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에게 강을 건너지 못하는 애달픔과 먼 발취에서 바라보는 고향의 슬픔은 어떤 풍경으로 비춰질까.
‘공무도하’를 인터넷에서 연재를 했을 때부터 나는 이 작품에 눈길을 보냈다. 애정이 듬뿍 담겨진 눈길을 보내면서 하루하루 올라오는 짧은 분량에 애간장을 태우기도 했다. 전작들에서 보여 졌던 커다란 스케일의 모습은 많이 사라졌지만 김훈만의 스타일은 소설 속 곳곳에서 다양한 인물들과 함께 여러 사건들을 두루 보여주었다. 

‘해망’이란 가상의 공간은 그래서 더 김훈스러운 공간으로 비춰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 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매우 현실적인 모습으로 읽히고 있었다.

기자인 문정수를 주목하면서 그의 삶을 조근 조근 따라 나섰다. 김훈 작가가 기자 출신이었던데 따른 나름의 대시였던 셈이다. 그리고 그가 보여주는 현실적인 모습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여기를 고스란히 담고 있어 생생한 현장감을 던져 주기도 했다. 비루한 모습과 하루를 살기 위해 여기저기 오가는 모습 등을 보면서 왜 강을 건너지 못하는지, 왜 마음먹은 데로 살아가지 못하는지, 안타까움이 마음에서부터 탄식처럼 터져 나왔다.

살아가는 방식은 저마다 다를 수 있지만 목표를 세우고 자신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나오는 생각은 비슷비슷한 것 같다. 내가 보살펴 주어야 할 사람에겐 한없이 친절하고 계획을 세우면서 실천하는 것에는 매우 열정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들.

지극히 개인적인 모습이라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어쩌면 우리의 일상의 한 부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게 했다. 때때로 인생의 목적이 무엇이냐고 묻는 사람에게 오히려 따뜻한 이불을 덮고 잘 수 있는 여유의 공간이 필요한 사람이 되어 보라고 권해주고 싶은 것처럼 이 소설이 나를 완성해 가는 경험적인 측면에서 많은 도움이 되어 주었다.

인간의 부족한 단면처럼 기억을 끄집어내게 하고 그 기억 속에서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보면서 혼돈으로 얼룩진 삶을 조금이나마 밝게 바라보고 내 앞에 놓인 꿈을 더 이상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앞으로 나아가야겠다.
문정수는 나름대로 열심히 살고 있다. 여기엔 아무런 이견을 갖지 않는다. 이것이 우리의 모습이며 예상하지 못했던 삶의 연속적인 부분들을 많이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김훈의 다음 작품이 기다려지는 건 자신을 성장해내는 힘이 있고 인생이란 거래에서 자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물을 그려내고 있는 힘이 있기 때문이 아닐는지.
김훈의 인물에서 세상을 배우고 타인에게 말을 거는 방법을 익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