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는 틀렸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GDP는 틀렸다 - '국민총행복'을 높이는 새로운 지수를 찾아서
조지프 스티글리츠 외 지음, 박형준 옮김 / 동녘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GDP의 사전적 의미는 아래와 같다.

국내총생산(GDP)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로서 여기에는 국내에 거주하는 비거주자(외국인)에게 지불되는 소득과 국내 거주자가 외국에 용역을 제공함으로써 수취한 소득이 포함된다. 

그리고 우리는 GDP의 규모로 전세계에서 몇 번째로 잘 사는지 평가 받는다. 하지만 GDP가 높은 나라가 행복한 것일까?라는 물음에는 의구심이 든다.  이것은 부자는 행복한가? 라는 물음과도 선을 같이 하는 것이다. 2만불 시대에 살고 있는 한국사람들은 모두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을까? 하지만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이기에는 내 주위에 블랙 스완들이 너무나 많다.  

우선, 취업을 못해 놀고 있는 대졸  --> 이들은 88만원 세대라고 불린다. 88만원이면 연간 만불이 안되는 수준이다.  

그리고 대학생들, 이들은 학비를 못내 연일 뉴스에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폐지와 박스와 고물을 줍기 위해 새벽 부터 분주하게 움직이는 우리네 할머니, 할아버지들, 이들에게 GDP 2만불 국민이라는 것은 자기랑은 아무 상관없는 허울 좋은 빛살구일 뿐이다.  

GDP를 신봉하는 사람은 정치인이다. 정치는 정성적인 요소로소 수치를 표현하기 어렵다. 그런데 GDP라는 것은 정량적인 요소이다. 그래서 우리네 정치인들은 자기 시대에 GDP 만불, 이만불 등 의미가 막중한 숫자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했다. 하지만 그 방법은 빨리 빨리를 외치는 우리의 정서상, 남들이 따라올 수 없는 속도로 달성하기 위해서 집중화 전략을 취했다.  

한 반에 10명의 학생이 있다. 수학 시험을 본다. 어떤 방법을 써도 상관없다.  가장 빨리 평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상적인 교육관에서는 10명의 학생들을 모두 100점을 받을 수 있게 교육시켜, 평균 100점을 달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 이상적인 것이다.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100점을 받을 수 있는 1명이 빨리 문제를 풀어서 답을 다른 학생들에게 배포하는 것이다.  

이것이 한국의 GDP다. 우리는 1등을 할 수 있는 기업들에게 그리고 사람들에게 모든 자원을 집중했다. 그래서 단기간에 성적은 올랐다. 1등인 사람은 엄청난 부를 쌓았다. 하지만 들러리들은.... 그들은 아무도 챙겨주지 않는다.  

GDP는 평균값의 잔인함을 보여주는 지표다. 우리 모두는 2만불 국가에 살지만, 우리 모두는 2만불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함께 행복할 수 없다. 오로지 생산이라는 산업 지표만 관심이 대상인 GDP는 그래서 틀렸다고 작가는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개인들이 느끼는 행복을 지표화 할 수는 없다. 그리고 그 지표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  행복 지수에서 매번 상위권을 차지하는 나라는 결코 GDP가 높지 않은 나라들이었다.  

우리는 그들을 가난한 후진국이라고 이야기 하지만, 그들은 우리를 불행한 물질주의의 노예라고 이야기할 지도 모른다.   

이제 우리는 살기위해 일하는 시대가 아니라, 행복하기 위해 일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면 GDP도 이제는 생산지표에서 행복지표로 변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