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깊고 아름다운데 - 동화 여주 잔혹사
조이스 박 지음 / 제이포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은 깊고 아름다운데

저자 조이스 박

제이포럼

2024-04-25

인문학 > 인문 에세이





이야기는 숲과 같다.

특히 오래된 옛이야기일수록

나무가 울창하게 우거진 느낌이다.

새 지저귀는 소리와 향긋한 나무 내음에 취해

마냥 걷다가는 길을 잃기 딱 좋은 그런 곳이랄까.

그리고 그 숲에서 우리는 친숙한 풍경과 거듭 마주한다.



어렸을 때 동화책을 읽으면 자연스레 숲속이 펼쳐지고 왕자님과 공주님이 등장했었습니다.

이야기의 흐름에 맞춰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쳤지만, 지금은 아니죠.

그런데 참 희한한 건 제가 상상의 나래를 펼쳤던 그 나이대의 지금 아이들은 고전 동화책을 들려주면 고개를 젓는다고 해요.

즉, 지금의 현실에선 동화 내용 자체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뜻이겠죠.

옛이야기가 기본적인 클리셰가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읽어야 하는 이유는 공감지수를 높이고 지혜를 얻는 등 살아가면서 필요한 삶의 무기를 찾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혹시 아시나요?

옛이야기는 당시의 시대적, 문화적 배경이 반영되었다는 점을.

그리고 그들이 이야기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Snow white


눈처럼 새하얀 피부, 커다란 눈망울, 사과처럼 붉은 입술 그리고 비단결과 같은 검은 머리를 가지고 있는 한 공주님이 있었으니, 그녀의 이름은 바로 백설공주입니다.


백설공주의 비밀에 대해 알아볼까요?

백설공주는 사회에서 여성들이 받는 문화적인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 백설공주 원작을 보면, 아이를 가진 왕비가 앞서 묘사했던 모습처럼 아기가 태어나기를 소망합니다.

이렇게 구체적으로 아이의 외모를 소망한다는 것은 유전자 조작으로 아이를 낳겠다는 것과 다름없죠.

즉, 부모의 욕망이 투영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백설공주 이야기는 뿌리 깊은 대상화에 대한 것입니다.


백설공주 이야기는 여성들이 대상화라는 작용에 어떻게 반응하는 지를 보여줍니다.

백설공주는 물론 계모 왕비와 백설공주 어머니인 왕비 모두 대상화된 여성들의 원형입니다.

계모 왕비를 보면 끊임없이 거울에게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끊임없이 물어보죠.

여기서 그녀가 거울에 의존하는 이유가 거울이 가부장 권력의 시선이기 때문입니다.

백설공주는 남자들이 바라는 욕망이 모두 투사되어 만들어진 존재입니다.

그래서 계모 왕비는 확연히 튀는 인물이지만 남자들이 만든 틀에 맞아떨어지는 백설공주의 현실은 이에 가려져 있죠.



Dragon, prince... and princess


특히 서구의 옛이야기를 보면 용이 아가씨 혹은 공주만 잡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잡혀간 공주를 구하기 위해 왕자나 기사가 발벗고 나서죠.

희한하죠. 어린이나 남자가 잡혀간 경우는 거의 없으니깐요.


독일 동화 「마법에 걸린 공주님」을 보면 【셋 중에 하나 고르기】라는 서브 모티프가 플롯을 완성하는 장치로 등장하는데, 다른 동화에서도 이러한 패턴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내면을 제대로 알아보기 위한 장치로 참된 본성을 걸러내기 위함이지요.

그리고 주목할 것은 주인공 한스가 전형적인 남성성을 상징하는 인물은 아닙니다.

당시 가부장적인 사회를 고려했을 때 다정하고 세심한 성격은 차별받았었는데, 주인공 한스는 가부장제 남성에게 배척당하던 속성을 발휘해 공주의 마법을 풀고 왕국을 상속받게 되죠.

즉, 가부장적인 성향을 벗어난 남성성이 여성과 어떤 관계를 맺게 되는지 이야기 속에서 되새겨볼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옛이야기는 권력자의 논리를 전하는 통로인 동시에 이야기를 전하는 이들의 지혜가 숨어 있는 보물창고이다.





「한국 전래동화 전집」 · 「서양 고전동화 전집」 · 「과학동화전집」

여섯 살 즈음, 책과 가까이 하기를 바라며 엄마가 거금 들여 사주셨던 전집들.

즉, 처음으로 제가 접했던 책이 바로 동, 서양 고전이었습니다.

바쁘셨던 부모님을 대신해 제게 많은 내면의 가르침을 안겨준 보물이죠.

살아가는데 필요한 가치들을 자연스레 습득했었기에 전래동화가 가진 지혜의 힘을 믿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 시절 막내동생이 잠자리에 들 때면 전래동화 세 권을 꼭 읽어주었는데, 이제는 19개월 된 조카가 집에 올 때면 들려주고 있습니다.


그 옛날이야기를 통해 어떤 삶을 만들어왔는지 알고 새로운 이야기를 쓰기 위해 꼭 필요한 재료인 전래동화!

덧붙여, 저자는 새롭게 해석하며 읽는 전래 동화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P.S.

책을 읽고 나니 자연스레 떠오른 책이 하나 있었는데, 바로 「흑설공주 이야기」입니다.

그 책을 통해 서양 고전동화의 원작을 알게 되었었죠.

처음 읽었을 때의 충격, 잊지 못해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