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단둘이 한 방에 누워 나란히 잠을 잔 기억은 두 번뿐이다. 기억하지 못하는 유년기를 제외하고는 그렇다. 고등학교 입시 후 예비소집일에 맞춰 도착한 낯선 도시. 엄마와 나는 자취집을 구해야 했고 지리를 몰라 학교 근처가 아닌 곳의 모텔방에서 잠을 잤다. 아침으로는 식당이 아닌 방에서 배달된 음식을 먹었다. 그리고 7년 후 같은 도시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 졸업식이 있던 날, 사진을 몇 장 찍고 돼지갈비를 먹었다. 그 돼지갈비는 내가 엄마에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사 드린 음식이었다. 그 저녁에는 엄마를 잠시 혼자 방에 남겨 두고 외출을 했다. 잠이 들기 전까지 무슨 이야기를 했던가. 엄마가 택시에 두고 내린 작은 가방에 무엇이 들었냐고 물었던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는다. 봄이 가까이 있던 계절이었다.

 

 이 책에 담긴 모든 문장의 주어는 엄마다. 어떤 이는 이 글이 기행문인 되기엔 부적절하다고 할 것이고, 어떤 이는 소설로 삼기에도 어울리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자전소설쯤으로 타협을 보려 할까. 어떻게 불리더라도 모든 문장이 엄마를 중심에 두고 만들어졌다는 것만은 변하지 않는다. 엄마가 겪은 사실도 엄마를 이루고, 엄마가 들려준 이야기도 엄마를 이루고, 엄마가 상상한 것들로 엄마를 이루고, 엄마가 느낀 것들도 엄마를 이룬다. 그 전부가 엄마다. (157쪽)

 

 김탁환의 『엄마의 골목』을 읽기 시작한 날, 우연하게 친구와 엄마 이야기를 했다. 작년에 엄마를 하늘나라로 보낸 친구는 철쭉이 피는 걸 볼 수가 없다고 말하면서 울었다. 친구가 울음을 그쳤을 때 나는 『엄마의 골목』을 읽고 있다고, 엄마와 아들이 함께 걷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엄마가 생각난다고 말했다. 나만 엄마가 없는 게 아니라 이제 친구에게도 엄마가 존재하지 않았다.

 

 엄마와 함께 발을 맞추며 엄마의 이야기를 들으며 걷는 일은 언제라도 할 수 있는 일처럼 여겨진다. 어리석게도 그렇다. 그게 뭐 대단한 일이냐고 자신 있게 말하는 이도 많을 터. 하지만 가만히 돌아보면 철이 들고난 후 엄마의 손을 꼭 잡고 도란도란 길을 걷은 적이 없다는 걸 확인하고 만다. 엄마보다는 친구, 엄마보다는 연인, 엄마보다는 새로 이룬 일가가 먼저였다. 때문에 이 책을 읽으면서 소설가 아들과 만나 자신의 삶의 터전인 진해를 걷는 엄마의 큰 기쁨이 곳곳에서 전해져 너무도 부러웠다. 너무 일찍 돌아가신 아버지와의 연애 이야기, 노년에 배운 하모니카를 배우는 엄마의 연습 노트, 늦은 밤 집에 온 아들에게 차려주는 엄마의 밥, 아들이 쓴 소설을 읽고 감상을 들려주는 엄마. 사소하면서도 소소한 모든 게 얼마나 소중하고 특별한 일상인지 말이다. 엄마의 일터, 엄마의 고향, 엄마의 추억이 있는 공간에 다시 새로운 추억을 쌓아가는 일. 계절이 바뀌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하며 그 풍경을 함께 바라보는 일. 지금이 아니면 할 수 없는 일이라는 걸 모르며 사는 우리들. 함께 산책하기. 당장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인데 말이다.

 

 아침에 짧은 산책을 하면서 만나는 꽃과 나무가 너무 예쁘다. 예전에는 몰랐던 기쁨이다. 어른들 말씀이 모든 게 꽃이라더니, 맞는 말이었다. 종종 다큐멘터리나 드라마에서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겨울을 뚫고 나온 산나물과 들꽃을 보며 대견해하는 모습을 이해하지 못했었다. 내년 봄이면 다시 필 꽃이라는 걸 당연하게 여기지만 그분들에게는 내년 봄을 볼 수 있다는 확신이 없다는 걸 나는 알지 못했다. 나는 일흔이 넘은 삶을 알 수 없다. 주일마다 교회에서 뵙는 할머니, 할아버지의 기도 제목은 무엇일까,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내가 살아갈 삶인데도 그렇다. 여느 걸어본다 시리즈와 다르게 이 책에서는 그 길이 걷고 싶다거나 그곳에 가도 싶다는 생각이 아닌 혼자가 아닌 함께 걷는 게 얼마나 소중한지 생각한다.

 

 좋아하는 곳은 갈 때마다 새로운 즐거움을 안겨준다. 같은 풍경처럼 보이지만 다르다. 누구와 동행하느냐에 따라 다른 일상이 되기도 한다. 어제 본 꽃들은 지고 새로운 꽃이 피는 걸 발견하는 나의 산책길처럼 말이다. 걸어본다 시리즈는 만날 때마다 걷는 즐거움이 자란다. 글을 따라 익숙한 공간에 머물고 낯선 도시를 탐색한다. 독일 뮌스터를 산책하며 쓴 허수경의 『너 없이 걸었다』엔 이런 구절이 있다. 삶이라는 것은 버릇을 되풀이하며 기억을 재생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뜻한’ 기억에 대한 소망은 그 안에서 부풀어오른다.’ 따뜻한 기억을 간직한 삶은 어떤 추위에도 굴하지 않을 것이다. 엄마와 함께 진해 골목을 걷고 걸은 김탁환에게는 그런 기억이 있으니 앞으로 삶은 얼마나 충만할까. 엄마는 곁에 없지만 엄마 같은 고모와 언니들이 있다. 늦기 전에 함께 혼자 걷는 봄이 아닌 함께 걷는 봄으로 채워야지. 내가 모르는 엄마를 알고 있는 고모, 내가 모르는 오빠를 알고 있는 올케언니, 내가 모르는 꼬맹이 나를 알고 있는 언니와 봄을 걸어야지. 혼자 걷는 봄은 이제 안녕.

 

 엄마가 죽고 나면 이야기가 끝날까? 끝나지 않을 것이다. 아들인 내가 엄마와의 이야기를 쓸 것이니까. 아들인 나까지 죽고 나면 이야기가 끝날까? 끝나지 않을 것이다. 죽은 모자가 나눈 이야기를 누군가가 읽을 테니까. 모자의 이야기를 읽은 누군가마저 죽고 나면 이야기는 끝날까? 끝나지 않을 것이다. 내가 쓴 바로 이 책을 읽지 못했다 해도, 세상의 모든 엄마를 아들을 낳을 것이고 그 아들들과 이야기를 나눌 것이니까. (179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4-30 08: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01 18:4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