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 위의 소녀
델핀 드 비강 지음, 이세진 옮김 / 김영사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소녀의 시선이 차분하게 그려진 소설을 읽었다. 한치 앞도 알수 없는 이야기. 서로 다른 환경에서 태어나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그들에게 일어나는 이야기. 누군가에게 말을 할 때 자신만의 입장만을 보여 주던 것에서 서로 같은 나이 또래의 아이들은 자신의 삶을 공유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것은 발길 닿는 대로 떠도는 루와 다르게 노는 자신에게 던진 것들은 하나씩 들려 주고 싶어한다.
그리고 짜증이 나더라도 참고 견뎌 본다. 왜 이런 모습을 보여 주었는지. 노의 시선을 통해 어른들의 세계가 아닌 모습이 순수하게 그려진다. 그리고 자신이 태어난 상황과 지금의 모습을 조심스럽게 들여보게 된다. 세상이 싦어 무조건 도망 다니고 쫓겨나다시피 했지만 루는 노를 만나면서 자신의 하루를 돌아보게 된다. 그리고 자신과 같은 시선을 가지고 있는 노에게 마음을 보이기 시작한다. 노에겐 압도할 수 있는 '존중'이란 무기가 있다.
그러나 그들이 만날 수 있는 날은 한정이 되어 있다. 그것은 그들이 만나고 헤어지기를 반복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모습에서 자신의 위치를 발견하는 것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분명한 것은 냉소적이었던 루가 노에게 자신의 심장과도 같았던 시간을 내어 준다는 것이다.그리고 사소한 것들을 하나씩 이야기 하는 시간들을 보면서 망설이거나 한 곳을 오래도록 바라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른의 눈이라면 무언가의 일에 있어 생각을 해 보고 또한 자신과 맞는지 재보기도 하면서 자기 중심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이 소설에서는 그런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이 소설이 계속해서 무언가를 찾을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른의 입장에서 노의 부모의 모습은 어쩌면 이 시대가 가지고 있는 부작용의 모습을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노가 루를 찾아 나선 길에서 만난 모습들을 어른인 노의 부모는 이해하지 않는다. 아니 아예 아이의 말을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다. 그저 자신의 삶에 충실할 뿐이다. 무관심과는 조금 다른 느낌을 받았지만 근본적으로 본다면 우리가 떨고 있는 수다의 연장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노에겐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는 농담들이 어른들의 세계에선 버젖이 이야기의 화제꺼리가 된다는 것이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무언가에 대한 갈망을 하고 평범하지만 자신의 인생을 어떻게 보낼지 고민하는 흔적들을 보면서 가족이 주었던 의미가 친구가 주는 커다란 의미를 덮이면서 이제는 누구도 그 사이를 방해하지 못한다. 순수한 모습 연예가 가지고 있는 사랑의 의미. 완벽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흐트러지지 않는 모습들을 보면서 솔직히 그들을 혼내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은 어른들이 많이 미웠다.
노와 루가 주고 받는 이야기들이 세상에 대한 문제를 조심스럽게 끄집어 내고 어느 것 하나 빠뜨릴 수 없다는 굳은 의지를 갖게 만든다. 이 모든 것들이 한참을 돌아 온 덕분일 것이다.
'길 위의 소녀는' 무한한 가능성을 던져 놓으며 같이 함께 있다고 고백을 하는 한 소녀의 성장기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비슷한 삶들이 모여 있는 하나의 결정체 같기도 했다. 리고 그들은 함께 있었던 그 시간을 오래도록 생각할 것 같다.
때론 감정적이고 때론 감동적이었던 시간들이 푸른 숲속의 달에 머물러 걸었던 길을 생각하게 할 것이다. 주어진 세상, 이제 어떻게 걸어갈 것인지. 그들을 위해 주어진 시간과 그 길에 나도 조심스럽게 발을 들여 놓아 본다. 이제 이 소녀를 위해 고마움의 편지를 써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