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풀밭 위의 식사
전경린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사랑하는 사람의 심리는 언제나 즐거우면서도 아슬아슬한 이별의 슬픔에 대한 0.00001퍼센트의 감정을 지니고 있다. 화려한 듯하면서도 낯빛이 어두운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말로 해석해도 좋을 것이다. 밝은 톤의 말은 언제나 사랑의 감정을 배가 시킨다. 그리고 상대방의 말에 대한 퉁명스러운 반응을 보기 좋게 웃어넘기게 만들기도 한다.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이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면 당신은 아마도 사랑을 하지 않는 사람이거나 사랑의 진행형에서 멈춰버린 사람일 것이다. 그러나 단정 지어 말하지는 않겠다.
누경이 나오는 소설 ‘풀밭 위의 식사’를 보면서 강렬한 이미지 하나를 떠올려 보았다. 그간 작가 전경린이 쓰고 싶었던 것들이 한데 어울려 있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들었던 이 소설은 역시하는 느낌을 갖게 했다.
사랑에 관한 단연 최고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이 책은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사랑을 꿈꾸지 않는다. 적어도 내게는 그런 느낌이 커다란 눈구름이 되어 돌아왔다.
사랑을 통해 얻게 되는, 얻고 싶어 얻는 것이 아닌 상처는 심하게 누경의 마음을 흔들어 놓는다. 사랑에도 차별이 있는 것일까?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몇 군데의 대목들을 보면서 사랑에 대한 희망과 절망을 동시에 느끼게 만든다.
어제의 사랑이 오늘은 어떻게 변해 있는지,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시점에서 간략하게 정리하면 사랑에도 차별은 존재하고 콤플렉스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다름 아닌 사회의 제도와 관습이 사람과의 만남을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사랑이 어찌 제도가 있다고 해서 그 국경을 넘지 못하겠는가. 아픈 만큼 성숙한다는 말이 있다. 그 말을 나는 누경에게 이야기 해 주고 싶다.
겹겹이 쌓여진 누경의 마음엔 어느 순간부터 사랑의 불신이 생겨버렸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혼잣말로 그 사랑을 속삭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사랑, 그깟 거 아무 것 아니라고 치유해 버리기에는 누경의 마음의 상처가 크고 깊다. 고통스러운 과거의 단면이 지금, 누경의 마음을 누그러뜨리지 못한다. 그리고 매번 그 순간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누경에게 가장 커다란 문제가 무엇일까. 이것은 소설을 읽어가면서 내 머릿속을 한번도 떠나지 않았던 질문들 중에 하나였다. 소설을 계속해서 읽어가면서 들판에서 잠시 숨을 고르는 누경의 모습을 보면서 사랑이 치유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 하지만 책장을 덮으면서 사랑은 희망이거나 절망. 두 가지의 공통된 마음을 지닌다는 생각도 다시금 생각하게 했다. 처음 사랑에 대한 단순한 마음이 점점 복잡해지는 30대 중반의 누경을 보면서 왜 그토록 사랑의 마음에 문을 닫고 있는지 궁금했었다. 그리고 늘 전해져 오는 솔직한 물음에 대해 되묻고 싶은 생각을 갖게 했다. 세상은 아마도 커다란 사랑의 벽이 가로막혀 사랑을 전하지도 못하고 전해 받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많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또한 그 사랑으로 인해 이제는 더 이상 치유가 되지 않는 삶을 살고 있는 사람도 분명 있으리라고 생각했다. 소설은 나에게 과거의 고통이 현재의 삶을 좌우하기도 하지만 헤쳐 나갈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주었다고 생각한다. 그 마음을 갖게 위해 과거를 치유하고 열린 마음으로 세상을 담담하게 받아들여야 할 거라는 것도 알게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불안한 마음을 편안하게 만든다면 사랑은 어느 사이엔가 자신의 마음에 들어와 문을 똑똑 두드릴지 않을까
누경의 삶을 하나하나씩 밟아가다 보니 사랑이 새롭다는 것을 또 다시 느끼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