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서의 기술 - 심리학자의 용서 프로젝트
딕 티비츠 지음, 한미영 옮김 / 알마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또 상처를 주는 말을 했었는지 조금은 나를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나에게 어떤 말로 상처를 주고 아직도 앙금처럼 마음에 담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사실, 상처 주는 말은 우연히, 툭 뱉어내는 말이라지만 그것을 듣는 상대방의 입장에선 하늘이 무너질 정도로 커다란 상처로 마음에 박히게 된다. 그것을 미리 알지 못하고 있기에 그렇게 행동하고 말을 뱉어 낸 것 일 텐데.
그것을 여전히 마음에 품고 있다는 것에 나는 다시 한 번 더 놀라웠다.
누군가를 용서 한다는 것. 참 어렵고도 하기 힘든 일일 것이다. 그리고 그 용서라는 말은 어떻게 설명할 수 없이 그저 들어 주는 일이다.
실천할 수 없는 용서, 그 실천의 키워드를 이 책을 통해 듣고 느끼게 되었다. 용서에 대한 심리적인 요소들과 체계적인 이야기의 구성. 이 책은 용서에 관한 모든 것을 담고 있다. 화에 대한 단계별 유형에 대해 내가 유독 관심을 기울인 것은 그동안 나의 ‘화’는 순간적인 우발적인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을 대처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자신만의 유형을 작성했고 그곳에 설명과 함께 내가 편안하게 읽게 도와주었다.
살아가면서 나는 아니 나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은 서로 ‘관계’라는 것을 통해 서로 의견을 주고 받는다. ‘관계’가 좋다면 너무나 이상적인 것이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이 책을 들여다 보면서 나 자신을 그리고 상대방의 마음을 조금은 이해해 보는 것은 어떨까
연달에 서서 발표하는 발표자가 아닌 편안한 옆의 친구처럼 저자가 설명해 주고 느끼게 해 주어서 책을 읽는 동안 편안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용서를 할 수 있는지 방법론적인 것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마음을 어떻게 하면 편안하게 하고 어떻게 하면 상처를 덜 줄 수 있는지 알게 되었다.
제목처럼 용서에도 기술이 필요 한 것 같다는 생각을 뼈저리게 했던 시간이었다. 이제는 그동안의 경험과 남을 용서 할 줄 모르고 나 자신의 입장에서 생각했다면 앞으로는 나를 통해 다른 사람을 용서하고 서로가 화목했으면 좋겠다.
저자는 용서의 당위성을 설명하면서 어려울 수도 있는 것이 용서라면 용서를 하고 난 이후의 모습을 생각하면서 용서를 한다면 어느 것보다도 쉬운 일이 될 것이고 마음 또한 새로워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용서에 대한 중요한 판단, 용서를 마음이 아닌 실천으로 옮기게 해 준 이 책에서 나는 용서를 하는 방법론적인 것까지 알게 되면서 이제는 용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동안 마음에만 담아 두었던 용서해야 할 사람들을 떠올리면서 저자가 이야기 한 여러 가지 단계와 유형들을 다시금 살펴보면서 그 사람들과 어떻게 하면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앞으로 더 생각하고 실천하면서 용서의 완성을 이루어야겠다. 한번 하기 시작하면 용서는 한순간에 이루어질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