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 이후의 삶 - 개정판
디팩 초프라 지음, 정경란 옮김 / 행복우물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자신의 가치와 생각으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그리고 많은 기대와 많은 소망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이면 한번쯤 자신의 삶, 현재의 삶을 바라보고 반성을 하게 된다. 삶과 죽음, 이 두 가지의 질문과 생각을 엮어 놓은 책이 있어 나는 이 책을 통해 내가 그동안 모르고 지나쳤던 사후 세계 아니 현재의 삶이 아닌 다른 삶의 모습을 보고 싶었다.
주변에서 흔히 죽음 이후의 삶이 있다는 말을 종종 들어왔던터라 이 책에서 이야기 하는 것들을 눈으로 읽어가면서 어떤 모습으로 그려져 있을지 읽기 전엔 사뭇 긴장도 되고
스스로 떨렸다고 표현해야 옳을 것이다.
이 책은 삶과 죽에 대해 철학적인 관점으로 들여다보고 있었다. 의사의 자신의 본업에 충실하여 과학적인 접근은 또한 철학적 사유를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 주고 있었다. 사실 쉬운 논점으로 접근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내 판단은 이 책을 읽어 가면 차츰 그 생각이 잘못 되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의사의 모습은 차분은 글로 형성이 되어 죽음과 삶의 모습을 진진하게 보여 주고 많은 시간 동안 실험과 자신의 경험의 토대가 되어 이 책이 엮어졌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이러한 생각들은 어쩌면 우리가 그동안 선과 악으로 이분되는 양분화의 과정가 같은 생각을 갖게 만든다. 이렇듯 선과 악의 영원한 투쟁처럼 삶과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삶은 어쩌면 어떤 형식적인 뚜렷한 목적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한번쯤 생각해 보고 자신을 반성한다면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고 그럼으로 해서 우리가 쌓아온 선업등을 생각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이 된다.
이것은 단 한번의 생이 가지는 중요한 느낌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 일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철학적 생각으로 굳어지는 것이 아닌 다양한 삶의 모습을 담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제한 되는 것이 아닌 인간의 행동의 토대가 되고 자신의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가는 길일 것이다. 죽은 자들과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어쩌면 우리가 그동안 하나의 영역에 너무 집착을 하여 오르려고 하는 것에서 빚어진 것이 아닐까 심호한 황홀경을 이 책을 통해 느끼고 배우고 생각할 수 있었다는 것은 엄청난 속도의 인간의 모습과 삶의 정점에서 우리가 우주를 바라보고 우주의 신비와 진정한 실체를 갖게 되는 계기가 아닐까?
환생과 같은 창조에 의한 모습에서 우리는 많은 사건들과 가능성을 발견하고 죽음 이후의 삶이 가지고 있는 꿈의 이상, 현실과 다른 것에서 괴리감을 가지지 않고 지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것에 더욱 더 매진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의식 속에 들어와 있는 죽음, 그리고 그 죽음의 이면의 모습은 어쩌면 사람의 흔적인 남긴 유일한 증거일 것이다.
아무도 죽음 이후의 모습은 겪어보지 못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삶을 두려워 한다. 이러한 경험적 체험은 죽음에 대한 우주로의 연결을 의미하며 생생한 저자의 삶과 같은 뜻을 할 것으로 본다. 이 책이 가기고 있는 종교적인 색체들은 어쩌면 우리가 이 책을 읽어가는데 거부감을 줄이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진진한 태도로 이 책을 들여다 보면서 나는 현실감을 더욱 더 크게 가지게 되었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우주로의 세계관을 배울 수도 있어 행복하게 책장을 덮었다. 사람은 태어나서 언젠가는 죽게 된다. 삶과 다르다고 다르게 바라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진진한 강의에서 우리가 들었던 것처럼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황당하거나 그렇다고 이 세계와 동떨어진 이야기는 아니다. 오히려 힘들게 말을 꺼내는 사람처럼 이 책에선 다양한 경험과 종교의 다양성에 대해 우리가 이해하고 나를 조금 더 보여주려고 한다면 이 책은 그 생생함을 영화를 보듯 보여 줄 것으로 믿는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창조적이며 과학적이고 경험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