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제 기계의 비밀 뒹굴며 읽는 책 9
댄 거트먼 지음, 김율희 옮김, 최정인 그림 / 다산기획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게으름에서 비롯하여 발견되어지고 발전되는 것을 발명이라고 이름 붙여 보았다.

적어도 네 명의 아이들에게는 숙제가 더 이상 골칫거리가 되지 않았다.
그 시간에 다른 것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고 장담하고 나서는 아이도 있었다.
숙제기계라가 발명되어진 것은 바보처럼 숙제먼저 해야 하는 것이 싫다는 엉뚱함에서 비롯되었고 그 시간이 낭비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시작 되었다.
숙제 기계가 발명 되어지고 자신의 글씨체와 같은 글씨체로 프린트가 되는 기계 때문에 프렌트은 짧은 시간 기다리기만 하면 숙제가 완성되어지고 마무리가 되었다.
브렌튼은 숙제 기계로 인해 친구들도 얻게 되고 상상한 것 이상으로 절대 친하지 못할 것 같은 아이와도 친구 사이가 되었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선생님이 내 주시는 숙제가 아이들이 행복할 수 있는 시간과 행복 추구권을 빼앗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잠깐 생각해 보게 하였다. 그리고 아이의 친구들이 집으로 놀러 오는 것을 좋아하는 브렌튼의 어머니로 인해 아이는 어머니가 좋아하시니깐 자신에겐 필요 없는 친구들이 집에 오는 것을 나쁘게 생각하지 않았다.
천재로 보이는 브렌트은 더 이상 외롭지 않았다. 이것이 그 아이에게 자신이 생각했던 부분들이 조금씩 완성 되어지고 조금씩 낳은 삶은 살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9월부터 시작된 이야기는 1월을 맞으면서 조금씩 숙제하는 기회를 놓치고 습관을 잊어버리고 있었다.
네 아이들을 숙제를 대신 해 주는 숙제 기계로 인해 숙제에 대한 생각을 망각하고 숙제 기계에 의존한 채 중독이 되어 갔다.
또한 다른 아이들에게 D조의 아이들은 시샘의 대상이 되고 급기야 익명 제보로  그들의 행동들이 수사의 범위에서 좁혀지게 되는 것을 보면서 아이들에게 숙제란 무엇이며 숙제를 내 주는 선생님들은 무엇을 위해 숙제를 내고 있는 것인지 회의를 갖게 만들었다.
누군가의 상상이 초래 하여 발명한 기계로 인해 우정도 친구간의 유대감도 사라지는 것을 보고 안타깝게 느껴졌다. 무엇보다 그들은 서로 서로 자신의 마음을 숨긴 채 다가서고 행동하는 것이 어쩌면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가져 보았다.
이 책이 요즘의 사회 모습을 축약해 놓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숙제를 하기 위해 컴퓨터를 켜고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는 모습의 아이들과 그 숙제 내용이 비슷비슷해지는 것이 개인의 숙제가 개인의 개성과 창조성 없이 그 내용이 그 내용으로 흐른다. 그리고 숙제를 내는 의미도 없어진다. 중간 중간 글에 대한 삽화가 재미와 웃음을 전해 준다. 웃다가 모두 다 읽어 버렸다. 손수 숙제하기를 빌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