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정봉주 - 나는꼼수다 2라운드 쌩토크: 더 가벼운 정치로 공중부양
정봉주 지음 / 왕의서재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닥치고 정치>에 이은 <나꼼수> 생생토크 2탄!.
     <나꼼수>를 통해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생활고가 다 정치 때문이라는 사실에 매우 공감을 한다. 덕분에 <시사IN> 애독자가 되었고, 정치인과 정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전에는 죄송하지만 존재를 몰랐었다. 그만큼 정치에 관심이 없었다는 얘기다. <나꼼수>를 통해 그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이제는 팬이 되어버렸다. 예전에 김총수와 함께 하니TV에서 방송했다는 <정봉주의 PSI>도 찾아보려 한다. 봉도사 입감 이후에 구매하게 되었지만, 그 전부터 사려고 생각은 했었음을 밝혀둔다.

     항상 유쾌하고 시도때도 없이 깔때기를 들이대는 자기 자랑이 좀 심한 정치인일 줄 알았지만, 친근하며, 고민도 많고, 묵묵히 할 일을 수행했고, 책임지는 사람일 줄 몰랐었다. 

     그의 정치 인생을 엿볼 수 있는 기회였다. 역시 '치명적인 매력'의 소유자 답게 글도 재미있고, 저자 깔때기도 곳곳에 등장한다. 아름다운 영혼의 소유자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

     

     탄핵의 바람을 타고 벼락치기로 정치 공부를 하고 정계에 입문하지만, 계보 정치에 끼지 못하고 홀로 임무를 수행하고, BBK 저격수가 되고, 재판 과정, 18대 낙선 후 백수 생활과 김어준 총수와의 인연등 정봉주 전의원의 정치 인생을 한 권의 책으로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가볍고 경쾌하고 유쾌하다. 마치 그의 말투와 표정 웃음소리가 생생하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BBK 증거, 저축은행 비리등, 현재 정권에 유착된 비리에 대해 맹렬히 비판한다. 교육부 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반값 등록금에 대한 그의 철학은 꽤나 진지하다. 반값 등록금을 시행하고, 두배로 올리면 하나마나한 정책이라고 비판한다. 등록금 상한제가 먼저 시행되어야 하고 내역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볍고 유쾌하게 시작하지만 읽다 보면 전혀 가볍지 않다. 또한 외로웠던 정치 행보를 보면 가슴이 아프다. 

 

     이런 정치인 처음 본다. 또 이런 정치인들이 있기에 기대가 된다. 왠지 이런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 주고 싶다. 

     우리와 함께 손을 잡고 같이 달릴 수 있는 정치인이 되기를 희망한다. 정봉주 파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 - 영원히 철들지 않는 남자들의 문화심리학
김정운 지음 / 쌤앤파커스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삶이 재미 없는 남자들, 그런 남자들을 이해하고 싶은 사람에게 강력히 추천한다. 남자들이여! 재미와 감탄할 수 있는 일을 찾고, 그 속에서 행복을 느껴 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프니까 청춘이다 - 인생 앞에 홀로 선 젊은 그대에게
김난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란도샘이 청춘들에게 들려주는 격려와 희망의 메시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려라 정봉주 - 나는꼼수다 2라운드 쌩토크: 더 가벼운 정치로 공중부양
정봉주 지음 / 왕의서재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젠 더 이상 혼자가 아니라고 손을 잡고 말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현재 자유 시장 자본주의의 불편한 진실에 대해 설명한다. 경제 전략의 일반적인 통념을 비난하며, 그 근거들을 제시한다. 23가지 항목을 개별적으로 설명을 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으로 경제 시스템을 설계할 때의 원칙들을 설명한다.

     경제시스템을 설계한다면 꼭 지켜야 할 원칙들에 대해 간단히 정리했다.

     첫째, 자유 시장 자본주의는 나쁜 경제 시스템이다. 
     둘째, 인간의 합리성은 어디까지나 한계가 있다는 인식위에서 새로운 경제 시스템을 건설해야 한다.
     셋째, 인간이 이기심 없는 천사가 아니라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간의 나쁜 면보다 좋은 면을 발휘하게 하는 경제 시스템을 건설해야 한다.
     넷째, 사람들이 항상 '받아 마땅한' 만큼 보수를 받고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다섯째, '물건 만들기'(제조업)를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여섯째, 금융 부분과 실문 부문이 더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곱째, 더 크고 더 적극적인 정부가 필요하다.
     여덟째, 세계 경제 시스템은 개발도상국들을 '불공평하게' 우대해야 한다.
 
     현 자본주의를 비난하지만, 자본 주의 전체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고, 자유 시장을 어느 정도 통제가 되야 하고, 잘 만되면 더 나은 산업으로 개발도 가능하다는 얘기를 전반에 걸쳐서 얘기한다. 하지만, 국방부 불온 서적에 등록될 만한 책은 아닌 것 같다. 전작 '나쁜 사마리아인'도 훌륭하지만 훨씬 정리가 잘되어 있고, 내용도 한층 업그레이드 되서 돌아왔다. 아울러 '나쁜 사마리아인'을 한번 더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약간은 어려울 수 있는 얘기지만, 다 읽고 나면 경제시스템을 보는 눈이 한층 업그레이드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