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5분 책읽어주기의 힘 -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짐 트렐리즈 지음, 눈사람 옮김 / 북라인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도 중학교 국어선생님이 생각이 난다. 이미 오래전 기억인데도 말이다. 선생님은 여자분이셨다. 어찌나 새침하고 무서우셨던지 도저히 장난을 칠 엄두를 내지 못했었다. 당시 선생님은 뱃속에 소중한 아기를 갖고 계셨던 것으로 기억한다. 늘 임부복에 힘들게 걸으시던 그 기억...하지만 내가 기억하고 있는 것은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선생님은 매 시간마다 책을 읽어 주셨다. 수업종료 10분전에는 늘...거의 한 학기 반을 그렇게 해주신것 같다.  

  우리는 처음에는 "에잇, 무슨 책이람!!" 하며 불평을 했었고, 선생님은 들은체도 안하시고 책을 읽어주셨다. 그렇게 매일 매일... 처음에는 그 책 읽어주는 10분은 우리에게는 최고의 시간이었다. 듣느라고? 아니 장난치느라고, 딴 짓을 해도 되었으니까 말이다. 그러다 한 두달이 지나고 선생님이 읽어 주시는 책의 이야기가 들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결국은 쇄뇌되어 모든 학생들이 그 시간을 기다리게 되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당시 읽어주셨던 책들의 내용이 아직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마도 선생님은 우리들에게 최고의 가르침을 주셨던 것이 아니었을까?, 제자들에게도 선생님 뱃속의 예쁜 아가에게도...

  요즘은 공중파 TV나 케이블TV의 채널이 수도 없다. 그 중에 어린이 만화 프로도 꽤 된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주변의 아이들은 책보다는 TV를 더 즐기게 되었다. TV에서 하는 만화가 재미없으면 비디오나 DVD를 본다. 물론 이런 것들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필요 이상이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 하루 15분, 책 읽어 주기의 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잘 지적해 주고 있다. 어휘력이나 정서적으로...

  30명의 노동자 가정 출신의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15명은 대학교수가 되었고, 나머지 15명은 대를 이어 노동자가 되었다. 왜 일까? 30명의 면담결과 재미있는 사실을 알아냈다. 교수가 된 15명 중 부모가 책을 읽어 준 사람은 12명이나 된 반면, 노동자가 된 15명중 책을 읽어준 사람은 4명에 불과 했다. 또한 교수가 된 사람들 중에는 14명이나 가정에 많은 책과 인쇄물이 있었던 반면, 노동자가 된 사람들 중에는 4명만이 가정에 책이 있었다. 교수가 된 사람들 중 13명은 어머니가, 12명은 아버지가 신문, 잡지, 책을 즐겨 읽는 것과달리 노동자가 된 사람들 중에는 6명의 어머니와 4명의 아버지만이 이를 즐겼다. 그리고 교수가 된 15명은 모두 책을 읽도록 격려를 받은 데 반해, 노동자가 된 사람들 중에는 그런 사람이 3명 뿐이었다. (p.63)

   참으로 재미있는 조사가 아닐 수 없다. 이 책에는 이러한 사례가 다양하게 들어있다. 지은이는 "읽기는 모든 학습의 기초이다"라고 말을 한다. 또한 무엇보다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한다. 사실 우리나라의 아버지들은 책 읽어주기를 소홀히 한다. 물론 전부가 그렇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아직도 육아는 엄마가, 아빠는 경제를 이라는 수식이 성립되는 듯 싶다.

  비싼 장난감 이나 옷을 사주는 것보다, 훌륭한 DVD나 비디오 사주는 것보다 자식의 미래을 위한다면 많은 책을 읽어주기를 권하고 싶다. 물건을 사주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지만 책을 읽어주기 위해서는 시간만이 필요하다. 노력만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기쉽고 돈안드는 일을 왜 안하려 드는가?  사실 이 책을 읽고나서 할 이야기가 참으로 많다고 생각했다. 아마 책 한권을 모두 이곳에 적어 놓아도 아깝지 않을 정도로 주옥같은 이야기들이 풍부하다. 어디서부터 말을 꺼내야 할지 무슨말을 가져와야할지 고민이 될 정도다.

  아이의 미래는 모두 부모의 노력에 달려있다. 여기 힘 들이지 않고, 많은 돈 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책을 읽어 주는 것"이다. 특히 아버지가 말이다.  역시 조사에 의하면 아버지가 책을 읽어 준 남자 아이들의 읽기 성적이 현저하게 높았고, 아버지가 독서를 즐기는 가정의 남자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이들 보다 책을 많이 읽고 성적도 높았다고 한다. 하지만 조사대상의 10%만이 어린시절 아버지가 책을 읽어주었다고 한다. 참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하나 권장한다면 많은 여행을, 굳이 비싼 해외여행이 아니더라도 주변의 박물관이나 도서관이나 문화유적지나 가까운 곳을 찾아다니라는 것이다. 아이들은 책에서 얻은 것과 경험을 통해 얻은 것을 평생 간직하며 자라게 되니까 말이다.

  책의 말미에 100여권의 읽어주기 좋은책이 수록되어 있다. 원작에는 500여권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번역된 100여권만 소개되어있다. 아이가 자랄때까지 적어도 이 100여권만 읽어준다면 분명 그 아이는 행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책읽어주기는 어린시절뿐만이 아니라 적어도 13-4세까지 계속해서 읽어 주라는 저자의 말로 끝을 맺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3-24 1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백년고독 2007-03-24 1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그 선생님을 한번 뵙고 싶네요.
책 읽어주기, 정말 좋은 일인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