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ired.textcube.com/1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시대 최고의 지식인
 

 

대학에서 강의하는 사람 몇몇과 어울려 저녁을 먹었다. 그 자리에서 우리 시대 최고의 지식인은 모 포털사이트의 지식검색이라는 말이 나왔다. 요즘 대학생은 보고서의 자료 출처를 책 이름 대신에 사이트 주소를 적는다고 했다. 블로그 페이지까지 검색한 경우는 그나마 성의가 넘치는(?) 학생이라고. 궁금해서 나도 지식검색 사이트에 들어가 "인문학은 위기인가"라고 물어봤다. 물론 우리 시대 최고의 지식인은 인문학이 왜 위기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극복할 수 있는지 다 알고 있었다. 다만 그걸 읽으려면 1200원을 내야만 했다.

하지만 이 주제를 놓고 다운로드한 숫자를 보니 두 번에 불과했다. '인문학의 위기'라는 건 별로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조만간 우리 시대 최고의 지식인께서는 이에 대해 곧 입을 다물 것 같다. 대신에 그분은 이력서나 자기소개서 작성법에 관심이 많은 것 같았다. 이력서 쓰는 방법에 대해서는 210건이 넘는 답변이 있었고 대부분 100번 이상씩 팔려나갔다. 아연실색한 내게 우리 시대 최고의 지식인은 "문제는 경제인 거야, 이 멍청이야"라고 외치는 것 같았다. 그런 점에서 우리 시대 최고의 지식인은 정직하다. 취업과 성장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지식 따위는 헛된 것에 불과하며 도태되는 게 옳다고 암시한다.

물론 나는 멍청이가 아니므로 경제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잘 안다. 쫄쫄 굶어죽는 한이 있어도 책을 끼고 살겠다는 각오 따위는 내게 없다. 나는 풍요롭게 살고 싶기 때문이다. 하지만 풍요와 경제성장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해 우리 시대 최고 지식인은 "경제성장이 꼭 풍요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라고 대답한다. 친절하기도 하여라. 그분의 말씀대로 풍요롭게 살고 싶다는 내 소망이 반드시 국가 경제를 발전시켜야만 이뤄질 수 있는 건 아니다.

타이타닉 현실주의라는 말이 있다. C 더글러스 러미스가 '경제성장이 아니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라는 책에서 쓴 말이다. 풍요롭게 살기 위해서는 경제를 발전시켜야만 한다는 주장을 그는 빙산을 향해 돌진하는 타이타닉호에 비유한다. 타이타닉 현실주의에 따르면 곧 빙산에 부딪치므로 타이타닉호를 당장 멈춰야만 한다고 말하는 건 요리를 만드는 요리사나 엔진에 연료를 주입하는 선원에게는 비현실적이고 비상식적이다. 타이타닉호가 멈추게 되면 요리사나 선원은 더 이상 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누구도 중요한 건 경제가 아니라 당신의 삶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런 딜레마에 대해 러미스는 삶에서 경제라는 요소를 조금씩 줄여나가자고 주장한다. 시장 바깥에서 즐거움을 찾자는 소리다. 그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문화적이고 정신적인 즐거움을 누리자고 주장한다. 아무도 다운로드하지 않을 이런 답변을 러미스가 서슴지 않는 까닭은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가 아니라면, 그게 우리의 중요한 문제가 될 수는 없는 법이다.

기업의 돈을 빼돌린 사주가 구속되는 순간에도 사람들은 경제를 걱정한다.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만 하는 규범이나 가치도 그 순간만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난다. 그건 국가 경제와 삶의 풍요로움을 혼동하기 때문이다. 내게는 의문이 하나 있다. 이 몇 년 동안 우리 경제가 난파 지경에 이르렀다는 소리를 수없이 들었다. 하지만 외국에 나가면 몇 년 전에 비해 한국을 바라보는 시선이 많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인정한다. 이 모든 것이 밤낮없이 경제활동에 매달린 기업인 덕분이다. 그렇다면 난파된 것은 무엇일까? 그건 우리가 소망했던 풍요로운 삶이 아닐까? 이 물음에 대해 우리 시대 최고 지식인께서는 묵묵부답이다.


김연수 소설가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category_id=KL&qid=2fExf&q=%B1%E8%BF%AC%BC%F6+%BA%ED%B7%CE%B1%D7&srchid=NKS2fEx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f you want to tell people the truth, make them 

 laugh otherwise they will kill you." 

 

Oscar Wilde 

 

 

* 매트릭스 원본 대본 읽다가 초반에 네오가 퇴근길에 맥주와 함께 산 캡틴크런치가 뭔지 검색하다가 들른 블로그(http://conte0303.tistory.com/425?srchid=BR1http%3A%2F%2Fconte0303.tistory.com%2F425)에서 본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drugoi.livejournal.com/3021464.html#cutid1  

* 사고 직후 휴대폰 사진 http://nakaba.ru/forum/viewtopic.php?f=3&t=83418&start=165  

* 사고순간 휴대폰 동영상 http://www.kp.ru/daily/24344/534153/ 

 

 

 

http://www.ntv.ru/novosti/172155/vide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소설을 읽으면 호불호가 바로 갈리는 편인데 작가 김연수에 대해서는 아직 유보중이다. 그런데 새 작품이 나오면 꼭 들여다보게 되는 것 보면 뭔가 있기는 한 것 같다. 그런데 완소 작가 박완서 님께서 중앙일보의 기획시리즈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에서 연초에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을 낙점하셨다고 하여 기사를 찾아 읽어보았다. 그 '뭔가'가 뭔지 살짝 감이 오려고도 한다.  

 

 

 

 

[신년기획] 작가가 뽑은 작가의 책 ② 박완서 →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 [중앙일보]


 


2009.01.12 02:06 입력 / 2009.01.12 08:45 수정
소름 돋는 상상력 … 질투한다, 존경한다


 
  소설가 박완서(78)씨는 1930년대 초 북간도를 배경으로 한 김연수(39)씨의 장편소설 『밤은 노래한다』를 독자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으로 꼽았다. 박씨는 『밤은…』에 대해 “아직도 생존자가 있는 최근세사를 소설화하기 위해 치밀한 취재와 긴 시간, 체력을 투자한 젊은 작가의 패기가 느껴지는 작품”이라고 평했다. [중앙포토]


관련핫이슈


 
김연수씨의 『밤은 노래한다』가 1930년대의 동만주를 배경으로 씌어진 소설이라는 걸 알고 처음엔 좀 당혹스러웠다. 마치 내가 맡아놓은 자리를 빼앗긴 것처럼 섭섭하고 억울한 느낌까지 들었다. 누가 시키거나 권한 것도 아닌데 그쪽 이야기는 꼭 내가 써야 할 것 같은 의무감을 오랫동안 품어왔기 때문이다.

언제부터 왜 그런 생각을 품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마도 어린 시절부터 사춘기에 걸쳐 나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 남부여대(男負女戴), 만주로 떠나는 일가족을 가까이서 볼 기회가 많았다는 것도 있고, 고향마을에 하룻밤 사이에 집을 비우고 감쪽같이 사라진 일가가 있었다는 것하고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기차 타고 만주로 떠나는 가족들은 6·25 때 피난민보다 남루했고, 하룻밤 사이에 비운 집은 단지 빈 집이라는 것 이상의 공포감을 자아냈다. 순사와 빚쟁이들이 남은 세간을 몇 탕 뒤지고 나자 빈집은 버틸 기운을 잃고 휘청거렸고, 아이들은 가까이 가기를 꺼렸다.

무너질까봐 또는 도깨비가 나올 것 같아서 무서운 것하고는 다른, 막연한 외경심을 품었던 것은 어른들이 그들이 떠나간 곳을 간도(間島) 어쩌구, 수군거리면서 짓는 우러름의 표정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 우러름은 그 빈집에 대한 신비감을 더 했다. 해방이 되자 동네 사람들은 그 집주인의 금의환향을 기다리는 눈치였지만 내 고향이 휴전선 이북 땅이 될 때까지도 나는 그들의 귀향을 보지 못했다.

교포들이 많이 산다는 연길 쪽 가기가 내 고향땅 가기보다 쉬워지게 되자마자 내가 연길을 방문했던 것은 특정한 누군가를 궁금해 하거나 보고 싶어서가 아니라 어린 마음에 존경심과 신비감을 자아냈던 분들의 후손들의 지조 높은 삶에 대한 기대 때문이었다. 그런 귀한 것이 아무데나 굴러다닐 턱도 없거니와 자본주의에 막 물들기 시작한 그들이 나에게는 뜨악하기만 했다. 그때 동행한 분은 오랫동안 알고 지내던 재야 사학자여서 그쪽에 학자들을 소개받기도 했지만 나는 취재하고 싶은 호기심조차 일지 않았다.


 
 

나는 김연수라는 작가를 질투하며 한편 존경하며 이 소설을 읽었다. 내가 섣불리 집적거려 놓지 않기를 참 잘했다는 안도감도 숨기지 않겠다. 아직도 생존해 있는 증인도 적지 않을 최근세사를 이만큼 성공적으로 소설화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치밀하고 참을성 있는 취재와 긴 시간과 체력을 투자했을까, 그건 내가 감히 넘볼 수 없는, 패기 있는 젊은 작가만의 특권이다.

더 부러운 건 그의 상상력이다. 나는 상상력은 곧 사랑이란 말을 믿는 사람인데 나에게 부족했던 건 거기서 그 시대를 살다간 사람들에 대한 사랑이었다. 그러나 내가 이 끔찍한 이야기를 마치 내가 경험한 것처럼 소름 돋는 느낌으로 읽은 것은 아직도 내 안에 생생한 동족상잔의 기억 때문일 것이다. 민족과 국가를 위한다는 명분하에 민족과 국가를 위한다는 저희들끼리 서로 얼마나 못할 노릇을 해왔던가. 그건 우리 근세사의 어둠일 뿐 아니라 우리 자신 속의 어둠이다. 어둠을 두려워하지 않고 빛을 들이댄 작가의 용기에 찬사를 보낸다.

◆『밤은 노래한다』(문학과지성사, 2008년)=김연수(39)씨의 여섯 번째 장편소설. 1930년대 초 북간도의 조선인 사회를 뒤흔들었던 ‘민생단’ 사건을 소재로 삼았다. 조선의 혁명가들이 서로를 일제의 첩자로 몰아 500여 명의 희생자를 낳은 비극적 사건이었다. 자신의 의도와는 관계 없이 사랑 때문에 복잡한 정세와 얽혀버린 한 청년의 고뇌를 그려낸 작품이다.


 


 



◆박완서=1931년 경기도 개풍군 출생. 70년 장편소설 『나목』으로 데뷔했다. ‘영원한 현역작가’이자 ‘한국문학의 대모’라 불린다. 대표작으로 『그해 겨울은 따듯했네』 『너무도 쓸쓸한 당신』 『친절한 복희씨』 『마른 꽃』 『그 남자네 집』, 동화집 『자전거도둑』, 수필집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호미』 등이 있다. 황순원문학상·이상문학상·동인문학상·대산문학상·만해문학상·호암상 예술상 등을 받았다.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452909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4620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