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인 테일러스 동서 미스터리 북스 7
도로시 L. 세이어스 지음, 허문순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죽은자를 위한 9번의 종' 이라고 풀어 썼더라면 좀 더 와닿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처음에 제목을 '9명의 재봉사'로 착각할 정도로 헷갈렸다. 물론 재봉사가 나오긴 한다. 중간에 '재봉사는 몇명이 모여야 비로소 한 사람 구실을 한다' 는 종류의 경구로. :)

각설하고, 아가사 크리스티나 반 다인을 생각하고 이 책을 산다면 말리고 싶다.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재미있게 보셨다면 강력히 추천하고 싶다. 확실히 본격 추리소설로서 이 책을 보기엔 너무 무거운 감이 있다. 다른 리뷰를 읽어본 결과 대부분의 불만은 '전좌명종술'이라는 영국의 전통 예술에 대한 장황한 서술을 피해 지나가지 못하는 부담인 듯 하니까.

<그린살인사건>의 현학적 문체가 비슷한 느낌을 줄 수도 있지만, 후자가 번스라는 캐릭터 묘사를 위한 양념으로 전락해 버렸다면, 전자는 스토리텔링의 일부로, 기묘한 상황을 조성하고 사건의 핵심이 되는 단서 중 하나를 풀어내는 데 필요한 정보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다. (반 다인 등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결코 아님을 밝히고 싶다. 단지 어떤 것에 중점을 두어 쓰느냐에 대한 문제일 뿐이다.)

다시 말하면, 이 소설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는 스토리 텔링의 짜임새와 유려한 문체, 묘사를 거의 하지 않지만 실감나는 캐릭터에 있다. 앞에 예로 든 두 작가처럼 '트릭 나고 사람 나는' 느낌의 전형적인 추리소설로서 베스트는 아니지만, 너무나 아름다운 묘사들 때문에 장르에 대한 편견을 버리기에는 최고의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특히 트레블 봅 연주의 아름다움에 대해 묘사한 부분과, 혼란스러운 심리 묘사로 드라마틱함을 끌어낸 결말 부분을 좋아한다. 일어 중역을 한번 거친 껄끄러운 문체에서조차 이런 유려함이 느껴진다는 것은 정말 놀라울 뿐이다. 그렇다고 트릭이 재미없는 것도 아니다. 살인, 과거의 사연에 의한 동기, 암호 풀이, 분실물 찾기, 뜻밖의 결말, 이 모든 클리셰가 등장하여 추리소설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한다.

특기할 만한 것은 이 모든 것이 매우 현실적으로 그려진다는 점이다. 어떻게 보면 가장 사건과 관계를 맺지 않아야 할 윔지 경 조차도 마을의 대소사와 관련을 맺으면서 상황 속에 녹아 들어가고 결국 사건의 일부가 되어버리는, 그리하여 귀족이지만 전혀 도도하지 않고 영리하지만 인간의 한계를 넘지 못하는 현실적인 탐정으로 그려진다.

글이 길어진 감이 있어 정리를 한다면, 본격 미스터리의 트릭 풀이를 기대하고 읽는 사람에게는 좀 실망일수도 있으나, 자체의 짜임새와 아름다움이라는 측면에서는 최고의 동서 미스터리 북스라고 생각한다. 윈도우를 다시 깔면서 심심파적으로 책을 들었는데 결국 윈도우는 못 깔고, 5시간을 꼬박 책을 들고 놓질 못했으니까... -_-;; 다른 윔지 경 시리즈도 번역되어 나오면 좋겠다는 희망을 덧붙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형법정 동서 미스터리 북스 19
존 딕슨 카 지음, 오정환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꼬릿말을 읽다 알게 된 단어인데, 반전도형(reversible figure) 이란 것이 있다. 촛대를 그린 그림인가, 마주보는 두 사람을 그린 그림인가. 밑그림과 본그림이 각각 모호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것이 진짜 그림이었는지 구분할 수 없게 되는 이런 구성이 문학에 나타난다면?

사실 '동서 미스터리'에 끼어 있기 때문에, 카의 오컬트 취미를 익히 들었기 때문에, 읽으면서 무진장 '촛대'를 보려고 노력했고 해결이 갑작스러우면서도 영 찜찜한 것에 나름대로 황당함을 느꼈다. (유명한 탐정 따위가 등장치 않은 것도 한몫함.)

그런데 에필로그 한 페이지에, 지금까지 애써 무시해 가면서 읽고 있었던 러브크래프트적인 요소가 'The Truth'일지도 모른다는 느낌에 사로잡히는 것을 막을 수가 없었다.

이 작품이 정말 잘 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반전도형처럼 두 그림이 각각 아웃라인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서로 맞물리는 듯한 인상을 줌으로써 '디 아더스' 와 같은 서늘함을 주기 때문이다.

회화에 계속 비유한다면, 에셔의 'Drawing Hands' 이나 'Sky & Water I'와 같은 느낌이 있다. 빛과 어둠과 같은 두 세계, 이성에 의한 추리와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는 괴기, 전혀 만나야 할것 같지 않은 녀석들이 서로 오버랩되면서 결국 어떤 것이 진실이고 어느 것이 misdirection인지, 뭐가 뭔지 알수 없게 되어버리는 것이다. 또한 오랜만에 범인을 예상할 수 없는 소설이었으므로 주저없이 별 5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3호 독방의 문제 동서 미스터리 북스 55
잭 푸트렐 지음, 김우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80년 대 초에 장거리 여행을 자주 하시던 아버지가 열차 안에서 시간을 보내기 위해 사들고 오시던 책이 바로 동서추리문고 였습니다. 불행히도 이 책은 지독히 안 팔린 건지 곧 절판되어 헌책방에서 몇 천원씩 주고 사야 하는, 그것도 없어서 못 사는 콜렉터 아이템이 되어 버렸습니다. 나이가 들고 어느정도 구매력이 생긴 지금 이 문고판이 새로 나온다는 사실은 어린 시절의 향수와 읽어보지 못했던 작품에 대한 기대, '언제 다 사지?' 하는 재정적 부담으로 인한 걱정을 함께 줍니다.

책 상태는 생각보다 괜찮았습니다. 예전처럼 세로쓰기 판형에 한손에 들고 읽기 딱 좋은 것은 아니지만 폰트도 적당하고 줄간격을 키워 무리하게 쪽수를 늘린 것도 아닌 읽기 좋은 느낌입니다. 처음 외형이 소개되었을 때 들쭉날쭉한 겉표지로 인해서 꽂아놓으면 폼이 나지 않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는데, 다행히 옆표지를 갈색 모노톤으로 통일해서 확실하게 시리즈라는 사실을 가르쳐 주는군요. (좀 싸구려 티나는 갈색이지만) 불만인 점은 커버의 질이 별로 좋지 않아서, 가격에 비해 매우 싸구려스럽게 보이는 외형이 두드러진다는 점.

타이타닉 호와 운명을 함께한 천재..라고 하는 쟈끄(Jacques) 푸트렐의 이 단편집은 반 도젠 교수라는 탐정이 사건을 의뢰받고 해결한 후 모든 것을 설명하는 본격 미스터리의 형식을 철저히 따르고 있습니다. 소설의 대부분은 많은 추리소설에서 익숙해진 트릭들과, 반 도젠 교수의 기행에 대한 묘사의 늘어짐으로 인해 아주 흥미롭지는 않습니다. (그는 너무나 완벽해서 오히려 매력이 떨어지는 인물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서양 건너의 홈즈를 의식한 탓일까요?)

하지만 제목을 장식하고 있는 '13호 독방의 문제'와 '잘려진 손가락', 이 두 단편은 사건 자체의 기묘함을 묘사하는 능력이 확실히 탁월한 작품입니다. 해설에 따르면 작가 푸트렐은 추리소설 이외에도 여러 장르를 섭렵했다고 하는데 그런 경험이 다른 미스터리 작가와 확실히 구별되는 내러티브를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합니다. 홈즈 시리즈와 같은 본격 미스터리를 좋아하시는 분은 한번쯤 읽어볼 만한 단편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지는 거리 세계걸작스릴러 7
러브 크레프트 지음, 김상준 옮김 / 동림 / 2001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처름 받아보았을 때 약간 당혹했다. 구매할 때는 '동림 어린이 문고' 라는 정보는 보지 못했기 때문에. 한 0.1초 정도, 반품할까 하는 생각을 가지게 했을 정도로 활자라든지 일러스트가 어린 시절에 읽었던 80년대 초의 싸구려 괴담집을 생각케 했다.

심지어 폰트가 각 단편마다 조금씩 달라서, 다른 곳에서 출간되었던 책의 일부를 짜집기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일러스트를 누가 했는지는 나와 있지 않았지만, 몇 개는 어디선가 본 적이 있었던 것들이었다. 큰 활자 때문에 한 패러그래프도 안 되는 내용이, 단면 전체를 차지하는 일러스트 때문에 읽는 흐름이 자꾸 끊어지는 것이 거슬렸다.

원서를 읽어본 적이 없어서 번역의 질이라든가 하는 것은 잘 모르겠다. 별로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는 번역이라고 생각한다. 내용 자체는 즐거웠다. 총 7개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제목을 접수한 '사라진 거리'와 같은 이야기는 분위기 묘사나 몰아가는 맛에서 괜찮은 편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ithele 2004-03-01 0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좀더 경악스러운 정보 : 실린 것들 중에 러브크래프트의 것이 아닌 작품이 있다는 얘기가 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