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소설을 읽으면서 소설 속 인물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었던가. 마치 소설 속 인물의 말들이 다른 누구도 아닌 내게로 향하는 듯한 기분 말이다. 아마도 있었을 것이다. 내가 선명하게 기억하지 못할 뿐이다. 일곱 명의 여성 작가가 참여한 페미니즘 소설 『현남 오빠에게』를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누군가에게 욕을 하거나 화를 내고 있었다. 그러니까 상대는 소설 속 인물인 현남 오빠일 수도 있고 손녀딸에게 대놓고 심한 언어폭력을 하셨던 돌아가신 할머니 일수도 있고 살아있는 동안 그 모든 걸 감내하다 바스러져 버린 내 엄마일 수도 있다.

 

 어떤 소설은 너무 읽기 힘들었고 어떤 소설은 너무 놀랐고 어떤 소설은 그저 멍했고 어떤 소설은 따라가지 못한 게 당연하다. 페미니즘 소설이라는 타이틀을 걸지 않았더라도 말이다. 여성이 주인공인 소설을 읽으면서 과거의 내 삶과 현재의 내 삶을 생각한다. 내가 부여받은 여성성, 혹은 그것을 이용한 차별이 당연한 것으로 인식했던 지난날에 대해서 말이다. 어쩌면 내가 여성 독자라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단순하게 사랑한다는 이유로 모든 걸 관리하고 그에 따라 수긍하는 게 맞는다고 생각했던 조남주의「현남 오빠에게」속 ‘나’는 익숙한 인물이었지만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겠다는 강한 다짐 같은 게 전해졌다. 그것은 단지 십 년째 만난 연인이 아니라 자신을 둘러싼 잣대와 시선 속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메시지로 들렸다. 남자와 여자 사이의 관계나 문제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지켜야 예의와 존중에 대해서 말이다. 아쉬운 점은 어느 정도 예상했던 과거의 나열이었다. ‘나’의 변화에 대해 조금 더 적극적으로 그려주기를 바랐는지도 모른다.

 

 그런 면에서 최은영의 「당신의 평화」와 김이설의 경년更年」은 좀 더 강하게 다가왔다. 딸이라면, 엄마라면, 아내라면 한 번쯤 경험했을 주제였기 때문일까.「당신의 평화」속 유진은 엄마 정순의 모든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사랑하는 딸에 대한 애정이 아니라 시어머니와 남편에게 쏟아내지 못하고 쌓아둔 감정을 오롯이 쏟아낼 대상이었다. 같은 여자니까, 딸이니까, 너만은 내 편이 되어야 한다는 강요였다. 첫딸에게 갖는 기대가 얼마나 무거운지 나는 주변의 그녀들에게 들었다. 할머니와 어머니 세대가 아닌 달라진 세대를 살고 있지만 그것은 무서운 감정의 세습이었다. 물론 정순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며느리만 생각하는 아들이 꽤씸하고 자신 편을 들어주지 않는 남편에 대한 서러움, 힘들게 살아온 삶이 안타까운 건 맞다. 그래도 유진이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수많은 엄마 정순에게 필요한 건 무엇일까.

 

 김이설의「경년更年은 여전히 잔혹하다. 열다섯 살 중학생 아들과 아이돌에 열광하는 열두 살 초등학생 딸을 둔 평범한 엄마, 일상은 모두 가족 중심으로 흘러간다. 소설 속 엄마의 모습은 보통의 사십 대 여성의 일과다. 아이들과 남편을 챙기느라 ‘나’는 사라진지 오래다. 고교입시를 위해 정보를 얻으려 학부모 모임에서 아들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중학교 2학년 아들이 여학생들과 관계를 맺는다는 소식이었다. 놀라운 건 좋아서가 아니라 그냥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법이라고.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아들에게 어떤 말을 해야 하는지 ‘나’는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남편은 서로 합의했다는데 무슨 문제냐고 받아칠 뿐이다. 그런가 하는 마음으로 아들을 옹호하다가 그래도 그건 아니지 하는 ‘나’는 혼란스럽다. 소설이 아니라 현실 속 나의 아들과 딸에게 벌어진 일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들에게 우리가 가르쳐야 할 것은 무엇일까.

 

 나머지 네 편의 소설 역시 모두 여성의 삶에 대해 말하지만 접근이 남다르다. 최정화의「모든 것을 제자리에」는 대부분 남자들의 직업으로 알려진 촬영기사인 여성 ‘율’이 등장하고 손보미의 「이방인」에서는 경찰인 여성이 중심이 되어 이끈다. 섬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자신의 힘으로는 벗을 수 없는 옷과 구두를 입은 남자 ‘표’가 사냥꾼에게 쫓기는 구병모의 「하르피아이와 축제의 밤」는 유일하게 남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며 그들의 죄를 심판하고 벌한다. 미래의 어느 날 화성으로 쏟아올린 열두 마리 실험동물 중 살아남은 ‘나’와 그곳에서 만난 개 ‘라이카’와 탐사로봇 ‘데이모스’가 함께 살아가는 김성중의 「화성의 아이」에서는 ‘나’가 임신을 한 돌보는 ‘라이카’와 ‘데이모스’를 통해 생명과 출산의 경이로움을 언급한다.

 

 무조건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던 시대는 사라졌고 그것을 선택할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다. 가부장적 제도도 마찬가지다. 소설을 통해 전하고 싶었던 건 그것들과 싸우자는 게 아닐 것이다. 궁극적으로 누구의 강요도 없이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사랑하는 삶을 원하다는 지극히 평범한 바람. 그 목소리가 너무도 간절하게 전해지는 건 나뿐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