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 ㅣ 파랑새 그림책 117
마르쿠스 피스터 글.그림, 안온 옮김 / 파랑새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행복은 소소한 일상 속에 숨어있어
[“음, 알겠어!”
레오가 큰 소리로 대꾸했어요.
“주머니 깊숙이 숨어 있던 치즈 조각을 발견하는 것도 행복이지?”
“민들레 홀씨를 날려 보는 것도 행복이야.”
이번엔 조가 외쳤어요.
“커다란 웅덩이에 뛰어드는 것도 행복이고!”
레오도 신이 나서 소리쳤어요. -본문 중에서-]
대부분 사람들은 행복을 매우 거창하게 생각한다. 출세, 부, 명예 등등으로 말이다. 나 역시 <행복>을 읽기 전에는 행복을 성공에 초점을 두었다. 아! 작가의 또 다른 작품인 <무지개 물고기>에서는 ‘나눔의 기쁨’이라는 메시지가 있었다면 <행복>에서 귀여운 두 생쥐에게 행복은 소소한 일상 그 자체다. 내 엄마도 며칠 전 내 책꽂이에서 이 그림책을 발견하고 읽어보더니 “얘네 들은 모든 게 행복이구나.”라고 말했다. 그래서 내가 대꾸한 말은 “우리한테서 행복은 나란히 앉아서 밥 처먹는 거.”(얄상한 외모와 작가가 꿈인 저 이지만 말은 좀 셉니다.) 엄마는 하루 세끼 모두 각각 밖에서 먹는 집도 많다며 바로 행복으로 인정했다. 책의 마지막 쪽에는 ‘여러분도 마음속 행복을 말해 봐요!’가 있는데 어린 시절의 내 행복은 잠자리나 메뚜기를 잡았을 때, 올챙이를 잡았을 때, 시험점수 70점 이상 받았을 때, 아이들에게 맞지 않았을 때와 놀림 받지 않았을 때, 선생님께 칭찬받았을 때였던 것 같다. 그리고 지금의 내 행복을 다시 정리해본다면 글을 쓰고 있을 때, 책 보고 있을 때, 내가 내린 커피를 마시고 있을 때, 라면이나 기름진 음식을 먹고 있을 때, 친한 친구와 카톡을 주고받을 때, 새로운 사람이 내 개명한 이름이 예쁘다고 감탄할 때(사실 개명허가서 받던 몇 년 전의 그날이 제일 행복하긴 했다.), 작년에 새로운 취미로 시작해서 플리마켓 셀러활동까지 하게 된 리본공예로 작품을 만들 때이다. 내 일상 속에서 이렇게 많은 행복을 발견했지만 그래도 유명한 작가가 되어 그 옛날에 가해자였던 동창들 앞에 당당하게 설 수 있다면 더더욱 행복할 것 같다.(아직도 난 성공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거다.)
-파랑새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