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주목신간을 추천하는 일이 진짜 '일'이 될줄은 몰랐다. 주는 대로 받아먹다가 먼저 골라야 하는 입장이 되니 많이 다르다. 이래서 다들 고만고만하게 사는가보다. 주체적으로 사는 사람이 존경받는 이유이기도 하고..
잠시 드는 뻘생각. '인문/사회'냐, '인문/사회/과학'이냐 하는 문제. 신간평가단 게시판 이름조차도 두 용어가 혼용되어 있다. 아무래도 '(자연)과학'은 나중에 빼꼼 들이밀고 자리잡은 표기인듯한데, 아무튼 나는 반갑다. 앞으로도 과학과 역사쪽에 절반 이상 비중을 두고 추천할듯하고. 물론 다른 분들이 어떤 생각이냐에 따라 보게될 책이 정해지겠지만...
1. 생명의 도약
저자의 전작 [미토콘드리아]를 읽은 적이 있는데 하나의 주제(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한 권을 끌어간만큼 꽤 전문적인 내용도 적지않은 책이어서 버겁다는 느낌이 있었으나 이 책은 부제가 진화의 '10대 발명'인 것처럼 여러가지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조금은 읽기가 수월하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미토콘드리아 하나로 인류기원을 찾아가는 이야기도 놀라운데 10대 발명은 또 얼마나 많은 비밀을 알려줄것인가 기대가 많이 된다.
10개의 주제는 '생명의 기원'으로 시작해서 'DNA', '광합성', '성', '시각' 등을 다루고 마지막 주제로 '죽음'을 다룸으로써 정말 생명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2. 나와 너의 사회과학
우석훈 박사의 새 책이다. 얼마전에도 [디버블링]이라는 책을 냈는데 금방 새로운 책이 나왔다.
책을 둘러보니 사회과학 입문서 같다는 느낌이다.책 제목조차 사회과학이다. 무엇보다 이 책이 기대되는 이유는 '왜' 사회과학을 하느냐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것 같아서이다. 학문 그 자체로써가 아니라 사회 공동체를 위해서 말이다. 주변을 크게 둘러보면 사실 우리에게 제일 필요한건 TV도 야구도 뉴스도 인터넷도 음악도 아니다. 그런 것들은 이미 과잉이고 비만으로 판정받은 살들처럼 잉여로 인한 부작용이 있을 정도다. 제일 부족한건 사회과학인듯 싶고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제목은 '우리에게 필요한 사회과학'으로 바꿔도 되지않을까싶다.
3. 거의 모든 사생활의 역사
빌 브라이슨의 책을 처음 만난것은 [거의 모든 것의 역사]라는 책이다. 깨알같은 글씨에 그림도 별로 없는 5백쪽짜리 교양과학 책을 순식간에 읽어버렸다. '거의 모든'이란 표현은 분명히 '과장'이기 때문에 평가에 마이너스 요소이지만 책을 재미있게 쓴다는 점은 인정해야할듯 하다.
너무 진지하지 않게 휴식처럼 읽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4. 그리스인 이야기 1
제목만으로는 그닥 매력적이지 않은 책인데 소개를 보니 거의 [로마제국 쇠망사]급의 평가를 받는 것 같아 관심을 가져본다. 흔히 신화를 이야기할때 '그리스로마 신화'라 하고, 서양문명의 뿌리를 논할때도 그리스와 로마를 빼놓을수가 없다.(사실, 전부라고 할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리스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접할 기회는 로마보다 훨씬 드물었던게 사실이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탓(덕?)이 클듯)
로마보다 먼저, 그리고 더 크게 이 세상에 그 자취를 남긴 그리스 문명에 대한 진지하고 자세한 해설이 기대된다.
ps. 이미 읽고 있는 중이긴 하지만 진짜 포함하고 싶던 책중의 하나가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인데 출간일이 2월이라 빠질수 밖에 없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