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사람의 집 - 조선 최고 지식인.권력자 11인의 집과 사람 이야기 사람을 향한 인문학
박광희 지음 / 가치창조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들이 머물다간 공간과 삶

 

너네 집에서 놀아도 돼?’ 어린 시절에 흔히들 했던 물음일 것이다. 친구의 승낙 하에 놀러 가서 온 방을 돌아다니다가 친구의 방에 들어가면 책상 서랍을 모두 열어본(사실 나는 이런 친구들이 제일 싫었다.) 경험들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굳이 책상 서랍을 열지 않아도 방 전체를 보면 학교에서의 전혀 몰랐던 부분들을 발견하는 기분이었을 거다. 사실 나는 학교에서는 조용하고 책상 위도 깔끔한 편이었지만 집에서는 이불이 뒤엉켜있는 침대에 책상도 너저분한 아이였으니까 말이다.(한마디로 나는 털털한 성격도 공존하는 아이였다.) 어쨌든 나는 집 혹은 방은 나만의 공간, 나만의 공간은 나만의 삶으로 정리해본다. 그렇다면 옛 사람들의 공간을 궁금해 본적이 있는지 묻고 싶다.

 

<옛 사람의 집>은 어린 시절에 읽어본 위인전이나 학창시절 국사시간을 통해 이미 들어 알고 있거나 생소한 옛 사람 중 11인의 지식인, 권력자들의 집과 사람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그중 나는 목민심서와 거중이가 떠오르는, 조선 최고 지식인이라 불리는 정약용의 흔적들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다. 학창시절에 성적이 하위권이었던 나는 똑똑한 사람처럼 보이고 싶어서 외국어를 전공했고, 지금도 나는 똑똑한 사람 즉 지식인들은 많은 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으로 늘 행복할거라 여기지만 다산 정약용의 삶은 세운 공도 많지만 천주교 박해 사건으로 인해 형을 잃고도 길고 긴 귀양살이로 상처도 많은 삶이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다산은 당대 자신이 살던 사회를 털끝 하나도 병들지 않은 것이 없다고 개탄했다.

특히, 가히 혁명적이랄 수 있는 그의 사상이 응축된 방대한 저작의 산실 다산초당(茶山草堂)’을 먼저 돌아보는 일은, 그가 시대의 절망을 절망하지 않고 개혁 의지의 칼날을 시퍼렇게 세우고 있던 장년기의 행적을 더듬어 보는 일이라서 오히려 경건해지기까지 한다. -65~66쪽 중에서-]

 

[ 익히 알려진 터이지만, 본래 이 초당은 다산의 외가인 해남 윤씨 윤취서, 윤유서 형제가 마을 뒷산에 정자를 세우고 대나무와 오동나무를 심어 가꾸면서 그곳이 공부하는 집이란 의미로 이름 지었던 것. -70~71쪽 중에서]

 

11인들의 집과 삶의 이야기를 끝으로 11인과 그들의 주변 인물들도 간단하게 소개되는데 이 부분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그들의 이야기를 이해하는데 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