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 장정일의 독서일기 ㅣ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1
장정일 지음 / 마티 / 2010년 8월
평점 :
책을 읽으면 세상을 읽는 것이다. 또한 세상을 읽기 위해 책을 읽는 것이다. 읽는다는 행위, 소위 말해서 책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즐기는 것은 꽤 평화로운 모습이며 혼자만의 시간을 잡아먹는 그런 영역일 것이다. 책을 펼치는 순간부터 책을 덮는 순간까지 그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는다면 더더욱 좋은 시간을 보냈다고 자부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이 존재하여 책을 읽고 책이 가지다 주는 여러 가지 결과론적 이미지들 때문에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형태는 반복적인 유행성 감기처럼 자신도 모르게 손에 책을 올려놓고 또 책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계속해서 반복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이다.
책장을 손으로 넘길 때 자신도 모르게 손에 힘이 들어가고 여러 가지 의문을 뒤로한 채 단지 책 읽기에만 집중을 한다. 다양하게 여러 가지 장르의 책을 보는 사람에겐 잡아먹을 듯 여러 가지 책에 시선을 두고 있지만 한 가지 분야에 관심을 두고 꾸준하게 읽은 사람이라면 그 책의 탄생 배경부터 그 책에 대한 존재까지 조금은 고차원적인 부분을 꿰뚫어 보고 또 느낄 거라고 생각한다.
하룻밤에 읽은 소설 한편. 새벽이 되어서 아니, 동이 트는 것도 모르고 읽었다면 그 속에서 행복함을 느꼈을 것이다. 그런 체험이 삶에 소중한 인연을 만들어 주기도 한다. 내가 읽은 부분과 어느 정도 맞닿는 부분이 있을까 하고 장정일의 독서일기를 읽으면서 그런 생각부터 했다.
책이라는 녀석이 과연 내게 무엇을 가져다주었으며 어떤 형태로 책을 통해 나는 작은 유희를 즐겼는지 하는 부분들을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었다. 이미 오래전부터 책은 내 주위를 맴돌거나 내 주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놓여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일들이 항상 반복해서 일어났고 내가 아무런 일을 하지 않을 때 손을 뻗으면 항상 내 친구가 되어 준 것도 책이었다. 장정일의 이번 독서일기는 예전에 펴낸 독서일기와 다른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것은 다양한 조건을 통해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인데 참 다양하게 책을 읽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면서 내가 그동안 읽어온 것들과 비교해 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가 책에 서술한 부분들을 눈으로 따라 읽으면서 아하,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처음 독서일기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 장정일이라서 어울린다고 생각했었다. 도서관에서 그간 펴냈던 독서일기들을 하나씩 들춰보면서 들춰보고 엿보는 재미로 읽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그리고 조금 더 발전된 모습으로 독서일기에서 읽었던 책의 내용과 책 제목을 옆에 놓여진 수첩에 옮겨 적으면서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면 그 책을 한 권씩 사오거나 빌려왔던 기억도 있다. 이번에 펴낸 독서일기엔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이란 제목이 붙어있다. 누구나 한번쯤 이런 생각을 가졌을 것 같다.
빌리는 책과 사는 책, 그리고 버리는 책으로 분류하여 책장을 비우고 채우고 또 쌓고 하는 것을 반복하는 모습들을 우리는 자주 하게 된다.
정리된 책장을 보고 있으면 뿌듯한 생각도 들고 평화로운 독서가 가져다주는 따뜻함에 오늘도 책을 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장정일의 이번 책은 자신의 일상과 책과 또 그의 내면의 풍경을 하나하나씩 건들려준다. 딱딱한 이론서가 아닌 조용하고 편안하게 읽히는 그런 이야기들로 꾸며져 있다. 신문이나 잡지에서 보았던 이야기가 책으로 묶이면서 새롭게 느껴지기도 한다. 오랫동안 잊힌 친구를 만나고 있다는 생각까지 하게 되었다.
내가 이 책을 처음 서점에서 보았을 때 차례를 보고 내가 읽었던 책이 있어 그 부분부터 펼쳐보았다. 그리고 다른 책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서 작가의 입장과 나와 같은 독자의 입장, 그리고 서평을 쓰는 사람의 입장까지 다양하게 느끼게 되었다. 하나의 일에 다양하게 붙여지는 다양한 모습들이 왠지 낯설게 느껴지지 않은 것은 그가 작가이기 때문에 작가다움이 책의 행간 곳곳에 담겨 있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읽는다는 것엔 공식이 없다. 그리고 의문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 이번 독서일기를 보면서 자신이 읽은 책을 대비해서 보면 읽는 재미는 두 배가 될 것이다. 그 쏠쏠한 재미에 오늘, 다시 책을 펼쳐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