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곧 태어날 동생에게 ㅣ 산하둥이 2
알랭 피롱 그림, 프레데릭 케슬러 글, 이화연 옮김 / 산하 / 2016년 9월
평점 :

반갑지만 미운 내 동생에게
[자기가 최고인 줄 아는 꼬마에게
나는 아직 너를 잘 몰라.
하지만 너 때문에 짜증이 나.
누가 뭐래도 내가 우리 집 최고 귀염둥이거든.
형이. -본문 중에서-]
<곧 태어날 동생에게>에는 네 살짜리 형과 엄마 뱃속 동생의 편지가 담겨있다.(당연히 네 살 난 아이의 상상이다.) 곧 아홉 달이 되어가는 동생이 먼저 토마스 형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토마스 형은 바깥의 상황, 밥 먹는 시간 등을 알려주면서도 아직 보이지 않는 아기에게 쏠린 관심들이 짜증나기도 한다.(사랑을 빼앗겨가고 있는 기분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뱃속에 있는 동생은 바깥세상의 사람들에게 받을 사랑을 기대하면서도 옷도 없고 우는 것밖에 할 줄 몰라서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동생이 밖으로 나오기까지 형인 자신은 할 줄 아는 것들이 많다며 잘난 척도하고 길을 잃지 말라는 격려도 하다가 드디어 형제가 만나 첫 인사와 눈빛교환이 시작된다.
유치원, 초등학교 시절 모두 나는 형제가 있는 아이들이 부러웠다. 자신이 먼저 나에게 시비를 걸다가 당했음에도 언니나 오빠를 불러올 때면 서러움과 억울함이 몰려왔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나도 서울에 가면 언니와 남동생이 있는데 당장 불러오지 못하니까. 그런데 그런 내가 두세 살 아기였을 때는 걸음마를 배우는 남동생을 ‘뿅!’ 하고 넘어뜨렸단다. 드디어 아들이 태어났다고 기뻐하는 어른들에게 ‘잘한다! 잘한다!’ 칭찬을 듣는 동생을 향한 시샘을 느꼈을 거다. 그러면 언니는 나를, 나는 남동생을 이렇게 시샘 릴레이가 되었던 건가?
-도서출판 산하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