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현대지성 클래식 48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방인

저자 : 알베르 카뮈

출판: 현대지성

알베르 카뮈의 대표작이자 20세기 최고의 부조리 소설


책표지에 있던 처음 맞닥뜨린 단어 '부조리함'

이 책에서 과연 부조리는 어떤 것을 나타내고, 나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게 되었다.

사전적 의미로도 찾아보았다.

인생의 의의와 현대생활과의 불합리한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

의의 : 명사 어떤 사실이나 행위 따위가 갖는 중요성이나 가치.

인생의 가치과 현대생활가의 불합리한 관계......(?)

책을 읽는 중간에는 사실 파악하지 못했으나, 끝까지 다 읽고 나서의 부조리함을 조금 이해할 수 있었다.

어떤 사실이나, 행위 따위가 갖는 중요성이나 가치.

인생의 가치와 나의 가치와 타인의 가치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불합리한 관계

제1부

1부에서는 처음 오늘 엄마가 죽었다. 어쩌면 어제 로 시작한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어쩌면 어제

주인공의 어머니가 죽음을 맞이하고 이야기는 처음 시작된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로 그의 생각이 마무리가 되었다면 남들과 비슷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는 "어쩌면 어제"라는 표현을 쓰기 시작한다.

남들도 다 하는 과정이라 사장에게 장례식을 말하고 그의 어머니가 지내던 양로원으로 향한다.

장례식을 지내는 내내 양로원에서 그의 엄마를 돌아줬거나, 인사를 나눴거나, 혹은 남자친구였던 사람들이 장례식을 참여하고, 그에게 어머니에 대해서 묻는다.

하지만 그는 관심이 없었고, 어머니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지 않는다.

그렇게 모자 사이는 데면데면 하게 끝났다.

마지막까지 주변인물들은 그에게 어머니에 대한 질문에 대해 대답하지 않았고, 관심이 없었다.

그냥 이 시간이 흘러가기만을 바라는 사람으로 보였다.

처음 책을 읽을 때에도, 감성이 무딘사람이거나, 없는 사람으로 생각했다.

장례식이 끝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다.

같이 일했던 '마리'를 바다에서 만나 사귀게 된다.

여름의 바다로 나서 수영을 하고 이후 마리와 사귀게 된다.

그는 마음이 완전히 닫힌건지 '사랑'이라는 개념은 없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그는 생각보다 같이 살고 있던 아파트사람들에 대한 관심은 가지고 있었던것 같다.

강아지를 키우는 (혹은 학대하는) 늙은 노인에 대한 인상도 가지고 있었고,

레몽이라는 남자와 만나게 된다.

책으로만 접해도, 레몽은 불량하게 생겼을 것 같고, 폭력적이고, 일반적이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일러스트에 나온 레몽마저 가까이 가고 싶은 혐오적인 남자였는데..

왤까. 뫼르소는 그와 대화를 하고 , 그와 친구가 된다.

무미건조한 뫼르소는 레몽의 뭐가 끌렸는지 궁금했다.

그가 포주이면서 여자에게 폭력적인 사람이었다는 걸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1부에서는 레몽의 친구의 별장으로 레몽, 마리, 그리고 뫼르소가 바다가 근처에 있는 별장으로 여행을 떠나게 되고

알순 없지만 레몽을 노리는 아랍인들과 싸우게 된다.

레몽이 뫼르소에게 권총을 줄 때, 그 권총을 사용하지 않겠지? 라고 생각했으나.

이글이글 태양이 정중앙에 있을 때, 뜨거운 태양을 피해 그늘로 가던 그와 마주친 아랍인에게 총알 한발, 그리고 네발

총 다섯발로 아랍인을 죽게 하고 만다.

제 2부

형무소에 갖힌 뫼르소와 그의 국선변호사. 그리고 판사, 검사, 배심원, 그리고 그의 친구 레몽과 여자친구 마리가 등장한다.

형무소에 있던 뫼르소는 자유를 빼앗겼다.

무미건조하던 삶에서 무미가 강제로 빠졌다고 생각한다. '건조'한 사람이 되어간다.

자꾸만 국선변호사와 판사 검사의 대화에 뫼르소가 '주체'이지만 자꾸 뫼르소를 빼먹고 자기들끼리 이야기를 한다.

그들은 지금 아랍인에 대한 살인죄를 이야기 하지 않고

그의 과거였던 일만 밝힌다.

어머니의 장례식의 그를 봤을 때 어땠나요?

어머니의 나이도 몰랐고, 죽음의 시기가 언제였는지도, 마지막 배웅을 하지 않았던 그에게

지금으로 이야기하면 사이코패스 같은 말을 했다.

이때, 부조리함을 느꼈다.

어떤 사실이나, 행위 따위가 갖는 중요성이나 가치.

인생의 가치와 나의 가치와 타인의 가치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불합리한 관계

뫼르소의 인생을 보지 않았고,자기만의 가치로 뫼르소를 판단했다.

물론 사람을 죽였다면 죄와 형벌을 받아야 하는건 맞다고 생각한다.

술을 먹고 운전을 하는 것만 해도 예비 살인자에 해당하니까.

하지만 그들은 아랍인의 죽음에 대해 논하기 보다는 '뫼르소 개인의 가치' 와 주변인물들의 '감상'으로만 그에 대해 판단을 하고 마지막을 말한다.

'사형'

뫼르소는 이미 이 일에 대해 한발자국.두발자국 멀리 떨어져서 내 일이 아닌 것 처럼 굴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있게 되었는데, 그의 마지막이 왠지 계속 떠오른다.

그가 형무소에 들어가서 볼 수 있었던건 하늘이었다. 자그마한 창으로 볼 수 있는 별과 창문...

그리고 어머니를 떠오르게 된다.

어머니는 살아보고싶었던 것이 틀림이 없다.

오래전부터 나를 따라다닌 그 소리가 어느 순간 멎어 버린다는 것을 상상하기가 어려웠다.

나는 진정한 상상력이라고는 발휘해 본 적이 없다.

그래도 이 심장박동 소리가 내게 들리지 않을 순간을 생각해 내려고 노력했지만 헛수고였다.

이방인 / 현대지성

나는 과연 내 심장소리가 멈추는 것을 상상할 수 있을 까?

건조한 삶을 살았던 그에게도 무서운 것은 나의 심장소리가 멎어버린 다는 것이고,

사형당하는 순간 아무도 없을까라는 생각에 울부짖는 것 같았다.


소설속에서 뫼르소가 기꺼웠던 순간은 '바다'에 들어갔던 순간들이었다.

책의 마지막에 유기환 번역가님이 작성해주신 후기를 읽었을 때,

그가 그토록 바다에 자주 갔던 이유가 이런 것 때문이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상징적이라는 것이라지만, 왠지 단어의 뜻을 알고 슬퍼졌다.




이방인 /현대지성 / p.193

바다 mer 와 어머니 mere는 같은 발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뫼르소는 엄마가 보고싶을 때마다 바다에 간게 아니었을 까. 라는 생각을 하면 왠지 한없이 슬퍼짐을 느꼈다.

한 남자의 짧은 인생 이야기를 마주했다.

책에 수록된 일러스트와 함께 책을 읽었더니 , 좀 더 생동감이 있었다.






책을 읽고 부조리함에 대해서 잘 이해했는지 잘 모르겠다.

오랜만에 읽은 이방인은 삶과 죽음 그리고 남의 가치에 대한 이해가 느리지만 이전보다는 빠르게 다가 온 것 같다.

남에게 편견을 갖지 말아야지 하지만, 나도 겉면만 보고 판단할 때가 있다.

내 의견이 남을 좌지우지 하지 않겠지만 신중한 판단을 해야겠다고 생각도 들었다.

* 네이버 「디지털감성 e북카페」 카페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감상문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