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영롱한 눈빛이 소설 속에 있다면 믿겠는가. 세밀한 이야기 속에서 눈앞에 펼쳐진 풍경들이 천천히 다가오는 것을 느꼈다. 처음엔 그것이 이 소설이 담고 있는 한 여인에 대한 작은 불씨뿐이었다. 소설은 세세한 묘사와 짜임새 있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었다. 좀더 자세히 이야기 하면 한 시대를 살았던 여인을 그대로 소설로 옮겨놓았는지 알았다. 그러나 소설을 계속해서 읽어갈수록 행간에 담긴 그 느낌이 소설을 읽지 않은 사람들은 알지 못할 정도라고 크다는 것을 알았다.
이따금 그리다만 여백의 의미가 긴장감과 함께 마음 속에 초희를 담게 만드는 묘미를 갖게 했다. 그래서 손에서 이 책을 놓지 못하게 했다.
한 마디로 섬세함이 서려 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소설을 읽으면서 초희가 살았던 그 시대를 떠올려 보기도 했다.
여인의 몸으로 살았을 그 시대, 그러나 아버지가 그녀의 재능을 높이 사 글을 가르치고 시를 짓게 했던 건. 아마도 그녀가 신동이라고 느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소설 속 여인도 그러한 부분에서 화를 내고 깊은 슬픔에 잠겨 있기도 했다. 지금도 그녀의 한숨 소리가 절로 들려오는 것 같다.
그러한 시대에 미움과 원망이 부산스러움 속에서 피워 오른다. 작가는 우리에게 한 여인의 삶을 통해 이러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전해 주려고 했던 것은 아닐까
새로운 시대를 맞고 싶어하는 마음과 조선의 다양한 풍속도가 그야말로 초희의 여린 마음에 상처를 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들게 했다.
소설 속에 담겨진 다양한 볼거리와 다양한 상상력은 더욱 더 소설에 재미를 느끼게 했고 초희에게 일어났던 다양한 일들이 마치 내가 겪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착각을 하게 만들었다. 아득함이 더욱 아득해지는 것도 아마 그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내가 역사 속 인물을 소설로 읽어내는 것은 그 시대의 시대상과 삶에 대한 아련함을 끄집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 소설은 많은 묘사를 통해 실제 우리가 그 속에 살게 만들었고 그녀가 성장을 하고 결혼을 하면서 남편과의 갈등을 통해 시대를 거꾸로 되돌려 놓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잠시 생각을 했다.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초희의 한숨 소리가 미처 읽지 않은 나를 재촉했다.
실제 그러했을까 하는 부분들에 관한 부분들을 소설가는 그녀의 역량으로 채웠고 새롭게 피어난 꽃들은 그래서 문학적 상상력이다. 라고 말하고 싶다.
시대를 비판하려고 쓴 것은 아니지만 이 소설을 읽으니 절로 초희의 굴곡 많은 삶이 마음에 와 닿는다. 문학은 그래서 작은 힘을 지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소설가의 손에서 그려진 작품이 불안감에 휩싸이게 만들었다가 다시 제자리에 가져다 놓는 것을 보면서 절로 눈에 힘이 들어갔다. 계속해서 초희가 고통스러움에 머물렀다면 이 소설을 중간에 덮었을지도 모르지만 다 읽고 나니 초희가 느꼈을 초연한 마음이 먼저 앞선다.
또한 세월이 흘러 그녀와 마주 앉고 싶어지고도 했다. 그리고 작가의 생각을 조금 더 이해하게 되었다. 읽지 않은 사람은 한 번 꼭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스물 일곱의 짧은 생이 살아 숨쉬는 소설이어서 참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