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처음 보는 유목민 여인 - 알타이 걸어본다 6
배수아 지음 / 난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다의 >걸어본다< 시리즈 6번째 책인 배수아의 알타이 처음보는 유목민 여인을 꺼냈다.  허수경 시인의 너 없이 걸었다를 구입해 놓고도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는데 책표지 글을 읽다보니 어? 이 책시리즈 도서였네? 하고 다시 보게 된다.  >걸어본다< 시리즈는 여행이 아닌, 관광이 아닌, 산책.  느긋한 마음으로 이곳저곳을 거닐 줄 아는 예술가들의 산책길을 따르는 과정속에 저마다의 '나'를 찾아보자는 의도로 시리즈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좁게는 내가 사는 동네, 넓게는 내가 사는 나라에 이르기까지, 산책이라는 오감열기를 통해 나만의 사유 자유 여유를 확장 시켜가는 디딤이 아름다운 '삶'이라 불러보기 위함이랄까/책표지⁠   알타이라는 새로운 지역에 대한 호기심, 여행서라기보다 여행자의 사색이 보태진 글이라 여행기라고 하기엔 조금 거리감이 있는 에세이.  여행지로는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곳의 이야기라 호기심이 조금은 앞섰던 책이었다.



그러므로 이것은 내가 지금 이 자리의 여러분에게 드리는 진지한 당부이다.  유언이 될 수 있는 쪽지를 써라.  그리고 항상 몸에 지니고 다녀라.  이곳은 세계로부터 잊힌 땅이나 마찬가지인 알타이 산악 지대 깊숙한 곳이며, 그것이 언제 어디서 오게 될지, 우리는 아무도 모른다. /p9



이것은 여행기가 아니다.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이것은 여행기라고 불리기에는 어떤 요소가 너무 부족하거나 혹은 너무 넘치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결코 여행과 함께 시작하거나 끝나지 않는다.  나는 여행을 떠났지만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여행이 아니라 나로부터의 도피였으며, 특별히 흥미진진하거나 남다른 사건이나 경험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p11



선물받았던 책인 갈잔 차낙의 <귀향>이라는 작품을 읽고 관심을 가지게된 작가.  독일어로 글을 쓰는 아시아 작가, 시베리아 스텝 평원의 사라져가는 소수 부족의 추장이기도 한 그에게 관심을 갖게 되고,  <귀향>을 읽고 갈잔 차낙을 만나러 가야겠다는 막연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책을 한 권 읽었을 뿐이고 관련된 지인은 전혀 알지도 못한다.  작가인 그가 종종 유럽을 방문해서 낭독회를 가질거라는 생각에 구글에서 독일 낭독회 일정을 검색하다 그가 소수 유럽인 신청자를 자신의 알타이-투바 땅으로 데려가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이미 2009년 알타이 여행 모집이 끝난 상태였지만 꼭 그를 만나야한다는 생각에 사연은 줄줄 만들어졌고, 통장의 잔고는 거의 비어가고 있었고 그녀가 가게 될 알타이 여행을 위해 준비할 물품들은 너무도 많아보였다.



이 글에서 앞으로 반복해서 등장하게 될 여행이란 단어는 길이나 지도, 낯선 나라, 인상 깊고 아름다운 풍광, 새로운 문물, 혹은 새로운 자신, 두근거림이나 자유, 혹은 모험이나 떠남, 대개는 돈을 지불함으로써 현대인이 얻게 되는 어떤 종류의 비일상적 체험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아마도 단지 지극히 개인적이고 정적인 꿈, 고통의 또다른 이름으로서의 꿈, 혹은 정체불명의 그리움, 슬픔과 체념으로 가득찬 발자국, 혹은 그러한 감정의 순간에 우리를 사로잡는 은밀하고도 슬픈 몽환과 동의어에 불과할 것이다.  이해할 수 없는 말과 얼굴들로 이루어진 나의 또다른 장소로 향하는 여행이자 동시에 한때 나의 육신을 이루었을지도 모르는 돌과 쇠를 찾아 가는 여행 /p12



초원에서 살아가는 이들의 삶에 필요한 것은 많지 않았다.  몇일 째 씻지 못하고,  드넓은 초원이 화장실이었고, 가끔은 말을 타고 이동하기도 해야하고 유르테에서 따뜻하게 잠들기 위해선 연료가 되는 야크똥은 직접 주으러 다녀야했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곳이라 카메라나 통신기기 사용에도 제약이 많았지만 몸이 불편한 만큼 마음은 편안해지지 않았을까?   그들의 일상을 보면 자연에서 버린 것들은 그대로 내게 돌아온다는 말을 저절로 이해하게 될 것만 같다.  우리도 그 같은 삶을 살았던 때가 있었겠지만 글을 읽으며 버석거리는 감정이 드는건 그녀의 글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인것 같다. 



나는 집안에서의 고독에 익숙하고 늘 그것을 사랑하며 야외 생활을 좋아하지 않는 편이었지만 알타이에서는 좀 달랐다.  유르테 밖을 나오면 항상 어떤 눈길이 있어, 그것이 나를 지켜본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덧 나는 그 눈길을 사랑하게 되었다.  파울은 그것을 알타이 산의 정령이라고 불렀다. /p92



길을 나선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지 않게 된게 서른 중반 이후부터 였던것 같다.  그냥 떠남이 좋았고, 길 위를 걸으며 아둥바둥 여행하지 않는 법을 배웠고, 시간이 허락한다면 다시 떠나면 된다는걸 알기까지 십년이 조금 넘게 걸렸다.   저자도 그러하지 않았을까?  단지 작가를 만나보겠노라고 떠났던 길에서 좋은 친구를 만났고 채식을 해왔던 식습관을 현지에 맞춰 조금은 바꾸기도 하면서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순응해보는것.  책을 다 읽고 덮은 지금 창밖엔 아침부터 내리기 시작한 비가 계속해서 내리고 있지만 난 그녀가 있었던 알타이 스텝평원 어딘가에 있는 듯한 여운을 느낀다.   조금더 추워지기전에 공원에서 그녀가 밑줄 그은 부분들만을 다시 읽어보는 것도 좋을것 같다.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