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심리학]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페이스북 심리학 - 페이스북은 우리 삶과 우정, 사랑을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가
수재나 E. 플로레스 지음, 안진희 옮김 / 책세상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원제는 ‘facehooked’. “페이스북(facebook)에 낚였다/꼬였다/한 방 먹었다”(hooked) 정도로 옮길 수 있는 원제의 운율과 뉘앙스를 담아내기에 한국어판의 제목인 <페이스북 심리학>은 다소 심심하다. 주제의 측면에서 보면 <페이스북 심리학>보다는 페이스북 병리학이 보다 정확할 듯 하다. 왜냐하면 이 책의 전제는 페이스북 이용을 중독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때문이다저자인 임상심리학자 수재나 E. 플로레스는 페이스북 중독을 새로운 정신장애로 보고 이를 위한 기준을 제정해야 한다고도 말할 정도다(203). , 그에게 있어서 페이스북은 단순히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의해 소통이 확장되는 심리적 현상이 아니라 낯설고 위험한 테크놀로지에 의해 중독이 강화되는 병리적 현상인 셈이다. 그래서 저자가 이 책 전체에서 씨름하는 핵심질문은 다음과 같다왜 우리는 이토록 페이스북에 중독되어 있는가?”(20)

 

기술철학 분야에서 저자와 같은 이러한 입장을 기술결정론이라고 부른다. 하이데거나 자크 엘룰과 같은 고전적 기술철학자들은 기술의 본질을 논하며 기술 일반이 현대사회에 얼마나 파괴적이고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비관적 목소리를 냈다. 임상심리학자인 플로레스가 접한 페이스북 중독’(facehooked)의 사례들과 그에 대한 분석과 제안의 내용은 기술결정론의 현대적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이라는 신기술은 사람들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놓았다. 페이스북은 사용자들이 느끼고 생각하는 삶의 방식을 장악하고 통제하고 있다. 플로레스가 수집한 수많은 사례들을 접하면서 그의 분석을 따라가면 정말로 나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이 예전보다 페이스북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 페이스북으로 인해 얼마나 변하게 되었는지를 새삼 돌아보게 된다. 그런데, 플로레스의 주장처럼 정말로 페이스북은 더욱 가깝고 친밀한 관계를 만드는 데 유익할 것 같지만 오히려 그보다 더욱 심각하고 다양한 해악을 만들어내며, 대다수의 사람들이 마약에 중독되듯 페이스북에 중독되어 고통을 받고 있는가?

 

플로레스는 페이스북에 중독되는 과정을 오프라인 공간과 온라인 공간, 오프라인 정체성과 온라인 정체성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다소 시대착오적인 혹은 불가능한 방법을 통해 설명하려 한다. 그에게 있어서 오프라인 공간과 오프라인 정체성은 실상이고, 온라인 공간과 온라인 정체성은 가상이다. , 오프라인에서는 모든 것이 진짜이며, 온라인에 있는 것은 편집되고 조작된 가짜라는 기준에서 페이스북이라는 증상을 진단한다. 페이스북은 오직 순수하게 재미 자체를 추구하는 공간이며 최악의 경우에는 진정한 자기 자신과 매우 다른 정체성을 구축하고, 남들을 속이고 감정적으로 조종하고, 잘못된 관계를 시작하고, 다른 사람들을 스토킹하고 괴롭히는 데 이용될수 있다.(47) 한 마디로, 소셜미디어는 겉치레를 조장하고 자신의 진짜 인격을 부정하면서 가상의 자아를 증폭시키게 만든다.”(47)

 

이러한 주장은 인터넷이 처음 등장하던 무렵부터 계속 이어져온 것이다. 초기 인터넷 연구에서 인터넷을 가상공간이라고 명명하면서 실재보다 못한 존재론적 위상으로 격하시켰. 그러나 소셜미디어가 등장한 오늘날은 초기와 사정이 다르다. 일상으로 깊숙하게, 미세하게 침투한 테크놀로지는 더 이상 그저 가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실상을 구성해내기도 한다.  가령 온라인마켓도 오프라인마켓만큼의 현실성을 가진 시장이며, 온라인서점인 알라딘도 오프라인서점만큼의 현실성을 가진 서점이다. 이동후는 이미 2006년에 인터넷의 공간과 시간에서 우리사회가 인터넷라는 뉴미디어의 진화가 성숙단계에 이르렀다고 평가하며 도구가 아닌 환경으로서의 인터넷 미디어의 작용성을 강조했다.(이동후, “인터넷의 공간과 시간: 미디어 생태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2 (2006): 2-5)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을 헤아리면서 “페이스북에 무엇을 올릴지를 다른 사람들의 인정에 근거하여 결정하면 그들에게 당신의 행복을 결정하는 힘을 넘겨주는 셈”(241쪽)이라는 조언과 소셜미디어가 가진 유익을 지키고 해악을 피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들을 귀담아 듣는다면 좋을 것이다. 특히, 이 책은 스스로 페이스북이나 트윗터, 인스타그램 등에 중독되었다고 느끼는 사람, 또는 그런 지인 때문에 곤란한 사람에게 유익할 것이다.

 

다만, 이 책은 반대편 극단의 입장에 서있는, 소셜미디어를 극찬하는(‘1조 시간을 가진 20억 명이 연결된 새로운 대중의 탄생’) 클레이 셔키의 많아지면 달라진다(갤리온, 2011)와 견주어 함께 읽어본다면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심리학과 사회학에 모두 박사학위를 가지고,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친밀성을 재구성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한 사이버 스페이스의 마거릿 미드인 셰리 터클의 외로워지는 사람들(청림출판, 2012)도 함께 읽을 만한 책으로 권한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