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세움의 고귀한 노력~~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김운회
 
자기 민족과 자신의 뿌리를 아는 것은 매우 소중한 작업이다. 대한민국은 뿌리에 대한 통일된 견해를 갖지 못한 이상한 민족이다. 그러한 형상의 원인은 너무나 쉽게 사료가 빈약한 상태에서 뿌리를 확정하여 역사로 잡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그러한 고대사에 대해서 김운회 교수(경제학 전공)같은 비전공자가 나타나서 맞지 않은 역사퍼즐을 재병렬시키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는 학교에서 배운 역사의 의문점들에서 출발한다. 학교 역사의 사료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를 기초로 한다. 그러나 저자는 [삼국사기]는 이야기 모음집이여서 정사의 자료로 부적합하고, [제왕운기]는 시이기 때문에 정사의 자료로 부적합하다. [삼국유사]의 사료도 신뢰하기 어려운 상태로 제시한다. 이러한 사료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고대사의 정사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에서 제시되는 역사 사료는 중국의 [삼국지], [사기], [성서대전], [사기] 등과 조선시대의 사학자들이다. 다양한 사료 개발은 사학자로서 당여한 일이다. 또한 역사는 제시된 사료에 대해서 역사의 흐름을 재병렬해야 한다. 
 
첫째, 고조선이 우리의 역사인 것에 대해서 저자는 [경국대전]에서 비롯한다. 정도전은 "조선은 기자조선의 계승자라는 의미로 국호를 조선"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과 대한민국의 연결성에 의해서 고조선은 대한민국의 역사가 되며, 대한민국의 형성 국가가 된다. 그런데 문제는 "기자조선"이다. 저자는 단군이 아니라, 기자조선을 주목시킨다. 단군도 있었지만 기자가 더 높은 위치에서 제사 되었다는 것이다. 안정복의 [동사강목]에서도 기자조선이 정통, 단군조선은 부계, 위만조선은 참국으로 기자정통성을 주장한다. 중요한 것은 저자는 이러한 배열이 모화사상에 근거한 것으로 비판한 것이다. 필자는 동의하면서 그렇다면 요동에 있는 민족이 왜 우리 역사여야 되는가에 대해서 제시하려는 것이다.  
 
둘째, 본 서를 읽으면서 느낀 점은 요동의 땅이 대한민국의 고대 활동 지역이었다는 것에 상당한 설득을 받았다. 그것은 초한지나 삼국지 소설을 읽을 때에 활동배경은 북경이 등장하지 않고, 양쯔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절대로 그 이상의 북쪽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삼국지에는 제갈량이 남만을 정복하는 모습은 보이지만, 북쪽으로 진격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셋째, 홍산, 패수 등에 대한 역사적 해석의 중요성이다. 패수에 대한 해석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패수를 대동강이 아니며, 아사달도 평양이 아니라는 것이다. 압록강이라는 견해도 있고, 요하강으로 본다. 만주 대륙을 웅비한 대한민국의 역사가 왜 한반도로 밀려내려 왔는가? 그것은 모화정책과 일제식민사관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넷째, 백두산, 태백산에 대한 것이다. 단군설화에서 태백산에 내려온 환웅인데, 태백산이 현재 한국 중앙에 있는 산이 아니다. 태백산은 백두산과 동일이름이었고, 장백산 등으로 불린다. 그런데 저자는 "백두산"이 '반 백수'의 뜻으로 폄하된 이름이라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 성산으로 지목한 태백산을 백두산으로 폄하하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저자의 의도로는 조선시대의 사가들도 고대사의 왜국에 상당한 참여가 된 것이다. 그 사상은 모화사상이다.
 
다섯째, 한민족의 형성이 북쪽 대륙(쥬신, 퉁구스)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민족 형성에 현재는 남쪽에서(필리핀, 베트남 등) 올라오고 있다. 민족의 이동이 고대로부터 지금도 끝이 없는 것 같다. 생존을 위한 이동이 고대에나 지금도 변함이 없다. 그러나 자기 공동체의 근본을 확립하지 않는다면 근본이 없는 백성이 되어 큰 혼란이 오게 될 것이다. 바른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 필수적인 과제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