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지티브 컨플릭트
 다비 체키츠 지음, 이무열 옮김 / 세계사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 (본문 중) 우위에 서는 것은 일시적이고, 상황에 따른 승리다. 훗날 언젠가 당신에게 진 사람이 훨씬 더 독한 마음을 품고서 당신을 이기려 들 수도 있다.' 
 ' (본문 중) 당신이 타인을 인정하는데서 오는 만족감은 당신이 얼마나 똑똑한지 입증하는데서 올 수 있는 어떤 만족감도 능히 초월할것이다. 요지는 당신이 타인과 공을 함께 나눌 때 당신은 가장 똑똑하다는 거다.'
 
 'Positive conflict'는  사람들과 올바르게 갈등하고 대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 적극적인 대립으로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다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흔히 이야기하는 윈윈(win-win)전략은 YES,YES를 이끌어내는 협상법이라 이야기하며 이기는 것을 목표삼아 눈 앞의 승리를 쫓는 태도는 좋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없으니, 멀리보라는 이야기는 우리가 평소에 흔히 간과하게 되는 이야기를 소개하고, 당장 널 이겨도 내일 널 안볼게 아니니, 나와 네(너)가 같이 이기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로 협상이 지닌 진정한 의미라 말한다.
 또한 다른 사람과 의견을 나눌 때 타인을 높여줌으로써 더 많이 얻게 된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보면 종종 답을 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사람들은 대부분 의견이 정답으로 채택 되길 바라며, 그러기 위해선 다른 사람보다 내 의견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받는 것이 먼저이며 이를 위해 상대방을 비하하는데 것 역시 올바른 대립 방법이 아니란 이야기다. 대립해서 이기는 게 목적이 아닌, 대립을 통해 사안의 본질적인 무언가를 찾아내어 근본적이고 창조적인 답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인 것이다.
 갈등과 대립이 꼭 나쁜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것들을 잘 활용하면 훨씬 더 다양한 선택의 폭이 나를 기다린다는 이야기는 신선했고, 어떤 일이던지 큰 소리 나지 않게 조용히, 빠르게 해결하는 것은 단지 나의 편의를 위해 해왔던 일이지 그것이 특별한 성공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는 데에 동의하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과의 의견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립'이 피곤하다고 생각하는가? 혹은 그런 대립 자체가 쓸모없으며 다수결의 원칙을 주로 사용했는가? 이 책을 읽으면 협상이나 대립도 역시 훈련을 통해서 배울 필요가 있으며, 대립을 통해 '싸운 만큼' 더 많이 갖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