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바이러스의 습격 - 바이러스의 모든 것 I need 시리즈 24
박상곤 지음, 이승연 그림 / 다림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의 공포, 바이러스

 

최근에 페이스북에서 5일 동안 독감에 된통 걸렸었다는 수화강사분의 소식을 보았다. 몇 년 전부터 독감예방주사를 안 맞아서란다. 나도 초등학교 때 이후로 안 맞은 걸로 기억하는데 그래도 면역력을 유지하는데 힘쓰련다. 주사 맞는 건 싫으니까. 그런 의미에서 <비상! 바이러스의 습격>은 딱 지금 우리의 공감대를 만들어줄 것이다.

 

[병을 퍼뜨리는 매개체인 바이러스의 전염성은 엄청나서 상상을 초월할 정도예요. 인류의 역사는 한마디로 바이러스와의 투쟁의 연속이었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에요. -본문 42쪽 중에서-]

나야말로 하루하루가 바이러스와의 투쟁이다. 사계절 모두 비염 때문에 고생하는데(연속 재채기가 제일 힘들다.) 리노바이러스가 나를 너무 좋아하는 게 아닐까 싶다. 그래도 2015년 여름에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했던 메르스, 2009년에 신종플루, 2003년에 사스 등의 6년의 공포를 피해간 것을 보면 면역력이 약한 건 아닌 것 같다.(비염 덕분에 손을 자주 닦아서인가보다.)

 

[그런데 흑사병에 걸리지 않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이전에 비해 훨씬 삶의 질이 나아졌어요. 노동자 수가 줄다 보니 농민들도 좀 더 조건이 나은 일터를 선택할 수 있었지요. 이는 유럽 사회의 봉건제도가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어요. -56쪽 중에서-]

흑사병으로 봉건제도가 몰락하고, 천연두를 전쟁에 사용하고, 커피녹병 덕분에 스리랑카가 세계 최대의 차 수출국이 되는 등은 바이러스의 위력으로 역사가 바뀐 것이다. 하지만 2015년의 메르스 이후에도 찌개나 반찬을 같이 떠먹는 한국문화는 바뀌지 않고 있는데 절대 전통문화가 아니란다. 냄비 하나 두고 같이 먹게 된 시점이 6.25전쟁이라고 하니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기 위해서라도 꼭 바뀌어야한다.(2021년은 무사하기 위해서라도.)

 

감기는 왜 걸리는 거야?’라고 묻는 아이들을 위한 <비상! 바이러스의 습격>. ‘손 씻어라.’라는 잔소리도 줄어들겠고, ‘나 한입만.’이라는 부탁도 줄어들겠지?(한 입 얻어먹는 순간에는 행복하겠지만 곧 바이러스가 줄을 타고 올라올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