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밥상]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오늘의 밥상 - 매일매일 건강한 1식 3찬
함지영 지음 / 경향미디어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밥상 고민의 고통

 

  남자들도 밥을 하는 시대라고 하지만 필자는 남자가 밥하는 집 환경에서 자란탓인지 아내들보다는 남편이 밥을 차리는 횟수가 더 많은 환경에서 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나아졌지만서도 예전의 가장 큰 고민은 역시 J랑 식사할때 반찬은 무엇이 좋을까라는 고민이었습니다. 서로 다른 입맛을 가진 두 사람이 만났으니 이러한 고민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고민과 상황을 맞이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는 사실을 얼마전에 알았습니다. 대부분 여성분들의 입장이지만 서도 남자들도 종종 고민을 하더군요.(그래도 아직까지는 여성들이 더 많은듯 싶습니다.) 편식하는 식습관을 가진 이들과 함께 하는 사람입장에서는 더욱 그 고민의 깊이가 강해져 나중에는 밥상에 올라가게 되는 차림표를 생각하는게 고통이라는 말도 듣게 되었습니다. (고통은 참으로 다양한거 같습니다. 전 그래도 잘 먹어주는 덕분에 고민은 하되 고통은 아니었지요.)

 

 

<밥상을 차리려면 먼저 밥을 해야 합니다. 기본이죠>

 

기본으로 돌아가서 보는 책

 

  <오늘의 밥상>(서울: 경향미디어,2011)은 여타의 요리책과 비교해 볼때 조금 묵직합니다. 그리고 그 묵직한 내용물 속에는 기본에 충실한 한국인의 집밥상이 있습니다. 밥상의 기본이 되는 밥짓기부터 아침, 점심, 저녁 그리고 손님상 차림표까지 한국인의 밥상의 기본인 1식 3찬을 구성하는 요리 레시피가 충실히 수록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과 국물 그리고 각 끼니에 맞는 조합과 양념에 관한 저자의 레시피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에 J가 왜 이 책을 좋아하는지 알듯 싶습니다.

  소박하고 검소한 밥상을 차려주고픈 J의 마음은 밥상을 차리는 모두의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J에게 밥상을 차려주면서 엄마들이 해주는 맛있는 밥을 먹여주면서 동시에 영양을 생각한답니다. 요즘 밥솥은 나름 다용도이기에 밥짓기의 종류와 구분이 필요없다고는 하지만 편리함이 도리어 기본을 약화시키지는 않았나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기본의 중요성이 풍성한 요리의 밑거름이자 맛있는 밥상의 원천임을 생각해봅니다. 기본적인것들을 잘 만드는 사람이 좋은 밥상을 차린다는 어머니의 말씀.(그래도 요리를 가르쳐주신건 결국 어머니였습니다.) J는 경험하지 못했다고 하지만 전 어릴때부터 요리를 배울때마다 들은 내용인지라 기본의 강조는 누차 강조해도 모자르다고 생각합니다.

 

 

 

<하루라도 거르게 되면 그것이 습관이 되어서 계속 거르게 됩니다.>

 

매 끼니늘 고민하는 분들에게

 

  한끼식사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것을 새롭게 만들기는 무리입니다. 기본적인 밑반찬에 몇가지를 더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인듯 싶지만 할 수만 있다면 조합을 통해서 보다 다양한 찬을 내놓는게 좋다고도 생각합니다. 매 끼니를 고민할때 나타나는 부작용은 역시 아침밥 거르기입니다. 점심이냐 나가서 먹게 되지만 아침은 어영부영 하다보면 거르게 되고 그리고 결국 거르는게 습관이 되어버리게 되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침의 식사도 저녁처럼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간단하게 나마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차림표를 미리 구상해두거나 전날 만들어 두면 좋을듯 싶습니다.

  <오늘의 밥상>의 아침상은 빠른 시간에 만들수 있기도 하지만 하루 전날 만들어서 보관하기 용이한 레시피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거르지 않는 꾸준한 식사 가운데 건강한 하루가 시작됨을 알고 계신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아침은 종종 거르게 되지만 하루의 컨디션에 영향이 미쳐지는점을 생각한다면 역시 아침 식습관은 거르는 것보다 먹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Dear my J

 

  종종 아침을 차려주던 뒷모습이 그리워지는 요즘 출산 후 친정에서 몸조리하는 J가 추천해준 요리책을 보면서 하루 빨리 집에 모여서 다시 식사하는 모습을 그려 봅니다. 요리책을 다양하게 보아왔지만 서도 이 책은 분명 가장 기본적인 것을 간단히 표현한 책들 가운데서도 돋보이는 책이라고 생각네요.

  이것 저것 해보고 싶은 마음은 알겠지만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따라하는 가운데 한가지 두가지 배워간다면 분명 좋은 밥상이 차려 지리라고 생각되요. 난 J가 해준 계란 요리가 무척 먹고 싶답니다. 돌아온다면 J의 계란 요리를 듬뿍 먹을 수 있겠지요. 좋은 책을 추천해줘서 고마워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셉아저씨 2011-12-17 16: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의 밥상
블로그: http://blog.naver.com/sebisara/146008582
예스24: http://blog.yes24.com/document/5756064
알라딘: http://blog.aladin.co.kr/sebisara/5285146
인터파크: http://book.interpark.com/blog/sebinara/2491046
교보문고: http://booklog.kyobobook.co.kr/sebisara/1076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