했다는 말처럼,
최근작 <네가 길을 잃어버리지 않게>는
모디아노가 드러내진 않았지만,
자신이 잊고 싶었던 어린 시절의 상처를 용
기내서 대면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임/ 이번 작품을 비롯해 지금까지 발표한 작품들을 보면
모두 ‘기억과 망각, 정체성’이란 주제를 다루고 있거든요.
저자가 ‘기억’이란 주제를 다루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기억이라는 건 바로 상대방의 존재가치이기 때문이죠
기억하지 않는다면, 그 것이 설령 자신일지라도
그 존재는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서로를 기억하지 않는다면 서로의 존재가 사라지듯이,
망각, 잘못된 기억은
정체성의 오류를 가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모디아노 역시 여기 저기 위탁되어지면서
거의 제대로 된 어린 시절의 기억이 없는 듯이 보여지는데요,
그런 기억들의 확립으로
오늘의 자신을 증명하고,
주위사람들의 관계도 확립하려는 의지가 보입니다.
사실 이는 모디아노의 개인의 문제가 아니죠.
복잡하고 이기적인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우리가 얼마나 잊지 말고 살아야 할 것들을 잊고 살아가며,
망각으로 지워버렸는가를 반성하게 되는
모디아노의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임/ 책 속 구절을 소개해주시는 시간..
‘내 손 안의 인생 구절’
주인공 <다라간>은 책을 쓰는 이유에서
자신의 불편하고 불확실한 기억을 되찾고자
이름만 기억나는 사람들을 등장인물로 설정하는데요
사건의 발단인 된 <기 토르스텔>이란 사람을 기억하면서
이런 얘기를 합니다
<그 존재도 우리 염두에 없던 사람들,
한 번 마주치곤 다시 보지 않을 사람들이
어째서 보이지도 않는 곳에서
우리 인생의 중요한 일역을 담당하는 것일까?>
싫든 좋든 어차피 여긴 무인도도 아니고,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며 살아가야하는 공동체이기 때문에,
자신의 존재 가치는
다른 사람과의 많은 인연이 만들어내고 있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자신의 그릇된 판단으로
혹시 소중한 사람을 밀어내고 기억에서 지운 건 아닌지
되돌아 보며 반성하게 되는 구절이죠
이혁준의 음악, 문화 얘기 http://blog.naver.com/gogotowin
이혁준의 문화 얘기 http://blog.aladin.co.kr/700044166
이혁준의 광고, 일상 얘기 www.cyworld.com/gogotowin
이혁준의 음악 얘기 http://club.cyworld.com/gotowin
이혁준의 소통 http://twtkr.com/gogotowin
네가 길을 잃어버리지 않게,파트릭 모디아노,노벨문학상, NO아베,NO재팬,일본불매운동,유니클로,MBC 내 손안의 책,내 손안의 책,앙리벨,스탕달,앙리 브릴라뤼의 생애,내가 사건의 실상을 알려줄 수는 없다 그 그림자만 보여줄 수 있을 뿐,어두운 상점들의 거리,지평,혈통,잃어버린 젊음의 카페에서,2014년 노벨문학상,다라간,임현주,임현주 아나운서,이혁준,문학동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