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더십 - 자본주의 4.0 시대의 새로운 리더십
닐스 플레깅 지음, 박규호 옮김, 유필화 감수 / 흐름출판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세상이 바뀌고 있다. 이는 생각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말이다. 실제로 어떤 기업은 전통적인 방식의 리더십을 통해 지금 현재를 맞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기업은 새로운 시대에 맞춘 리더십을 통해 새로운 사실들을 결정해 나간다.
과연 어느 경우가 더 나은 방식의 리더십인가.
이런 물음으로 책읽기를 시작했다. 

‘언리더십’은 우리에게 기존의 리더십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라는 데에서 출발을 한다. 지금의 경영 환경은 과거와 다르게 직원들 중심이 되어 있고 수직적인 연결 방식이 아닌 수평적 관계에서 시작을 해야 한다고 했다.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면 앞으로 다가올 미래도 또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함께 해결해 나가야하며 발생한 문제들을 면밀히 살펴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는데 우선 중요시되어야 하는 것이 새로운 방식의 리더십이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실행하는 단계에서부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들이 과거의 방식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을 보면서 느낄 수 있었다. 

이 책과 만나면서 처음 가졌던 생각들. 즉, 새로운 환경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생각들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주며 사람들을 새롭게 만들어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무언가 하나를 해결하려고 할 때 추체가 누구인지를 먼저 파악하고 움직인다면 그 일과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조금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까지 약간의 잡음도 있겠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현재의 환경에서 토대가 된다면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책임감 있고 다양한 열정이 살아 숨 쉬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될 거라고 본다.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을 하고 있는 이 책에서 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새로움을 가져다준다는 것에 동의를 한다. 과거의 리더십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갈등을 해결하고 이 책에서 제시하는 12가지 원칙을 경영자의 입장에서 적용을 해보면 저자의 새로운 생각이 기존의 방식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기존의 리더십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을 한 눈으로 볼 수가 있었고 새로운 리더십을 우리도 필요로 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내가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것이 지속 가능한 방식들이 새롭게 나와야하며 우리는 구태의연하게 그것을 받아들여다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아무것도 아닌 일에서 원인을 찾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들에서 생각을 하나로 모으고 열린 경영을 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며 이 책의 핵심이다. 

경영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살아 숨 쉬는 것을 보려면 경영자의 생각도 바뀌어야 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언리더십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생각들을 정리하고 담아냈다고 생각한다. 저자가 던진 시선 속에서 날카롭게 끄집어내는 이야기들이 새로운 시대의 해답이 되어줄 것이다. 

문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니 새로운 방식의 리더십이 필요함을 구태여 이야기 하지 않아도 알 수 있었다. 문제를 파악하고 분석을 통해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이 책은 지금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만들어 주었다. 또한 혼자서는 바꿀 수 없고 함께 힘을 합쳐 나누고 고민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해 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 될 거라는 것이 이 책을 읽은 솔직한 생각이다. 지금이 그때인 것만은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